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Availability of Rapid Strep Test in Children with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otonsilitis

A군 연쇄구균 상기도 감염에 있어 신속검사의 유용성

  • Kim, Yeon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Bae, Young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a, Su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Ma, Sang Hyuk (Fatima General Hospital)
  • 김연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배영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성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마상혁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Published : 2001.05.31

Abstract

Purpose :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of group A streptococal infection should be emphasized concerning about possible development of late sequelae, such as acute rheumatic fever and acute glomerulonephritis. Inadequate & improperance of antobiotics have resulted in increased number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We would like to know the clinical usefulness of rapid strep test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roat culture in out-patients with acute pharyngotonsilitis. Methods : From Sep. 2000. to Jan. 2001, rapid strep test(LINK 2 Strep A, USA) & throat culture were taken from 87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 pharyngotonsilitis from Masan Fatima hospital &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Results : Of 87 cases with pharyngitis, 39 cases proved to have group A streptococci by throat cultur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rapid test was 92.3%(36 of 39 cases) and sensitivity test was 81.8%(36 of 44 cases). The specificity of rapid test was 93.0%(40 of 43 cases)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3.3%(40 of 48 cases). Conclusion :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 specificity of rapid strep test is high. And so, this test will give the pediatricians practical guidance of antibiotic use in patients with pharyngitis. Bu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antibiotics abuse and correct diagnosis of pharyngitis.

목 적 : 소아 감염병 중 가장 흔한 상기도 감염의 원인이 되는 A군 연쇄구균 상기도 감염은 급성기 합병증 뿐만 아니라, 류마티열이나 사구체 신염과 같은 후기 합병증의 가능성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A군 연쇄구균이 원인이 되는 상기도 감염은 5~30% 정도에 불과하나 실제 상기도 감염시 많은 임상의사들이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을 하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항균제의 부적절한 사용에 따른 항균제 내성 세균이 증가추세에 있는 실정이고, 외래 상기도 감염 환자에게 있어서 항생제 투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당위성을 제공하는 신속검사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경희의료원 소아과 외래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상기도 감염 환아 중 임상적으로 인두 편도염이 의심되었던 87명을 대상으로 신속검사와 인두배양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환아로 부터 소독된 면봉을 이용하여 양쪽 편도와로 부터 검체를 2회 채취하여 신속검사와 혈액한천배지에 각각 접종하였다. 신속검사는 접종즉시 키트내 삽입된 지침서에 따라 시행하였고 혈액한천배지에 접종하였던 배지는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배양하여 두 검사의 일치율 유무를 검토하였다. 결 과 : 인두 편도염 증세를 보인 87명의 환아 중 균배양 검사에서 39명에서 A군 연쇄구균이 배양되었으며, 이중 신속검사에 대한 양성예측율은 92.3%(39명 중 36명)이었으며, 예민도는 81.8%(44명 중 36명)을 보였다. 신속검사의 특이도는 93.0%(43명 중 40명)이었으며, 음성 예측율은 83%(48명 중 40명)을 보였다. 결 론 : 신속검사의 양성 예측율과 특이도가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외래 상기도 감염 환자에서의 항생제 사용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