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쇄구균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6초

양식 어류에 질병을 유발하는 연쇄구균증의 특성 및 진단 방법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Methods of Streptococcosis Causing Disease in Aquaculture)

  • 김동휘;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118-1126
    • /
    • 2018
  • 본 논문은 양식 어류에게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는 다양한 어류질병세균 중에서 연쇄구균증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종류, 진단 방법에 대하여 기존에 연구 보고된 논문을 기반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대표적인 어류연쇄구균증의 원인체로는 Lactococcus garvieae,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가 있다. 연쇄구균증에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체색변화, 안구이상, 아가미 퇴색, 출혈, 복부팽만, 신장과 비장의 종대 등의 보이다 폐사가 일어난다. 또한 수온이 상승하는 6월부터 10월까지 주로 일어나며 집단적으로 발병하여 폐사가 일어난다. 현재 연쇄구균증을 진단하기 위한 기술로는 16S rRNA,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ISR),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Ribotyion (RT),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등이 있다. 이중에서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LAMP법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결과 확인 등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장에서 진단부터 결과 확인까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보완하면 연쇄구균증에 대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과 의원을 방문한 급성인두염 환자의 인후배양과 emm 유전자형을 이용한 A군 연쇄구균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roup A Streptococci Using emm Genotyping from Throat Cultures in Patients with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 정현주;이남용;권오영;맹국영;김선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178-185
    • /
    • 2003
  • 목 적 : 소아과 의원을 방문한 인두염 환자에서 A군 연쇄구균 분리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T 항원형과 emm 유전자형을 동정하여 역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같은 지역의 보균자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한 소아과 의원에서 인두염 환자 246명(남자 123명, 여자 123명)을 대상으로 인후배양을 시행하였다. 슬라이드 응집법으로 T 항원형을 결정하였고, emm 유전자 증폭 후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emm 유전자형을 동정하였다. 결 과 : 인두염 환자 246명 중 130명(52.8%)에서 베타용혈성 연쇄구균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96.1%가 A군이었다. 연령별로는 4세에서 7세가 70.4%로 가장 많았다. T12가 35.2%로 가장 흔하였고, T non-typeable 30.4%, T28 14.4% 순이었다. emm12(28.5%)가 가장 많이 동정되었고, emm75(18.7%), emm22(13.0%), emm2(12.2%) 및 emm8(8.1%) 순이었다. 결 론 : A군 연쇄구균 인두염은 약 50%에서 분리될 정도로 흔하므로, 개인 소아과 의원에서 급성인두염 환자에 대해 항생제 처방 전에 인후배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항원 및 emm 유전자형은 급성 인두염 환자와 보균자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 PDF

A군 연쇄구균 상기도 감염에 있어 신속검사의 유용성 (Clinical Availability of Rapid Strep Test in Children with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otonsilitis)

  • 김연호;배영민;차성호;마상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1호
    • /
    • pp.90-93
    • /
    • 2001
  • 목 적 : 소아 감염병 중 가장 흔한 상기도 감염의 원인이 되는 A군 연쇄구균 상기도 감염은 급성기 합병증 뿐만 아니라, 류마티열이나 사구체 신염과 같은 후기 합병증의 가능성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A군 연쇄구균이 원인이 되는 상기도 감염은 5~30% 정도에 불과하나 실제 상기도 감염시 많은 임상의사들이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을 하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항균제의 부적절한 사용에 따른 항균제 내성 세균이 증가추세에 있는 실정이고, 외래 상기도 감염 환자에게 있어서 항생제 투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당위성을 제공하는 신속검사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경희의료원 소아과 외래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상기도 감염 환아 중 임상적으로 인두 편도염이 의심되었던 87명을 대상으로 신속검사와 인두배양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환아로 부터 소독된 면봉을 이용하여 양쪽 편도와로 부터 검체를 2회 채취하여 신속검사와 혈액한천배지에 각각 접종하였다. 신속검사는 접종즉시 키트내 삽입된 지침서에 따라 시행하였고 혈액한천배지에 접종하였던 배지는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배양하여 두 검사의 일치율 유무를 검토하였다. 결 과 : 인두 편도염 증세를 보인 87명의 환아 중 균배양 검사에서 39명에서 A군 연쇄구균이 배양되었으며, 이중 신속검사에 대한 양성예측율은 92.3%(39명 중 36명)이었으며, 예민도는 81.8%(44명 중 36명)을 보였다. 신속검사의 특이도는 93.0%(43명 중 40명)이었으며, 음성 예측율은 83%(48명 중 40명)을 보였다. 결 론 : 신속검사의 양성 예측율과 특이도가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외래 상기도 감염 환자에서의 항생제 사용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제주도 양식넙치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의 약제내성 전이성 plasmid (Transferable R plasmid of Streptococci Ioslation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김종훈;이창훈;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76
    • /
    • 2006
  • 제주도내 양식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 75균주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경향 및 내성균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다재내성 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였다. 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모든 연쇄상구균은 flumequine (AR)과 oxolinic acid (OA)에 대하여 저항성이었으며, 그 중 30균주 (41%)는 ampicillin (ABPC), doxycycline (DOXY), erythromycin (EM), norfloxacine (NFLX), oxyteracycline (OTC)의 약제에 대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동시내성을 나타내었다. AR과 OA를 포함하여 4~6약제에 대하여 다재내성을 보인 균주는 26주였다. 연쇄상구균의 다재내성 전이에 관여하는 R plasmid인 pST9와 DNA구조가 유사한 plasmid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60 분리 균주에 대한 colony 혼성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3 분리균에서 혼성화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생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양치와 고등어에서도 양성반응이 나타남으로써 동일 DNA구조의 plasmid가 분포함을 시사하였다. 혼성화 양성반응을 보인 13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기 위하여 conjugation을 실시하였다. OTC, DOXY, EM에 대한 항균제 내성 marker인 Otc, Doxy, Em은 R plasmid에 의하여 수용균인 Streptococcus sp.로 전이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들 전이성 R plasmid를 보유하고 있는 연쇄상구균들이 동일 분류군에 속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 pattern을 분석하였다. 내성균주들의 RAPD pattern은 모두 유사하였으며, Streptococcus iniae type의 RAPD pattern (Kim and Kim, 2003)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pST9와 동일 DNA 구조의 R plasmid는 S. iniae에서의 출현빈도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타액 우식 관련 검사와 치아 우식 경험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CARIES-RELATED TESTS AND DENI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 김재곤;김영신;백병주;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타액 분비량, 타액의 완충능력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측정하여 치아 우식경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81명의 평균연령 26.1세인 81명의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내 우식경험지수를 조사한 후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였고, 시판 중인 Dentobuffer Strip 키트와 Dentocult SM-Strip mutans 키트(Orion Diagnostica, Finland)를 사용하여 타액의 완충능력과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를 평가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DMFT와 DMFS는 6.57과 12.65를 나타냈다. 2. 일반적으로 우식경험지수가 높을수록 타액 분비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중 자극성타액 분비량과 DMFT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3. 타액의 완충능력과 우식경험도 사이의 관계에서 타액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DMFT와 DMFS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DMFT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4.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의 수가 높을수록 DMFT와 DMFS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5. 자극성 타액 분비량이 낮을수록, 타액의 완충능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타액 내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우식경험도를 나타냈다.

  • PDF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발생동향 및 원인균에 대한 분자적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osis Occurrence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s of Cultured Flounder in Jeju Island)

  • 정용욱;강철영;김민주;허문수;오덕철;강봉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9-204
    • /
    • 2006
  •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발병동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은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고수온기에 발생율이 높았으며, 30cm 이상의 개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003년 6월부터 2005년 5월 사이에 분리된 연쇄구균 균주를 multiplex PCR assay 기법을 이용하여 종 조성을 분리한 결과 Streptococcus iniae와 S. parauberis로 동정되었으며 그 비율은 각각 46%와 54%이었다. S. iniae는 상대적으로 9월과 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내었으나 S. parauberissms 3월과 4월에 분리율이 높게 나타났다. S. iniae와 S. parauberis 감염개체의 병리학적 중상은 일부분 유사하였으나 S. iniae 분리개체는 복부팽만, 탈장, 복수저류증상이 주로 관찰되는 반면, S. parauberis 분리개체는 체색흑화, 무안측 발적 중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이 두 종의 병원체 모두 ampicillin과 amoxicillin에 감수성이 높았으며, S. iniae 균주들은 S. parauberis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doxycycline, erythromycin, oxytetracycline에 감수성이 높았다.

단일기관에서의 소아 세균성 수막염 원인균 분포 (1996~2005) (The Causative Organisms of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1996 to 2005)

  • 이택진;전진경;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24-129
    • /
    • 2006
  • 목 적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단일기관에서 발생한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세균성 수막염이나 신생아 수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아들 중 뇌척수액 배양검사 및 라텍스응집반응검사에서 원인균이 확인된 증례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인균이 확인된 46례 중 신생아 수막염은 미숙아 4례를 포함하여 27례였고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은 19례였다. 신생아 수막염 환아 중 원인균이 혈액배양검사에서도 동정된 경우는 모두 15례(55.6%)였다.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었다(44.4%). 또한 B군 연쇄상 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75.0%가 지발형 감염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 환아들의 84.2%가 5세 미만에서 발생하여,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균으로는 폐구균 8례(42.1%), 인플루엔자균 8례, 수막구균 3례 등이 있었으며, 이 중 인플루엔자균는 2001년 이후 최근 5년간 검출되지 않았다. 결 론 : 신생아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B군 연쇄상 구균이고 신생아기 이후에는 폐구균과 인플루엔자균이 세균성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이 중 단백결합 백신의 도입으로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