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대야 지속시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cooling effects of a paddy field area during 2006 summer (2006년 여름철 논에 의한 기온저감효과)

  • Kwon, Sung-Il;Kim, Jin-Soo;Park, Jong-Hwa;Oh, Kwang-Young;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28-6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여름철(2006년 7월 15일${\sim}$9월 30일) 동안 서로 다른 토지피복형태(논, 밭, 도시녹지대 및 도시주택지)에서의 기온변화 특성을 비교하여 논에 의한 기온저감 효과를 파악하였다. 혹서기 동안 총 3회(2006년 8월 3일, 11일, 15일)에 걸쳐 논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온을 실측한 결과, 논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였으며, 170m 지점에서의 기온은 논 지점보다 14시에는 $2.3^{\circ}C$, 22시에는 $1.8^{\circ}C$, 익일 06시에는 $1.3^{\circ}C$ 높게 나타났다. 혹서기 동안 논, 밭, 녹지대, 주택지에서의 열대야 완화효과를 비교해보면, 논이 열대야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이하로 낮아지는 평균시각은 논이 22.36시, 밭이 24.0시, 녹지대가 2.2시, 주택지가 2.3시로 나타났고, 이 시각으로부터의 평균 지속시간은 논이 7.7시간, 밭이 7.3시간, 녹지대가 4.3시간, 주택지가 1.0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일최저기온은 논이 $23.1^{\circ}C$로서 밭과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녹지대보다 $0.9^{\circ}C$, 주택지보다 $3.0^{\circ}C$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논과 밭에서의 기온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기온저감효과가 식생피복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밭에 의한 기온저감효과의 메커니즘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는 다양한 논지대 및 밭지대를 대상으로 열수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EX>)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은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hr/g$, 섭취 7일중 $8.123\;{\mu}g/hr/

  • PDF

L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recipitable Water and Extreme Precipitation: Analyzing Variations in 3-Hour to 10-Day Events (총가강수량과 극한 강우사상의 연관성: 3시간에서 10일 강우사상까지의 변동 분석)

  • Seokhyeon Kim;Hyunsu Park;Su Yeon Park;Dae Heon H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3-113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이 대기 중 수분량을 증가시키면서 극한 강우가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홍수 피해가 지속적으로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기 연직 기둥 내 총 수분량을 나타내는 총가강수량(Total Precipitable Water, TPW)과 극한 강우사상(Extreme Precipitation, EP) 간의 연관성이 강우지속기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관측 및 재해석(reanalysis)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시극한지수(Concurrent Extremes Index, CEI, 0~1,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연결)로 두 변수 간의 정량적 연결 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CEI의 지속 시간에 따른 변동 경향성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지중해와 중앙아시아와 같은 대부분의 중위도 지역에서는 강우의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CEI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중위도임에도 불구하고 긴 지속 기간의 강우 사상에서도 높은 수준의 CEI 값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동아시아 지역의 경향성은 열대지역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아시아 지역의 극한 강우 증가가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 Terms of the Associated Synoptic Patterns: A 30 Years Climatology (1973~2002) (종관적 특징에 따른 남한 강수 특성 분석: 30년 (1973~2002) 기후 통계)

  • Rha Deuk-Kyun;Kwak Chong-Heum;Suh Myoung-Seok;Hong Y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7
    • /
    • pp.732-743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from 1973 to 2002 were investigated. The synoptic patterns inducing precipitation are classified by 10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ssociated surface map analysis. The annual mean frequency of the total precipitation, its duration time and amount for 30 years are 179 times, 2.9 hours, and 7.1 mm, respectively. About $59\%$ of the total precipitation events were associated with a synoptic low. The dominant patterns are identified with respect to seasons: A synoptic mobile low pressure pattern is frequent in spring, fall, and winter, whereas low pressure embedded within the Changma and orography induced precipitation are dominant in summer and in winter. For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recipitation originated from tropical air associated with typhoon, tropical convergence, and Changma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with other pressure patterns. The statistical elapse time reaching to 80 mm, which is the threshold amount of heavy rainfall watch at KMA, takes 12.9 hours after the onset of precipitati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precipitation shows that the maximum probability for heavy rainfall is located at the south-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also shown tha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lays an important role in occurrence of heavy rainfall. For example, heavy precipitation is frequently occurred at Youngdong area, when typhoon passes along the coastal region of the back borne mountains in the peninsula. The climatological classification of synoptic patterns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over South Korea can be used to provide a guidance to operational forecast of heavy rainfall in KMA.

A Study on Special Quality of Hourly Precipitation of Typhoon happened in Korea (우리나라에 발생한 태풍의 시간 강우량 특성에 관한 연구)

  • Oh, Tae-Suk;Ahn, Jae-Hyun;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9
    • /
    • pp.709-722
    • /
    • 2007
  • The floods of Korea happens periodically during summer. The cause of heavy rain that provokes floods can be classified into typhoon and localized downpour. The typhoon happens in the tropical region. It causes one of the worst damage to Korea by extreme rainfall and strong wind. Usually, it is known that the flood damage by the typhoon is larger than that by the localized downpour.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rainfall events into typhoon events and localized downpour events based on the cause.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of the rainfall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al quality of the rainfall during the time of typhoon. In analysis results, probability Precipitation calculated by the typhoon events were exposed bigger than that calculated by all rainfall events.

Study on Pre-treatment of Tropical Crop Oil for Bio-diesel Production (열대작물 오일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전처리 공정 연구)

  • Kim, Deogkeun;Park, Jiyeon;Lee, Joonpyo;Park, Soonchul;Lee, Jins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49.2-249.2
    • /
    • 2010
  • 최근의 고유가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보급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 중 바이오디젤은 동식물성 기름으로부터 메탄올과의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경유대체 연료로서 환경 친화성과 지속가능성이 인정됨에 따라 그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두유, 유채유, 팜유 등의 원료유 가격 상승 및 수급 불안정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식량자원과의 충돌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은 저가유지 자원(폐식용유, 폐돈지, 폐우지, soapstock, trapped grease)을 이용한 공정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활용되고 있는 해외 열대작물 열매씨앗에서 착유한 식물성 오일의 바이오디젤 원료유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열대작물 오일의 물성 분석 결과 고형물, 수분, 인, 유리지방산 함량이 대두원유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오일 중의 인지질은 바이오디젤 제조 반응후 에스테르와 글리세린의 층분리를 방해하여 공정 효율을 감소시키고 유리지방산은 염기촉매와 결합하여 지방산염을 생성해 생산수율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고형물과 수분은 여과와 감압증발에 의해 쉽게 제거가 가능하였다. 15~20%의 유리지방산 함유 열대작물 오일의 전처리를 위해 균질계 산촉매와 비균질 고체 산촉매를 이용해 에스테르화 반응 효율을 조사한 결과 황산이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 RSM)을 적용해 메탄올과 촉매량의 2변수 에스테르화반응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메탄올 26%, 촉매 0.98%로 최적 조건이 도출되었으며 초기 산가 33mgKOH/g에서 0.98mgKOH/g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전처리 정제한 오일의 물성분석 결과 고형물 0.1%, 수분 0.10%, 산가 1.0mgKOH/g, 인함량 20ppm 이하로 바람직한 원료유가 생산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원료유를 이용해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최적화 실험을 RSM에 근거하여 진행한 결과 KOH 0.8%, 메탄올:오일 몰비 6.2:1, 반응온도 $60^{\circ}C$, 교반속도 200rpm, 반응시간 30분으로 나타났으며 증류 정제전 97.3%, 증류후 100.0%의 바이오디젤을 생산 할 수 있었다. 열대작물 오일의 전처리 공정은 메탄올을 과잉양으로 사용함으로 효과적인 알콜 회수 공정이 중요하다. 전처리 후 층분리를 통해 회수되는 메탄올 중의 수분함량은 2%~7%로서 이를 전처리 반응에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0.3%이하의 수분함량으로 정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증류탑 형태가 아닌 단증류방식으로 2단계 내지 3단계로 0.3% 수분의 메탄올 회수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파일롯 공정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이로서 본 연구의 열대작물 오일은 저가로 충분한 물량의 확보가 가능하다면 바이오디젤 원료 자원으로서 큰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erification of initial field of very short-term radar rainfall forecasts using advanced system: A case study of Typhoon CHABA in 2016 (초단기 레이더 강우예측 초기장 고도화 시스템 검증: 2016년 태풍 차바 사례를 중심으로)

  • Jang, Sang Min;Yoon, Sun Kwon;Park, Ky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0-1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대한 레이더기반 초단기 강우예측 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초기장 개선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중호우에 적합한 강우를 추정하기 위해 층운형, 대류형, 열대형의 Z-R관계식과 반사도 조건에 따라 층운형과 적운형을 구분하여 Z-R 관계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초단기 강우예측 시스템의 초기장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2016년 10월 5일 태풍 차바(Chaba)에 의한 집중호우 사례에 대해 지상관측 강우자료와 레이더 추정 및 예측 강우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레이더 강우추정에 대한 분석 결과, 복합형 타입의 Z-R 관계식의 상관계수와 평균제곱근오차가 비슬산레이더의 경우 각각 0.8207, 9.22 mm/hr, 면봉산 레이더의 경우 각각 0.8001, 10.53 mm/hr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강우 예측에 대한 분석 결과, 집중호우 사례에 대해 강우강도 공간분포 및 이동 패턴은 평균적으로 잘 모의하였으며, 초단기 강우예측 결과의 평균적으로 POD는 0.97이상, FAR는 0.21 이하로 다소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량적 평가 결과, 비슬산 레이더의 경우 상관계수가 예측시간 60분까지 0.545이상, 면봉산 레이더의 경우 0.379 이상으로 비교적 좋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Z-R관계식 유형에 따른 차이는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균제곱근오차의 경우 열대형과 복합형의 Z-R관계식이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초기장 정확도의 개선을 통한 레이더 기반 초단기 강우예측 모형의 정확도 개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사례연구 및 검증을 통하여 강우추정 및 강우예측 알고리즘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 PDF

Rewetting Strategies for the Drained Tropical Peatlands in Indonesia (인도네시아의 배수된 열대 이탄지에 대한 재습지화 전략)

  • Roh, Yujin;Kim, Seongjun;Han, Seung Hyun;Lee, Jongyeol;Son, Yow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1
    • /
    • pp.33-42
    • /
    • 2018
  • The tropical peatlands have been deforested and converted to agricultural and plantation areas in Indonesia. To manage water levels and increase the overall productivity of crops, canals have been constructed in tropical peatlands. The canals destructed the structure of the tropical peatlands, and increased the subsidence and fire hazard risks in the region. The Indonesian government enacted regulations and a moratorium on tropical peatlands, in order to reduce degradation. A practical method under the regulations of rewetting tropical peatlands was to permit a canal blocking. In this study, four canal blocking project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ir planning, construction priority, design, building material, construction, monitoring,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the canal blockings. In the protected areas, regulations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the tropical peatlands areas that were noted as deeper than 3 m, and the administration stopped issuing new concessions for future work projects for this noted criteria of land use. A noted purpose of canal blockings in these areas was to effectuate the restoration of the lands in the region. The main considerations of the restoration efforts were to maintain a durability of the blockings, an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he area stakeholders. In the case of a concession area, regulations were set into place to restrict clear-cutting and shifting cultivation, and to maintain groundwater level in the tropical peatland. The most significant priorities identified in the canal blocking project were the efficiency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project. Nevertheless, the drainage of tropical peatlands has been continued. On the basis of a literature review on regulations and rewetting methods in tropical peatlands of Indonesia, we discussed the improvements of the regulations, and adequate canal blockings to serve the function to rewet the tropical peatlands in Indonesia. Our results would help establishing an adequate direction and recommended guideline on viable rewetting methods for the restoration of drained tropical peatlands in Southeast Asia.

A Multi-sensor based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using Radar and Satellite Data - A Case Study of the Busan and Gyeongnam Extreme Rainfall in August, 2014- (레이더-위성자료 이용 다중센서 기반 초단기 강우예측 - 2014년 8월 부산·경남 폭우사례를 중심으로 -)

  • Jang, Sangmin;Park, Kyungwon;Yoon, Sunk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2
    • /
    • pp.155-169
    • /
    • 2016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ulti-sensor blending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technique using radar and satellite data during extreme rainfall occurrence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in August 2014. The Tropical Z-R relationship ($Z=32R^{1.65}$) has applied as a optimal radar Z-R relation, which i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is improved during 20mm/h heavy rainfall. In addition, the multi-sensor blending technique has applied using radar and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fo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The very-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performance was improved in 60 mm/h or more of the strong heavy rainfall events by multi-sensor blending.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and MAPLE data were used for verification of rainfall prediction accuracy. The results have ensured about 50% or more in accuracy of heavy rainfall prediction for 1-hour before rainfall prediction, which are correlations of 10-minute lead time have 0.80 to 0.53, and root mean square errors have 3.99 mm/h to 6.43 mm/h. Through this study, utilizing of multi-sensor blending techniques using radar and satellite data are possible to provide that would be more reliable very-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data. Further we need ongoing case studies and prediction and estimation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by multi-sensor blending is required as well as improving the satellite rainfall estimation algorithm.

Immunological Responses by Soluble Egg Antigen of Schistosomu munsoni in Mice (만손주혈흡충 충란항원 연속주입에 의한 면역학적 반응)

  • ;Daniel G. Colley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2 no.2
    • /
    • pp.203-208
    • /
    • 1984
  • This experiment shows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induced by soluble egg antigen of Schistosoma manscni, that is, change of the number of peripheral blood eosinophil, delayed hypersensitivity measured by the degree of ear swelling, granulomatous change of liver tissue and elevation of serum antibody titer by ELISA. SEA was given continuously by the insertion of a minipump into peritoneal cavity of mouse. In control group, same pump with HGG was inserted. New pump was eachansed once In two weeks and followed the result until 9 weeks after mini-pump insertion. 1. Highest peripheral blood eosinophil level was recorded at 2∼3 weeks after SEA punp insertion, 2. MaRirnum ear swelling was observed at 2 weeks arid then decreased gradually. 3. In liver tissue, several granulomas without egg were formed at 4 weeks. 4. Serum antibody titer was eleyated from 4 weeks after SEA pump insertion.

  • PDF

Egg Laying Capacity of Fibricola seonlensis in Mice and Rats (마우스 및 흰쥐에 있어서 Fibricola seoulensis의 산란력)

  • Hong, Sung-Tae;Kim, Chang-Hyun;Huh, Sun;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6 no.2
    • /
    • pp.117-120
    • /
    • 1988
  • The egg laying capacity of Fibritola seoulensis was observed in mice and rats. In mice, the mean number of eggs produced by an adult worm a day was 116 at the 1st week after infection, 123 at the 2nd week and 42 at the 3rd week. Thereafter, the capacity of about 20 eggs/worm/day was maintained up to one year period. In rats, it generally produced more eggs; 49 at 1 week, 250 at 2 weeks, 216 at 4 weeks, 327 at 6 months and 11 at one year after infection. It survived longer than a year in mice and ra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