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섬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Hot Judder of Disc Brakes for Automotives by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열간 저더 해석)

  • Jung, Sung-Pil;Park, Tae-Won;Chung, Won-S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4
    • /
    • pp.425-431
    • /
    • 2011
  • Thermal energy generated because of the friction between the disc and pad is transferred to both sides and causes thermal expansion of the material, which affects the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This phenomenon, which is called thermoelastic instability (TEI), is affected by the natural mode of a disc. TEI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hot spot and causes hot judder vibrations.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hot judder of a ventilated disc for automotives was performed by using the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SAMCEF. The intermediate processor based on a staggered approach was used to exchange the result data of the mechanical and thermal model. The hot spot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c, and the number of hot spots was compared with the natural mode of the disc.

The Effects of Urban Stream Improving the Thermal Environment on Urban (도심하천이 도시 열 환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Jin-Ki;Park, Jong-Hwa;Na, Sang-Il;Beak, Sh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0-760
    • /
    • 2012
  • 도심 지역은 인구집중, 토지 피복의 변화 및 교통량 증가 등의 인공열 배출원의 다양화 등의 요인에 의해 주변지역보다도 기온이 높은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에 의해 독특한 도시기후의 특색을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 열 환경에 대한 연구는 도시 열섬의 강도나 현상을 파악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최근 들어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내에 존재하는 수면이나 녹지를 이용한 기후개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천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면서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계의 보고로 인간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어 온 공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하천은 지역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따라 가지고 있는 기능이 다양하다. 그 중 하천의 환경 기능은 많은 열용량을 축적시켜 수면의 온도상승을 적게 하여 하천의 온도는 물론 주변지역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흐르는 물은 대류와 혼합과정을 거치며 열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축열체가 된다. 또한 하천의 물 등은 광의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표면에서는 반사되지 않고 수체 내에 열을 저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도심하천은 도심지에서 높게 형성된 온도를 낮추는 냉각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도심하천이 도시 열완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9년 9월 6일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추출하고, SEBAL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 thms for Land)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면 열수지 성분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도심하천 주변의 온도가 도심지에 비해 $2{\sim}3^{\circ}C$ 정도 낮게 형성되었으며, 잠열은 주변 도심지에 비해 하천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하천 둔치나 하천 주변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나대지 등의 토지피복은 지표면 온도가 높게 형성되어 도심의 heat spot으로 작용하여 열 환경을 악화시키나 도심하천은 cool spot 작용을 하여 도심의 열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riation of Green Space Cooling Effect Influenced by Its Composition and Surroundings in Suwon City (수원시 녹지 조성 및 주변 환경에 따른 녹지 냉각 효과의 변화)

  • Seung Yeon Lee;Seong Woo J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3
    • /
    • pp.176-186
    • /
    • 2023
  • Urban Heat Island (UHI) is caused by an energy imbalance in urban areas, where building design and land cover contribute to its amplification. To mitigate UHI, increasing green space is one of the well known and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his study aims aimed to identify specific components of green spaces that lower temperatures and demonstrate the cooling effects based on their size and composition. Forests within green spaces have had a greater impact on temperature reduction due to shading and blocking solar radiation. Although lakes also contributed to temperature reduction, the effect to cooling intensity was not significant. The cooling distance does not depended on green space size or composition. The study emphasizes that initial temperature has a strongerinfluence on cooling intensity than green space siz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vegetation type within green spaces to achieve a cooling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urban planning and the design of green spaces to mitigate the effects of the urban heat island.

Improving the Water Cycle Management Index in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물환경보전법의 물순환관리지표 개선 연구)

  • Kim, Yeonju;Kim, Hyeonju;Kim, Gi-Joo;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0-500
    • /
    • 2022
  • 「물환경보전법」은 2007년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개정된 법률로 그 목적이 수질과 수생태계로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통합물관리 도입으로 인하여 제정된 「물관리기본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물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 시행할 때에는 물순환 과정의 전주기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물환경보전법」의 물순환관리지표는 수량이 제외되어 물순환 왜곡으로 인한 문제점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물순환관리지표에 도시유역의 물순환 왜곡으로 인한 수재해 현황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수재해 현황은 행정안전부의 자연재해로 인한 최근 10년간 인명피해와 피해액 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불러일으킨 폭염과 태풍 및 호우를 고려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도시유역에서의 폭염피해란 불투수면적률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산량이 감소하며 발생하는 도심의 열섬현상과 깊은 관계가 있고, 태풍 및 호우피해는 첨두유량의 증가와 도시배수의 연결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수와 깊은 관계가 있기에 이를 본 연구에서의 수량의 대표인자로 결정하였다. 수계 단위의 물순환관리지표와 행정구역 단위의 수재해 현황을 공간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면적가중평균법을 이용하여 물순환율과 불투수면적률을 행정구역별로 재척도화를 하였다. 그리고 고려할 요소를 판단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물순환관리지표와 열섬현상, 도시침수를 측정하는 지표의 순위를 매겨 등위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도시침수와 열섬현상을 대표하는 지표 중 물순환율과 상관계수가 낮은 지표부터 물순환관리지표에 포함시켜야 할 요소라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개선된 물순환관리지표를 제안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라 현재 수재해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그의 패턴도 달라지고 있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물순환관리지표가 좀 더 국민들에게 실효성이 있는 평가지표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NewTowns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Urban Morphology (신도시 개발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및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

  • Kyungil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3
    • /
    • pp.921-932
    • /
    • 2023
  • Land cover change due to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urban expansion can caus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s. In particular, New towns are considered an appropriate study site to analyze changes in urban climate due to rapid urbanization in a short period. This study used Landsat satellite image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nd cove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wo new towns with different plan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surface urban heat island (SUHI) phenomena.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tween urban structural features that may affect the SUHI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the rapid change in land cover as new town development progresses and the direct intensification of the SUHI phenomenon. This study confirms the differences in SUHI caused by different urban plans and suggests the need for three-dimensional urban planning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Urban Temperature Variation by Land Cover of Cheongju City (청주시 토지피복 분포에 따른 도시 기온 변화)

  • Oh, Si-Young;Park, Jong-Hwa;Na, Sang-Il;Park, Jin-Ki;Baek, Sh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6-266
    • /
    • 2012
  • 오늘날 도시는 인간 중심적으로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위주의 발전이 계속되고 있으며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지에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비율이 증가하고 농경지와 녹지가 감소하는 등 도시주변의 피복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열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의 급성장은 각종 인공 열과 대기오염 물질의 증가와 함께 도시상공의 기온을 상승시켜 도시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열섬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지역에서도 도시열섬현상 대책수립이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열섬완화 대책 수립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토지피복은 농경지, 나지, 수면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복으로 구성되며 각 피복특성에 따라 도시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도시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자연피복의 종류와 피복비율의 적정조합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를 대상으로 농경지를 포함하는 녹지의 감소, 공업단지의 증가에 따른 열 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청주시의 연도별 토지피복 분포 현황과 과거 기상자료를 통해 토지피복 분포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지피복은 농경지, 녹지, 주거지, 공업 단지 및 수역으로 분류하였으며, 대상지역의 기후 특성 파악을 위하여 청주시 총 면적에 대한 면적비율의 증감추이와 그에 따른 온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청주시는 녹지의 경우 정체 또는 감소추세를 나타낸 반면 공업단지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 PDF

An Analysis of Rational Green Area Ratio by Land Use Types for Mitigating Heat-Island Effects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토지 이용 유형별 합리적 녹지율 분석)

  • SONG, Bong-Geun;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59-7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sonable green area ratios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considering various land use types. Land uses of 5 types such as single residential, multi residential, commercial area, public facility, and industrial area were considered. Green areas were extracted from the tree attribution of land cover. Effect of urban heat island was analysed by the surface temperature of ASTER thermal infrared radiance scanned daytime and nighttime. Mitigation effect of green area at daytime was higher than nighttime. Surface temperature of green area was low in single residential at daytime. But the difference of surface temperature by each land use type was small. The effect of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of green area was lower in industrial area. The results of reasonable green area ratios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indicate that surface temperature was the lowest with green area ratio of 40~50% in single residential, multi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at daytime. Surface temperature of nighttime was not changed much by green area ratio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uggested in urban development planning to construct effectively green area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Time Series of Landsat Images and Annual Temperature Cycle Model (시계열 Landsat TM 영상과 연간 지표온도순환 모델을 이용한 열섬효과 분석)

  • Hong, Seung Hwan;Cho, Han Jin;Kim, Mi Kyeong;Sohn, Hong Gy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1
    • /
    • pp.113-121
    • /
    • 2015
  • Remote sensing technology using a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can be utilized for the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in large area. However, weather condition of Korea mostly has a lot of clouds and it makes periodical observation using time-series of satellite images difficult. For this reason, we proposed the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time-series of Landsat TM images and ATC model. To analyze vegetation condition and urbanization, NDVI and NDBI were calculated from Landsat images. In addition,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from thermal infrared images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ATC model. Furthermore, the parameters of ATC model were compared based on the land cover map cre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o analyze urban heat island effect relating to the pattern of land use and land cover.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alculated spectral indices and parameters of ATC model, MAST had high correlation with NDVI and NDBI (-0.76 and 0.69, respectively) and YAST also had correlation with NDVI and NDBI (-0.53 and 0.42, respectively). By comparing the parameters of ATC model based on land cover map, urban area had higher MAST and YAST than agricultural land and grassland. In particular, residential areas, industrial areas, commercial area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showed higher MAST than cultural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Moreover, resident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commercial areas had higher YAST than the other 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