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안여객선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4초

연안여객선 거주구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박진;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29
    • /
    • 2019
  • 전라남도 완도 연안여객선 터미널에서 2018년 10월 연안여객선 현대화편드 1호에 의한 선박 '한일고속페리 실버클라우드호'가 취항식을 가졌다. 국내 여객선 시장은 그간 해외 중고선에만 의존해왔는데 순수 국내 기술로 건조된 여객선이 등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여객선 산업은 기술발전과 디자인 등 그 품질이 향상 될 것이다. 그간 여객선 이용객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영세한 규모의 국내 선사는 비용 부담 때문에 신조를 건조하기 어려워 해외 중고선을 수입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 여객선의 실내 인테리어의 노후화, 인테리어 개조에 따르는 선박 성능의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2018년 현대화펀드를 통해 노후된 연안여객선을 대체할 새로운 선박의 건조를 지원함으로써 연안여객선은 이제 선사의 사적 소유물을 넘어 공공적 성격이 교통수단이 되었다. 이로써 연안여객선은 이동 편의 향상을 비롯하여 승객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 PDF

스코틀랜드 연안 여객선 운영체제의 발달과정 사례연구

  • 최아옥;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155-161
    • /
    • 2006
  • 현재 FTA 가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는 가까운 장래에 한,중,일 연안 여객선 시장 개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비슷한 상황에 있었던 스코틀랜드 연안 여객선 운영과 EU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고자 한다. 연안 여객선을 대중 교통화 시킴으로 섬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섬 주민들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관광객도 유치하려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도 한국 연안 여객선 운영에 개선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PDF

CBT기반 연안여객선용 실습훈련 표준교안 개발 (A Development of Standard Practical Training Manual based on CBT for Costal Cru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 정희수;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팀은 2017년부터 CBT (Computer Based Training)기반 연안여객선 비상대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 여객선 교육 중 이론 파트를 프로그램으로 대체할 수 있다. CBT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교육시간을 활용하여 기존의 체험형 훈련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실습교육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연안여객선관광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통영지역 주요항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invigoration strategy for Coastal Passenger Service: focused on the main service line at Tongyoung)

  • 안기명;김현덕;이성윤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2
    • /
    • 2008
  • 우리나라 연안여객선사업은 목포, 여수, 마산/통영,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항로 및 사업장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통영지역의 경우 섬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한 천혜의 육 해상자원 및 사적지가 많아 지역경제를 포함한 연안여객선사업 활성화의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섬자원의 관광자원화를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도모는 지역 연안여객선업체의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에 달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영지역의 관광자원 및 연안여객선사업의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그 결과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 및 전략이 수립되고 운영되어 진다면, 그 성장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관광자원과 연안여객선사업의 연계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지역경제는 물론 연안여객선업체의 수익창출에 있어서 관광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연안여객선의 보안위협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 of the Security Threats for Coastal Passenger Ships)

  • 주종광;이은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9-206
    • /
    • 2007
  • 연안여객선 보안위협과 관리제도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종사자들에 대한 보안의식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연안여객선의 보안취약성과 보안위협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여객선의 보안위협에 효율적으로 식별, 대응하여 보안 취약성 제고를 위하여 보안문화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 연안여객선 현장에서 다양한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IPA를 이용한 연안여객터미널의 시설 및 보행특성 분석 -여수연안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Built and Walking Environment for Coastal Ferry Terminal using IPA -Focusing on Yeosu Coastal Ferry Terminal-)

  • 송태한;김화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3-104
    • /
    • 2021
  • 육지와 섬을 잇는 역할을 하는 여객선은 섬에 거주하는 섬 주민과 섬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심과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 된 섬 주민과 일반 관광객이 이용하기 편리한지 여객선터미널에 대한 시설특성과 보행환경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여객선터미널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여객선터미널의 접근성, 여객선터미널 이용을 위한 시설특성, 여객선터미널에서 여객선 승하선과 여객선 안에서의 보행환경으로 보행구간을 설정하였다. 보행구간별 보행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툴을 개발하고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을 대상으로 이용객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IPA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객선터미널 접근 과정에서는 '걸어서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성', '여객선터미널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해 주는 이정표 이용 편리성'이 집중영역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여객선터미널 내부의 시설특성과 보행환경은 이용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객선터미널에서 여객선까지 보행환경에 있어서는 '보행로의 표면 보행환경', '짐을 가진 상태에서 보행 편리성', '부두 경사구간 보행 편리성', '여객선 램프 구간의 보행 편리성'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객선 안에서의 시설특성과 보행환경에 있어서는 '계단 바닥 상태에 따른 보행 편리성'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의 시설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지역의 연안여객선터미널과 비교연구를 위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포연안 여객선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 김승린;김현성;문현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7
    • /
    • 2019
  • 목포연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여객선과 항로를 관리함에 있어 여객선 현황, 해양사고의 원인 및 운항변수에 따른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안전관리방안 제시.

  • PDF

한국의 연안여객선 이용객 인식 조사 분석 - 인천, 목포, 통영 여객터미널 이용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Korean Coastal Shipping Passenger Perception Survey - Focusing on Passengers of the Incheon, Mokpo, and Tongyeong Passenger Terminals -)

  • 김태일;박성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1-202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여객선이 다수 운항하고 있는 인천, 목포 및 통영 등 3개 지역의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승선 대상자(여객선 수요자)를 대상으로 여객선운항과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한 승선자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코로나19가 발생되기 바로 이전인 2019년 10월 1일~10월 11일, 표본수는 277개, 주요 내용은 여객선 운항 및 시설 측면, 여객선 운임 측면, 여객선 안전 측면 등 크게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민과 일반인이 모두 50% 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항목은 교통약자시설 우수성, 운임의 적정성, 운임 안내 적절성 등과 운임 종합평가로 교통약자시설에 대한 정책 및 운임 정책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코로나19이후 리오프닝을 대비하고, 대중교통화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의 연안여객선 이용객 인식 조사 분석 (Analysis of Korean Coastal Shipping Passenger Perception Survey)

  • 김태일;박성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5-366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여객선이 다수 운항하고 있는 인천, 목포 및 통영 등 3개 지역의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승선 대상자(여객선 수요자)를 대상으로 여객선운항과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한 승선자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코로나19가 발생되기 바로 이전인 2019년 10월 1일~10월 11일이며, 표본수는 277개이며, 주요 내용은 여객선 운항 및 시설 측면, 여객선 운임 측면, 여객선 안전 측면 등 크게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민과 일반인이 모두 50% 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항목은 교통약자시설 우수성, 운임의 적정성, 운임 안내 적절성 등과 운임 종합평가로 교통약자시설에 대한 정책 및 운임 정책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코로나19이후 리오프닝을 대비하고, 대중교통화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