• Title/Summary/Keyword: 열확산

Search Result 91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easurement of thermal diffusivity of ion-nitrded steel by flash method (섬광 열확산법에 의한 이온질화강의 열확산 계수 측정)

  • Lee, Sang-Kil;Lee, Hung-J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3 no.4
    • /
    • pp.143-150
    • /
    • 1979
  • 이온 질회강 확산층의 열확산 계수를 섬열광 확산 계수측정법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구하였다. 섬광 열확산 계수 측정법은 둥근 원판모양의 얇은 시편전면에 순간적으로 걍렬한 열을 가하여 확산시킨후 후면에서 증가되는 온도를 기록하여 컴퓨터에 의한 데이타 소거법을 이용해서 열확산 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광 열 확산 계수 측정법에 의하여 지극히 얇은 재료의 열확산 계수를 측정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구조용 재료가 상온에서 갖는 열 확산계수를 이온질화 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와 이온질화 처리를 하였을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이온질화처리를 실시하면 약 10% 까지 열확산 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Expanded Core Fiber using Flame Brushing Method (프레임 브러싱 방법을 이용한 열확산 코어 광섬유 제작 및 특성)

  • Kim, Jun-Hyong;Lee, Sang-Pil;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10-410
    • /
    • 2007
  • 광섬유 내에 첨가되어 있는 $GeO_2$ 등의 물질을 얼 확산시켜서 만드는 열확산 코어 광섬유는 열확산 기술에 따른 광섬유의 MFD(Mode Field Diameter)를 국소적으로 확대하여 굴절률 분포를 변화시킨 광섬유로 혹의 비틀림 및 간격에 대한 허용범위가 넓어지게 하여 접속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확산 코어 광섬유를 제조할 때 안정된 얼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트윈 토치를 이용한 프레임 브러싱 기법의 안정화된 코어 확장형 광섬유 제조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된 열확산 코어 광섬유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일모드 조건을 만족하는 다양한 종류의 열확산 코어 광섬유가 제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Transient Hot-wir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rmal Diffusivity of Nanofluids (나노유체의 열확산율 측정을 위한 비정상열선법 센서모듈 실험)

  • Lee, Shin-P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2
    • /
    • pp.113-120
    • /
    • 2011
  •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thermal diffusivity of nanofluids is proposed in this study. In theory,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transient hot-wire method can be used to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of fluids simultaneously. However, when traditional methods were employed,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thermal conductivity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diffusivity. The proposed method has two advantages for practical use: it only needs a simple data-conversion process for calculating the diffusivity, and it can skip the tedious calibration process involved in the case of a wire sensor. A validation experiment for the new system has been performed with the basic fluids, and the comparison experiment to compare the change in diffusivity of the base oil and the change in diffusivity of the nano oil has been carried out.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ystem will provide numerous methods for investigating the variation in the thermal properties other than thermal conductivity.

Con-heater를 이용한 인화성액체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Hyung-Ju;Kim, Hong;Jung, Ki-Chang;Lee, J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6-201
    • /
    • 2003
  • 대부분의 고체와 액체의 연소는 고체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가연성 기체나 액체의 증발에 의한 가연성증기가 공기중에 확산되는 형태의 확산연소이다. 이런 확산 연소에서 연소속도를 지배하는 요소는 연료와 산화제의 확산속도이며 고체와 액체 연료의 경우 기체상태의 열분해 생성물이나 증기의 생성속도가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형태의 연소에서 연료와 산화제의 공급상태에 따라 발열량 및 화염의 형태 등이 영향을 받게 된다. 화재에서 화재의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 화염의 높이와 복사열 에너지 등이 있다.(중략)

  • PDF

Estim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by an Inverse Analysis (역해석에 의한 열전도율 및 확산율 예측)

  • Na, Jae-Jeong;Lee, Jung-Min;Kang, Kyung-Ta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397-402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estimation of the two unknown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diffusivity by an inverse heat conduction analysis using the Levenberg-Marguardt method. One dimensional formulation of heat conduction problem in the model was applied. Two point transient temperature of test pieces and heat flux of inflow were measured under the high enthalpy flow environment. Estimated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diffusivity by an inverse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known values of graphite test piece. It showed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experimental inverse analysis.

  • PDF

Analysis for Measuring the Thermal Diffusivity of Multilayered Composites in Flash Method (다층복합재료의 열확산계수를 섬광법으로 측정하기 위한 해석)

  • Lee, K. 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7 no.4
    • /
    • pp.477-482
    • /
    • 1983
  • 섬광법의 응용범위를 증대하기 위하여 시편 저, 후면에서 복사와 대류 열손실이 있고, 전면에 임 의 열원이 가해지는 3층 복합재료의 열확산 방정식을 Green 함수를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본 해 석결과는 고체 재료를 1층 재료로 표면처리를 실시한 얇은 층 또는 코오팅 재료를 2층재료로, 용 기내에 들어있는 액체나 기체를 3층 재료로 하여 저온으로부터 고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온 도에 걸쳐 열확산 계수를 구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On the Effective Thermal Diffusivity of Water-Protein-Fat Food System ($\cdot$단백질$\cdot$지질계(불균질계) 식품의 유효열확산율)

  • KONG Jai-Yu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5 no.2
    • /
    • pp.154-160
    • /
    • 1982
  • One dimensional unsteady heat conduction was studied on soybean curd as a water-protein-fat food system. This heterogeneous soybean curd could be treated as homogeneous material as for the unsteady heat conduction by 'effectiver' thermal diffusivity.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apparatu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the author and also made with ice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the reproducibility and the accuracy of the apparatu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thermal diffusivity of soybean curd was substantially dependent on the fraction of protein and fat as well as water.

  • PDF

Linear Stability Analysis of Cellular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with Radiation Heat Loss (복사 열손실을 받는 셀모양 대향류 확산화염의 선형 안정성 해석)

  • Lee, Su R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 /
    • v.18 no.2
    • /
    • pp.42-50
    • /
    • 2013
  • Linear stability analysis of radiating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is numerically conducted to examine the instability characteristics of cellular patterns. Lewis number is assumed to be 0.5 to consider diffusional-thermal instability. Near kinetic limit extinction regime, growth rates of disturbances always have real eigen-values and neutral stability condition of planar disturbances perfectly falls into quasi-steady extinction. Cellular instability of disturbance with transverse direction occurs just before steady extinction. However, near radiative limit extinction regime, the eigenvalues are complex and pulsating instability of planar disturbances appears prior to steady extinction. Cellular instability occurs before the onset of planar pulsating instability, which means the extension of flammability.

열 확산에 의한 미소입자의 부착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상수;장혁상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3
    • /
    • pp.379-386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부차적으로 이와 같은 광반사법의 유용성을 개발, 평가하고자 한다. 또 실험에서 벽면에 부착되는 입자는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입자주위의 유체 흐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실험을 통하여 입자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변 화되는 열확산 효과의 상대적인 영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