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흐름방식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ntent-based Shot Boundary Detection from MPEG Data using Region Flow and Color Information (영역 흐름 및 칼라 정보를 이용한 MPEG 데이타의 내용 기반 셧 경계 검출)

  • Kang, Hang-B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4
    • /
    • pp.402-411
    • /
    • 2000
  • It is an important step in video indexing and retrieval to detect shot boundaries on video data. Some approaches are proposed to detect shot changes by computing color histogram differences or the variances of DCT coefficients. However, these approaches do not consider the content or meaningful features in the image data which are useful in high level video processing.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detect these features from compressed video data because this requires less processing overhea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detect shot boundaries from MPEG data using region flow and color information. First, we reconstruct DC images and compute region flow information and color histogram differences from HSV quantized images. Then, we compute the points at which region flow has discontinuities or color histogram differences are high. Finally, we decide those points as shot boundaries according to our proposed algorithm.

  • PDF

A Study of New Technique of Harmonic Elimination in Three-Phase Bridge AC/DC Converter (3상 브리지 AC/DC 컨버터의 고조파 저감에 대한 연구)

  • 김병진;문학룡;김준환;김상우;전희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2
    • /
    • pp.21-28
    • /
    • 1998
  • A new technique for shaping the line current and reducing the total hannonic distortion in a threephase rectifier is introduced. A review of the problems inherent in a three-phase diode rectifier feeding capacitive load and the possible solutions are first presented. The proposed 3 bidirectional switches and their operation are presented. The main features of this paper are low cost, high efficiency and simplicity. A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show its good action.action.

  • PDF

Dispersion in the Unsteady Separated Flow Past Complex Geometries (복합지형상에서 비정상 박리흐름에 의한 확산)

  • Ryu, Chan-S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6
    • /
    • pp.512-527
    • /
    • 2001
  • Separated flows passed complex geometries are modeled by discrete vortex techniques. The flows are assumed to be rotational and inviscid, and a new techlnique is described to determine the stream functions for linear shear profiles. The geometries considered are the snow cornice and the backward-facing step, whose edges allow for the separation of the flow and reattachment downstream of the recirculation regions. A point vortex has been added to the flows in order to constrain the separation points to be located at the edges, while the conformal mappings have been modified in order to smooth the sharp edges and to let the separation points free to oscillate around the points of maximum curvature. Unsteadiness is imposed to the flow by perturbing the vortex location, either by displacing the vortex from the equilibrium, or by imposing a random perturbation with zero mean to the vortex in equilibrium. The trajectories of passive scalars continuously released upwind of the separation point and trapped by the recirculating bubble are numerically integrated, and concentration time series are calculated at fixed locations downwind of the reattachment points. This model proves to be capable of reproducing the trapping and intermittent release of scalars, in agreement with the simulation of the flow passed a snow cornice performed by a discrete multi-vortex model, as well as with direct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flow passed a backward-facing step. The results of simulation indicate that for flows undergoing separation and reattachment the unsteadiness of the recirculating bubble is the main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intense large-scale concentration fluctuations downstream.

  • PDF

Biological Treatment of Processed-Leachate from Landfills by Reed (Phragmites australis)-Bed in a Continuous Flow System (갈대-상(床)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생물학적 연속흐름 처리)

  • Kim, In-Sung;Cho, Yong-Joo;Choi, Hong-Keun;Lee, Eun-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7 no.6 s.122
    • /
    • pp.375-381
    • /
    • 2004
  • We investigate the biological treatment of processed-leachate from SUDOKWON landfill site in Korea by the reed (Phragmites australis)-bed with a continuous flow system. The reed individuals showing superior growth in processed-leachate experiment were selected among the reeds of thirteen natural habitats by means of the comparisons between the removal rates of nutrient salts, eco-physiological responses and growth. The reed-beds (combination of the reed individuals showing superior growth with helper microorganisms) were continuously supplied with processed-leachate. We monitored the effluents that passing through the reed-bed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After five weeks, analysis results of effluent from each reed-bed were as follows; chromaticity,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biological oxygen demand,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dissolved solid and salinity decreased $29.5{\sim}36.9\%,\;49.4{\sim}67.2\%,\;42.1{\sim}94.6\%,\;74.5{\sim}88.8\%,\;15.6{\sim}20.8\%,\;17.5{\sim}35.4\%\;and\;15.3{\sim}34.7\%$,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presented the substantial improvement of water-quality after passing through reed-bed in a continuous flow system.

A stream cube to reduce the average response time in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tream data (스트림 데이터의 다차원 분석에서 평균응답시간을 줄이는 스트림 큐브)

  • Do, Ki-Seok;Park,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5-57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 흐름이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림형태의 데이터는 데이터의 치명적 변화, 자주 발생하지 않는 패턴 등의 관점에서 데이터 분석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의 추상화 데이터 분석이 용이한 다차원 분석에 기반하여 고정적인 공간활용만이 가능했던 기존 방식을 살펴본 후 이를 유동적으로 보완하여 공간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평균응답시간을 줄여주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제안 방법의 시공간 비용을 수식으로 증명하고 기존 방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해 본다.

  • PDF

Development of a Cross-sectional River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andardized River GeoSpatial Data Model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 기반의 하천단면자료 관리기술 개발 연구)

  • You, Ho Jun;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7-107
    • /
    • 2017
  •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다양한 분야의 방대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특히, 수자원 분야에서도 지점 관측 형태의 직접 계측방식이 아닌 선, 면 형태의 간접 계측방식의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수의 양질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방대하고 연속적인 하천공간정보가 축척되었으며,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 중 하천단면자료는 하천기본계획수립 시 핵심이 되는 자료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하천의 흐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여러 물리 모형의 입력 자료로서, 하천의 물이 흐르는 하도공간을 흐름방향의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면을 기록한 자료이다. 국가에서는 하천단면자료 계측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수의 하천에서 하천단면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하지만 계측된 하천단면자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도하는 응용프로그램용 파일(CAD)로 저장되어,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현재 개발 중인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과 하천공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표준자료 전송 언어인 RiverML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은 하천망을 기반으로 한 상호연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하천망을 구성하는 각 하천과 해당 하천의 단면자료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쉬우며, RiverML은 이와 유사하게 하천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쉬운 전송언어이다. 또한 국가에서 개발한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의 API를 활용하여 저장된 하천단면자료를 표출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단면자료 저장 관리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하천에서 계측되는 공간정보뿐만 아니라 하천의 시설물, 생태환경, 문화 등의 하천공간정보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mpirical experiment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formula for time of concentration (홍수도달시간 산정식 적용성 개선을 위한 실증실험)

  • Keum, Ho Jun;Ko, Taekjo;Joo, Jaeseung;Kim, Yerim;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23-123
    • /
    • 2021
  • 도시하천유역이나 복합유역 등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 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유하시간보다 유입시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유하시간만을 고려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때, 소규모 유역의 경우 하도가 없고 유역면적이 5km2 내외 또는 하도의 저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도달시간이 짧아 홍수량이 과대 산정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재해영향성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에서는 도달시간 이외에 매개변수인 저류상수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왜곡한다는 근복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대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홍수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입시간이 지배적인 소규모 복합유역에 적용 가능한 도달시간 산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증실험을 통해 기존 유입시간 산정식을 개선하고,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홍수도달 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유출 실내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장치는 본체(길이3m×폭1.2m×높이0.8m)와 경사조절 장치(0~15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전면부를 타공(ø10mm)하고 상·하단에서 지표와 기저유출을 집수하여 티핑버킷으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토체 내에는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강우유출 발생시간 동안 토양수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흐름인 유하시간(Kraven 공식)을 계산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기 보다 지표면 흐름인 유입시간(Kerby 공식)에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불투수 면적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달시간은 감소하고, 불투수 유역이 하류에 위치할수록 유출발생시간이 빨라졌다. 실증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기존 유하시간과 저류상수를 보정하는 도달시간 산정방식(연속형 Kraven)과 유입시간을 보정한 도달시간 산정(수정 Kerby)으로 도출된 유출량을 실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에서 모의된 홍수량이 기존 방식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첨두홍수량을 보였으며, 설계자 임의성이 배제된 일관성있는 해석값을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erification Study on Real-time Automated Discharge Measurement (실시간 자동측정유량의 검증 연구)

  • Roh, Young-Sin;Kim, Dae-Young;Park, Hyun-Ge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29-3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도플러 방식 초음파유속계(ADVM, 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 및 이동시간차방식 초음파유속계(UVM, Ultrasonic Velocity Meter)의 유량자료 검증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이 적용된 한강대교와 여주대교의 2007년 운영성과를 검토하고 측정된 결과분석을 통해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유량측정자료를 검증하였다. 측정된 유량의 검증을 위해 평 저수시 유속계 측정 및 이동 ADCP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또한 봉부자를 이용한 측정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홍수시 측정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댐방류량, 하수처리장 방류량, 각종 취수량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을 통해 자동유량측정에 의해 산정된 유출량과 비교하였다. ADVM 방식이 적용된 한강대교의 조위영향에 따른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한 주기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이를 비교한 결과, 흐름이 정체되는 일부구간의 측정결과를 제외하면 대부분 상대오차가 10% 내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설치초기 시스템 안정화작업으로 인해 결측이 많이 발생한 $3{\sim}4$월을 제외하면 10%내외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홍수기인 $6{\sim}7$월 사이에는 $1.9{\sim}5.5%$의 상대오차를 보여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측정결과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주대교의 UVM 방식의 경우 측정장비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5월부터 9월까지의 측정결과는 수위유량관계곡선으로 산정된 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10%내외의 상대오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월별 물수지 분석결과에서도 결측이 많이 발생한 5월의 23.7%의 오차를 제외하면, $5{\sim}10%$내의 오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인 $6{\sim}8$월의 경우 5%이내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ement of Rectangle Sedimentation basin using the Moving Baffle (이동식 정류장치를 이용한 횡류식 침전지 침전효율 개선 연구)

  • Cho, Young-M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7
    • /
    • pp.726-731
    • /
    • 2005
  • Sedimentation is treated as the most important unit process in waterworks, and plays great role on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Rectangle sedimentation basin is the most widely accepted sedimentation process. But it has some problems with short-circuit flow and density flow caused by temperature and influent turbidity vari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stallation of rectification wall was suggested, but not generally fully accepted in field. Because hole of rectification wall cause jet flow. In this research, use of moving baffle was investigated. Moving baffle was designed to induce uniform velocity at every section of water flow. The baffle walls was made from soft fiber materials. The baffle walls with flow of sedimentation basin moves at same speed. It is like that it controls density flow and short-circuit flow and induce uniform velocity at every section of water flow in sedimentation basin. When moving baffle was operated retention time of sedimentation basin was extended to 1 hours. When it talked again and the effluent time of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chlorine ion from 100 minutes was extended to 160 minutes.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was tested with different operation modes(continuous and batch) with influent turbidity and retention time. It was revealed that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carl be improved up to 36%(continuous mode) and 58%(batch mode) respectively. Consequently if moving baffle introduces in Rectangle sedimentation basin, it forecasts that the turbidity improvement above 30% will be possibl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Experimental Film -focused on American Structure film- (실험영화의 구조적 특성 -미국의 구조영화를 중심으로-)

  • Jang, Min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
    • /
    • pp.56-65
    • /
    • 2014
  • Most of experimental films have different visual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compared to those of narrative films. This difference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experimental films. In order to understand in what ways the experimental film has broken with the convention of narrative film, it is important to examine certain structure of experimental film. The important aspect of many experimental films is the way that they have altered the nature of narrative by changing the way that we perceive the succession of image.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American Sturcture film has been the contribution of the experimental film to expand the limits of this rule system and evolve a more personal and organic approach to the continuum of film. This approach has been a method of understanding experimental films and still a useful aesthetic tools both reading personal films and making innovative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