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 소형선박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P-RFID를 활용한 연안해상교통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

  • Gwon, Tae-U;Choe, Hyeong-Rim;Park, Byeong-Gwon;Lee, Gang-Bae;Lee, Chang-Seop;Park, Y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7-18
    • /
    • 2009
  • 현재 우리나라의 연안해상교통관제는 연안해역의 관제, 수색 및 구조지원, 선박통항관제 수단을 제공하고 하기 위해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와 레이더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AIS의 경우 고가의 장비로 소형선박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며 레이더를 활용한 소형선박 관제 시 Target Swapping 현상과 거리와 크기에 의한 탐지성능 변화 등의 문제점으로 소형선박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사고발생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방지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IP-RFID 기술을 활용한 연안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재용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7
    • /
    • pp.24-43
    • /
    • 2005
  • 최근 우리나라 어선어업은 한중일 어업협정, 연안 어업자원 감소 및 연안오염 등 사회적, 환경적 변화가 급변하고 있어 이들을 고려한 어선 선형개발이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어선 중 연안지역에서 조업하는 5톤 미만의 소형어선은 전체 어선 중 $65\%$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선박의 크기가 작고 부가가치가 낮은 관계로 지금까지 전문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한편,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하는 연안어선들의 해양사고 발생율은 전체사고의 $69.6\%$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체 어선 안전사고 중 부유폐어망, 로프 등이 추진기에 감긴 사고는 전체 사고의 $10.4\%$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추진기 손상에 의한 어선 사고와 연관하여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물분사 추진기(Water-Jet), 펌프제트(Pump-Jet)장치들이 있으나 이들은 고가 수입품으로서 영세한 어민들의 소형어선에 장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폐그물, 로프 등 해상 부유물에 의한 추진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추진장치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펠러 부착 추진장치는 기존 선미를 수정하여 추진기를 선체 안쪽으로 배치하며 돌출되는 부분은 덕트로 보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진기는 워터제트 추진기와는 달리 가격이 싸고 그물이나 부유물에 걸리지 않고 고장 시 신속한 대응이 쉬워 소형 연안어선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물, 부유물, 갯벌이 많은 국내의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의 선형개발`을 최종목표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개발 내용은 기존 소형 연안어선의 분류 및 특성 조사 연구, 프로펠러 보호터널형 선미 선형 개발, 기존 선형 및 보호터널형 선형의 모형시험, 개발선의 구조강도 특성, 프로펠러 설계 및 단독시험, 보호터널 부착 추진기의 효율 검증 및 개발 대상 어선의 조선공학적 제 계산, 설계도작성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요소 기술로서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선형의 모형시험을 통하여 선미선형을 개발하며 FRP판부재의 구조강도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4톤급 연안어선의 시제선을 건조하고 시운전을 통하여 주요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e-navigation 기반의 소형선박 충돌예방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 An, Gwang;Kim, Cheol-Seung;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3-115
    • /
    • 2015
  •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인적과실의 예방과 항해사의 업무부담 경감을 위하여 e-navigation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고 전략이행계획에 따라 2019년까지 e-navigation의 구현을 위한 관련 지침의 개발과 협약규정 제 개정작업이 활발히 진행 예정이다. 해양사고에 취약한 소형선박이나 어선에 e-navigation적용위해서는 사고예방에 관한 시스템의 개발과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MO의 e-navigation 솔루션과 현재 정부에서 추진중인 한국형 e-navigation 구축사업 내용을 바탕으로 향상된 개념의 소형선박의 선박충돌예방지원시스템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e-navigation이 실질적인 해양사고 예방에 효율적으로 활용되는데 정책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고 보며, 특히 연안선박과 소형어선의 안전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ubject Vessel for Development of Oil Recovery Equipment for Small Vessel (소형선박용 기름회수장비 개발을 위한 대상선박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Chae-Hyun;Han, W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6
    • /
    • pp.604-609
    • /
    • 2012
  • Our country has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with clean up operation of massive marine oil pollution due to the lack of oil spill response equipments. And there was the case that a fishing vessel performed clean up operation had not received any proper payments because of its inefficient oil spill response oper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fficient oil recovery equipment for small vessel and adopt it as a part of oil pollution prevention policy. These efforts could prepare oil spill response equipment in advance and use a fishing vessel registered in the affected area by massive marine oil pollu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nd adopts a suitable subject vessels as a first step for developing oil recovery system fitting with small vessels for national use.

소형어선의 환경 소음 특성

  • 최한규;신형일;배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5-66
    • /
    • 2001
  •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그 크기와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최근 건조 선박의 고속화 추세로 인하여 선내 소음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음은 선박에 종사하는 선원들의 거주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관해서는 구보민, 유전민미 등의 연안어선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생활공간이 협소한 소형어선의 선내 소음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 자동발신장치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Gwon, G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3
    • /
    • 2011
  • 선박관제시스템(VMS)는 최근 선박에서 도입되어 설치된 선박자동식별장치(AIS)에 의해 많은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AIS가 미설치된 소형선박, 어선 및 기타선박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항계 내의 선박들의 주 통신시스템인 VHF 무선전화기는 항내에 입출항 중인 모든 선박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 교신량의 폭주로 원활한 통신이 힘들어지고 또한 선박자동식별장치의 데이터 통신채널 또한 VHF이므로 class A 선박들도 동적 데이터의 누락현상이 발생하고 class B 선박들도 지역적으로 데이터 폭주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안에서 운항하고 있는 모든 선박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소형선 및 심지어 어선들까지 선박자동식별장치의 설치를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통신채널의 폭주현상에 따른 데이터 누락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파수공용방식(TRS: Trunk Radio System)의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위치 자동발신장치에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그 활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항주시 소형어선의 수중소음 스펙트럼 분석에 관한 연구

  • 최한규;신형일;황두진;노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1-42
    • /
    • 2000
  • 국제해양법이 제정된 이래 국내외의 정세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침체에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연안어장의 해양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고 여기에서 조업하는 조업어선들의 구조와 운용설비 개선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어선어업에 있어서는 어선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선박에 종사하는 어업인과 어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들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성실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형어선의 항주 중의 수중소음의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00년 3월 2일∼4월 10일 여수연안에서 동일한 크기의 신조 소형 연안복합어선(GT 6.66)의 항주중인 선박의 수중소음을 측정, 분석한 결과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