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처리

Search Result 7,86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fluence of Post Heat Treatment on Corrosion Resistance of Al-Mg coating Films (Al-Mg 코팅막의 내식특성에 대한 열처리의 영향)

  • Gang, Jae-Uk;Park, Jun-Mu;Gang, Jun;Jeong, Jae-In;Yang, Ji-Hun;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308-308
    • /
    • 2014
  • 본 연구에서 PVD법중 하나인 스퍼터링(sputtering)법에 의해 제작된 Al-Mg 코팅막은 SEM, GDS, XRD를 통해 표면 및 단면의 조성분포를 분석하였으며,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함량별, 열처리 조건별 Al-Mg 막을 각각 5% NaCl 염수분무 환경 및 3% NaCl 자연침지 환경에 노출시켰다. 막의 내식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열처리-비열처리간 재료 특성 및 내식성평가 결과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열처리 결과 Al-Mg계 금속간 화합물 $Al_3Mg_2$$Al_{12}Mg_{17}$이 관찰되었으며 내식성 평가 결과, 열처리 Al-Mg 막은 비열처리 Al-Mg 막과 비교하여 양호한 내식성을 나타냈었다. 열처리를 통해 마그네슘(Mg) 성분이 대부분 금속간 화합물상으로 존재함에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여 치밀한 부식생성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Al-Mg 막 내식성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nealing effect of Schottky cont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1300 V 4H-SiC SBDs (1300 V급 4H-SiC SBDs의 Contact의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 강수창;금병훈;도석주;제정호;신무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5a
    • /
    • pp.30-3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Pt/f4-SiC Schottky barrier diodes(SBDs)의 소자 성능향상과 미세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다른 열처리 온도구간에 따른 금속/SiC 계면의 미세구조 평가는 X-ray scattering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소자의 역 방향 특성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었다. As-deposited와 $850^{\circ}C$ 온도에서 열처리된 소자의 최대 항복전압은 각각 1300 V와 626 V 이었다. 그러나, 소자의 순방향 특성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X-ray scattering법으로 >$650^{\circ}C$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Pt/SiC 계면에서 Pt-silicides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Silicides의 형성이 Pt/SiC 계면의 평활도를 증가시킨 원인이 됨을 보였다. SBDs의 순방향 특성은 열처리 과정동안 Pt/SiC 계면에서 형성된 silicides의 결정성에 강하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Thermal Treatments on the Peel Adhesion Strength of Pt/Ti Thin Film for a Bottom Electrode of Ferroelectric Materials (강유전체의 하부전극용 Pt/Ti 박막의 필 접착력에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

  • Lee, Tae-Gon;Kim, Yeong-Ho;Choe, Deok-Gyun;Gwon, O-Gye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6
    • /
    • pp.610-617
    • /
    • 1996
  • 강유전체 재료의 하부전극으로 사용되고 있는 Pt/Ti 박막의 접착력에 대한 열처리 분위기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편의 접착력은 90$^{\circ}$ 필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열처리 후 사용된 분이기에 관계없이 모두 접착력이 감소하였는데 특히 산소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시편의 접착력이 매우 크게 감소하였다. AES depth profile과 단면 TEM을 이용하여 계면반응을 관찰한 결과 산소열처리시에는 Ti가 외부에서 확산해 온 산소와 반응하여 rutile TiO2상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산소열처리 후에 일어나는 접착력의 급격한 감소 원인은 열처리시 취약한 TiO2상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Ti 접착층이 고갈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ontrol System of the Heat Treating Furnace (열처리로 제어시스템 개발)

  • Kim, Sang-Yong;Park, Soo-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3
    • /
    • pp.405-410
    • /
    • 2011
  • The heat treatment of the steel is very important part on the forging industry. It is also effect to price competitiveness. The burner control system of the heat treating furnace is related LNG gas saving and fixed manufactured goods rate. This study show the burner control performance of the heat treating furnace. The result developed the performance of the heat treating furnace and show energy saving.

2상영역열처리를 이용한 원자로 압력용기강의 인성 향상

  • 김홍덕;홍준화;국일현;안연상;김길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1-16
    • /
    • 1997
  • 원자로 압력용기강의 제조열처리인 ?칭과 템퍼링 중간에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가 공존하는 영역에서 2상영역열처리를 추가한 후 템퍼링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파괴인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 공정을 개발하였다. 새 열처리공정을 적용하면 기존공정에 비하여 강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으면서 충격인성과 연성이 크게 증가하고, 천이온도가 약 2$0^{\circ}C$ 감소하였다. 2상영역열처리를 하면 연한 템퍼드 베이나이트 기지에 비교적 강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균일하게 분산된 복합조직을 얻을 수 있고, 유효 결정립의 크기가 감소하여 균열진전이 억제되었다. 또한 기존공정의 판상 탄화물 대신 구형 탄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에 응력집중이 완화되어 파괴저항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2상 영역열처리후 템퍼링 정도를 낮추면 탄화물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균열발생이 억제되어 저온 충격인성이 향상되었다.

  • PDF

기계적 damage로 표면 활성화된 비정질 규소 박막의 결정화

  • 이의석;김형택;김영관;문권진;윤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7.10a
    • /
    • pp.135-144
    • /
    • 1997
  • 표면 활성효과에 대한 비정질 규소 박막의 고성결정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증착된 비정질 규소 박막에 macro한 방법으로 wet blasting을, micro한 방법으로 자기이온주입으로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한 후 열처리를 하여 결정립의 결정화 특성을 보았다. 열처리는 관상로를 이용한 저온 열처리와 RTP를 이용한 급속 열처리의 두 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결정화의 기준으로 XRD분석을 통해 얻은 (111) 피크 강도를 이용하였으며, 결정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 Raman 분석을 하였다. 기계적 damage를 이용한 표면 활성화는 결정화를 촉진함을 확인하였으며 활성화 방법에 따른 결정화 영향 변화정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A study of 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mask dimensions and annealing conditions (마스크 dimensions와 열처리 조건에 따른 이온의 분포에 관한 연구)

  • 안병목;정원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319-32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마스크의 폭을 각각 0.3.mu.m , 0.1.mu.m으로 설정하여 boron이 도핑된 실리콘 기판 위에 arsenic을 주입 시켰을때, 열처리 전과 각각 inert, dry, wet 산화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후의 도핑 농도 프로파일과 수직 깊이와 측면으로의 퍼짐을 시뮬레이션하여 2차원적으로 관찰하였다. 마스크 폭을 축소시킴으로 인해 이온의 입사 방향으로 더 깊이 침투됨이 관찰되었으며, 더욱이 측면으로도 퍼짐이 관찰되었다.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비교에서도 농도프로파일이 보다 더 기판 내에서 넓게 분포됨이 관찰되었다.

  • PDF

엘립소메츠리에 의한 이온주입 실리콘층의 특성연구

  • Kim, Sang-Ki;Lee, Sang-Hwan;Lee, Won-Hyong;Kwon, Oh-Joon;Koak, Byong-Hwa
    • ETRI Journal
    • /
    • v.10 no.4
    • /
    • pp.140-145
    • /
    • 1988
  • 엘립소메츠리를 이용하여 $B^+$$As^+$ 이온이 주입된 실리콘층의 굴절률과 소멸계수를 도우즈 및 열처리 조건의 함수로 조사하였다. $B^+$ 이온주입된 실리콘의 경우 n은 $10^13$ 도우즈 이상에서 증가하고, k는 도우즈 증가에 따라 단조 증가를 나타내었다. RTA 열처리가 furnace 열처리 보다 결정성 회복이 우수하였으며, 등온 열처리 시 약 30분이상에서 거의 완전하게 재결정됨을 볼 수 있었다. $As^+$ 이온주입의 경우 $10^15$이상에서 복소굴절률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열처리에 대해 k가 n보다 민감하였다.

  • PDF

Recent Trends in Rapid Thermal Processing Technology (반도체 공정용 급속 열처리 장치의 최근 기술 동향)

  • Kim, Y,K.;Lee, H.M.;Jung, T.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3 s.51
    • /
    • pp.71-83
    • /
    • 1998
  •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기술의 진보로 열처리 장비 시장에서 점점 더 각광을 받고 있는 급속 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 RTP) 장치의 최근 기술 동향을 전반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RTP의 장점, 온도 제어 모델링 기술(model-based control), 최근에 개발된 여러 종류의 RTP 시스템 설계 및 이들 각각의 기술적인 문제들이 기술된다. 새롭게 개발된 단일 wafer furnace와 광자 효과를 이용한 rapid photothermal process (RPP)에 관해서도 기술하였다. 아울러 최근 열처리 장비 업체들의 현황과 열처리 장비 시장의 향후 전망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