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5초

의류밴드용 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의 물성 분석

  • 박준호;전병대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2-166
    • /
    • 2003
  • 탄성체는 크게 열경화성 탄성체(thermosetting elastomer)와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들 가운데 대표적인 소재로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소재이며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고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가공의 용이성과 양호한 물리적 ㆍ화학적 성질 때문에 섬유용 소재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용 소재로의 개발을 통하여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Carboxylic acid와 nano zinc oxide를 도입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슬립특성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li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with Carboxylic acid and Nano zinc oxide)

  • 신현등;김동호;김구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191-198
    • /
    • 2014
  • 산성기를 도입한 폴리우레탄에 나노산화아연을 첨가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기계적물성, 열적특성, 접촉각, 그립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산화아연의 함량과 입자 크기가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나노산화아연을 도입한 경우 이온결합이 형성되어 산성기에 의한 수소결합과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인장강도, 마모 등 기계적 물성 및 그립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폴리우레탄내의 산화아연 함량에 따른 물성평가 결과 나노산화아연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온결합 도입에 의한 친수성이 커져서 wet slip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었으며, 기계적 물성은 산화아연에 의한 이온화율 50%까지 향상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2,6-Naphthalenedicarboxylate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체의 열적, 동력학적성질에 관한 연구

  • 안태환;박연흠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5-90
    • /
    • 1998
  • 고무와 같은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면서 가유 필요없이 열가소성 성형기로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탄성체는 1958년 E.I DuPont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가 최초로 개발된 이래 낮은 생산원가와 대량생산이 쉬운 이점 때문에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처리와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특성 (Surface Treatment of Silica Nanopartic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mposites with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 유선화;송현제;김창근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21-726
    • /
    • 2012
  • 해수에서 사용되는 음향 소나 시스템의 호스 소재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사용되고 있다. 장기간 소나 운용을 위해서는 향상된 기계적 물성과 해수 및 오일에 의한 낮은 팽윤도를 갖는 소재가 요구된다. 해수 적용에 적합한 향상된 물성의 복합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그래프트시킨 TPU-g-silic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폴리우레탄과 혼련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실리카 나노입자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복합재료는 실리카 입자의 표면 처리에 상관없이 폴리우레탄보다 향상된 인장강도와 낮은 팽윤도를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 복합재료들이 같은 함량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 경우, TPU-g-silica를 포함한 복합재료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 복합재료에 비해 보다 향상된 인장강도와 낮은 팽윤도를 나타내었다. 장시간 오일에 함침 후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폴리우레탄에 비해 TPU-g-silica를 포함한 복합재료가 높은 인장강도를 유지하였다.

Sulfuric acid를 도입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슬립특성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li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ntaining Sulfuric Acid)

  • 목동엽;신현등;김동호;김구니;김인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4호
    • /
    • pp.256-262
    • /
    • 2013
  • Sulfuric acid group을 도입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으며, sulfuric acid의 함량을 변경하여 acid 함량에 따른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carboxylic acid를 도입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여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acid group을 도입함으로써 인장강도, 마모 등 기계적 물성 및 그립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cid 함량별로 물성을 측정한 결과, 일정한 함량까지 기계적 물성은 증가하며 일정 함량 이상에서는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t slip의 경우 또한 acid group 도입에 의해 친수성이 증가함으로 acid 함량이 증가할수록 wet slip은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rboxylic acid를 도입한 폴리우레탄과 비교 결과, 수소결합력이 약해 기계적 물성은 낮게 나타났으나 rebounding 특성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방사를 이용한 형상기억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제조 및 고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hape Memory Polyurethane Nanofibers Using Electrospinning)

  • 정용채;김정원;전병철;정용찬;윤영상;조재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5-256
    • /
    • 2003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공중합체는 가역적 변형을 갖는 soft segment와 물리적 가교역할을 하는 hard segment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두 segment domain의 상분리에 의하여 우수한 탄성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적당한 구조제어에 의하여 형상기억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들은 최근 형상기억 폴리우레탄 제조에 있어 soft segment의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역학적 성질을 갖는 시료를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중략)

  • PDF

Acrylic Modified Hydrocarbone Resin을 포함하는 저독성 프라이머의 제조 및 특성 (Adhesion Properties of Low VOC-type Primer Containing Acrylic Modified Tackifier Resin)

  • 정부영;천정미;오상택;천제환;조남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1호
    • /
    • pp.11-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독성 용제에 용해도가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합성하고 폴리우레탄 합성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 및 NCO/OH 비에 따른 물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합성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난접착재질용 저독성 프라이머를 제조하고 접착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PU 합성시 r(NCO/OH) = 2.0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독성 용제에 용해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non polar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접착증진제보다는 polar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접착증진제의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소형선박용 팽창식 구명뗏목(Inflatable life raft) 개발 (Development of inflatable life raft for small vessel)

  • 박종오;이성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99-104
    • /
    • 2015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명뗏목은 국제항해 선박용으로 SOLAS 협약 규정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제품이며, 20m 미만의 소형어선이나 레저선박, 평수구역을 항해하는 화물선에 적합한 크기와 용도로 개발된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소형선박 및 연안 선박에 적용하기 위한 자국 규정을 개발하거나 ISO 9650에 충족하는 구명뗏목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 경량화 소재와 열접착(Heat sealing), 고주파접착(Radio-frequency welding, RFW) 등의 경제적인 생산방법을 적용하여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시장에 보급함으로써 이들 선박의 인명안전에 기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선박의 해양사고 시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경량화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를 사용하고 고주파 접착 등의 제조공법을 이용하여 소형선박용 구명뗏목을 개발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전기방사된 폴리우레탄 부직포의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Mechanical Behaviors of Electrospun Polyurethane Nonwoven)

  • 이봉석;김학용;이근형;김민섭;류영준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6-377
    • /
    • 2003
  • 전기방사(electrospinning)는 최근 나노기술의 대두와 함께 서브마이크론(submicron)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1]. 이러한 전기방사는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된 고분자에 고전압을 걸어주어, 모세관 팁과 웹을 받아주는 컬렉터(collector)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우수한 탄성을 갖는 유용한 고분자중의 하나로 섬유나 플라스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는 고무에 비하여 탄성률이 높고 내마모성이 강하며 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2].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