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압출공정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가공용 마그네슘합금의 연속제조 및 압출가공

  • Yu, Bong-Seon;Im, Chang-Dong;Kim,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1-18.1
    • /
    • 2011
  • 가공용 마그네슘합금 중간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공정기술의 하나인 수평연속주공정을 통해 판재 및 빌렛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평연속주조공정은 기존의 반연속주조공정에 비해 저비용 공정이며, 실용화 초기단계에 있는 제조공정인 strip casting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한 고합금계의 마그네슘 중간재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이다. 또한 연속주조한 빌렛의 압출공정에서 압출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미세조직을 제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연구로서 고속압출용 신합금 설계기술과 압출공정제어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ide-Extrusion and Conform (압출공정변수에 따른 측방압출과 연속압출의 비교해석)

  • 김영호;김강수;곽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39-143
    • /
    • 1996
  • The theoretical study of deformation behavior for continous extrusion process (CONFORM) is shown in this paper. The extrusion process i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route, side extrusion, considering extrusion ratios, flash gaps and coefficients of friction. In each case the distribution of strain and strain rate is predict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study simplifying assumptions on the deformation geometry are made to investigate the plastic flow occuring in the area of deformation of the Conform process.

  • PDF

A study on the total power calculation in the CONFORM process (연속압출공정의 동력계산에 대한 연구)

  • 김강수;박근배;김영호;곽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05-109
    • /
    • 1996
  •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power required at the Continuous Extrusion Forming(CONFORM) has been performed by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ree transformation regions(primary grip length and extrusion grip length, flashing). In this study, that was performed by five transformation regions(biting, upsetting, filling, extruding, flashing)and four transformation regions(biting, upsetting and filling, extruding, flashing) and then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e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Results of analysis by four and five transformation regions than that of three transformation regions in the CONFORM showed in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 PDF

연소관 유동성형 제작공정에 관한 유한요소 해석

  • 윤수진;박성한;이경훈;은일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1a
    • /
    • pp.55-68
    • /
    • 1996
  • 현재 로켓. 추진연소관을 제작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유동성형공정을 유한요소기법을 이용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기존 해석접근법과의 비교도 기술 되어 있다. 대부분의 기존 해석방법은 압출공정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해석이 수행되어 왔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형 공정을 연속적인 쐐기 압인과의 유사성으로 보아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해석결과로는 유동성형시 발생되는 성형된 부분에서의 두께증가량이 예측되었다. 또한 공정후 비롯되는 격자 형태는 유사하나, 응력 등 다른 변수들의 분포가 압출공정에 근거한 해석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fabricating sheet of Magnesium based Alloy (AZ3l) (마그네슘 합금(AZ31) 판재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 연구)

  • 송재완;김창원;한정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5-25
    • /
    • 2003
  • 마그네슘 합금은 결정구조가 HCP구조로 슬립면이 제한되어있어 상온에서의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 마그네슘 합금의 미세 조직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재료 및 기능성 재료로 기대되는 마그네슘 합금(AZ3l)을 이용하여 주조로부터 압출·압연 과정으로의 연속적인 판재 성형공정을 실행하였다. 모든 공정에 대한 전형적인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공정에서 재료의 인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공정 후에 향상된 기계적 특성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도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공정에서의 대표적인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주조재, 압출판재, 압연판재의 인장강도는 189.3㎫, 257.9㎫ 그리고 234.㎫로 증가하였다가 다소 감소하지만,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16.26%, 24.99% 그리고 27.16%의 50%에 가까운 주목할만한 증가를 나타낸다. 인장실험의 실험결과로부터 얻어진 가공경화지수로부터 대상 재료인 마그네슘 합금(AZ3l)에 대하여 DRX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압출후 압연 판재의 경우 연한 재결정 조직으로 인하여 연신율의 대폭적인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of Continuously Porous Alumina Bodies by Multi-Extrusion Process and their In-vitro and In-vivo Study for Biocompatibility (다중압출공정을 이용한 알루미나 연속다공질체 제조 및 그의 생체친화성 평가를 위한 In-vitro, In-vivo 실험)

  • 강인철;조순희;송호연;이병택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1 no.7
    • /
    • pp.560-566
    • /
    • 2004
  • To fabricate the continuously porous alumina bodies by multi-extrusion process, carbon powd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were used as a pore forming agent and a binder, respectively. As the change of extrusion pass number, reduction ratio as well as the volume fraction of core and tube, the porous alumina bodies having various kind of pore size and porosity could be obtained. The porous bodies showed continuous pore shape, high specific surface as well as high bending strength, whi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alumina bodies. In-vitro study was carried out using MG-63 osteoblast cells to investigate of their biocompatibility. As a result, the cells grew well on top and bottom as well as inside surface of pore. From the result of in-vivo study of 3-dimensional porous alumina bodies using rats, it was confirmed that any inflammatory response was not found in the subcutaneous tissue around porous body. Also the porous bodies removed from the rats were fully covered with well-developed fibrous tissues and showed the formation of new capillary blood vessels.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Polypropylene Split Yarn and Tensile Property of Its Woven Fabric (폴리프로필렌 스플리트사의 제조와 이를 이용해 제조한 제직포의 인장특성 평가)

  • 박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6-129
    • /
    • 2003
  • 폴리프로필렌(PP) 필름사는 크게 스플리트사(split yam)는 슬리트사(slit yarn)로 구분된다. 이러한 PP 필름사의 제조공정은 필름압출와 연신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도로 연신되고 가공되기 때문에 전형적인 멀티필라멘트사 제조공정과 비교하여 압출공정이 간단하고 소규모로도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1-3]. 스플리트사는 슬리트사 제조공정에서 연신과정에 새로이 해섬장치를 부착하여 기계적으로 슬리트된 필름사를 일정한 기하학적 구조로 미세화하여 제조한다[2]. (중략)

  • PDF

Fabrication of a billet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by means of a electromagnetic stirring (전자기교반에 의한 연속주조빌렛트제조)

  • Kim Ki-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1999.05a
    • /
    • pp.66-74
    • /
    • 1999
  • 일반적으로 압출용 빌렛트제조에는 빌렛트상하의 품질변화로 수평연속주조법이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전자기교반법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단점이 없어진다. 따라서 전자기교반장치를 설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이용하여 연주빌렛트를 제조하였다. 최대자속밀도가 1000Gauss 인 전자기교반장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간접냉각방식의 흑연몰드에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여 건전한 연주빌렛트를 제조할 수 있는 여러 공정조건을 조사 검토하여 직경 70mm의 기포가 없고 표면이 미려한 등축정을 가진 연주빌렛트를 제조하였다. 인출속도에 따른 수평 연속주조 빌렛트의 표면, 용탕유동라인 및 조직을 검토한 결과 평균인출속도 20mm/min에서 40mm/min까지 아주 미려한 표면특성을 가졌으며, 인출속도가 빠르면 유동라인이 표면에서 중심 쪽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게 되어 표면응고층이 얇아져 빌렛트가 고액계면에서 끊어지게 되며, 조직미세화는 인출속도가 클수록 미세화되었으나, 결정구상화정도는 인출속도가 빠를수록 악화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