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만곡수로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Analysis of the Flow and Bed Topography Characteristics of Curved Channels with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에 의한 만곡수로의 흐름 및 하상 특성 분석)

  • Jeong, Jae-Uk;Han, Jeong-Seok;Yun, Se-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1
    • /
    • pp.111-121
    • /
    • 2000
  • A numerical model which can analyze the flow and bed topography characteristics of a single bend and continuous one was suggested using the equations of mass, momentum,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econdary flow, and the transverse bed slope. The calculated flow and bed topography characteristic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a single bend, and the predicted path of maximum streamwise velocity in continuous bends also compared with the Vadnal and Chang's data. The comparisons gave good results. A curved channel with 180 degrees was used. Sand and anthracite were selected as bed materials in the movable bed experiments. The model application of this model to the sand bed and the anthracite one accorded well with the observed values in the experiments. This model was proved to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flow and bed topography with the change of bed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to construct and control curved channels as a fundamental information.m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Ice Jam and flow in channel Bends (만곡수로에서의 Ice Jam과 흐름특성)

  • 윤세의
    • Water for future
    • /
    • v.21 no.4
    • /
    • pp.399-406
    • /
    • 1988
  •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brief summary of the basic theory and observation from a laboratory investigation aimed at determining flow characteristics and ice jam topography in a sinuous channel, and in a single-bend channel. The sinuous channel comprised thirteen $90^{\circ}$ bends and was of comparatively small s\aspect ratio. The single-bend channel was a $180^{\circ}$ bend, which was an order of magnitude large in width as well as aspect ratios than the sinuous channel. The simulated ices wer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beads and block. The streamwise velocities near the bottom were larger than that of surface in sinuous channel and forming ice jam in sinuous channel, this phenoumena were found strongly. Jams were generally thicker along the inner bank of bends. The path of maximum-streamwise velocity was displaced towards approachs side of the inner bank of bends. Radial variation of jam thickness was to be regular by increasing size of ice fragments. The rate of jam head progression around outer bank of the single bend was faster than that of inner bank and its velocity was roughly steady. With increasing Froude number, jm thickness became less uniformly distributed; being generally thicker along the inner bank and near the jam's toe. Two-layer model might be adaptable for the computing the streamwise velocity in shallow river bends. Two cells of secondary flow cound be expected in ice covered-river bends.

  • PDF

Experimental Study of Flow and Pollutant Dispersion in Meandering Channel (사행수로에서의 흐름 및 오염물질 혼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ung-Won;Seo, Il-Won;Lee, Ky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83-888
    • /
    • 2007
  • 일반적인 하천의 흐름방향으로 발생하는 주흐름(primary flow)에 중첩하여 주흐름 방향의 수직단면에 이차류(secondary flow)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차류의 발달은 투입된 오염물질의 횡혼합을 증대시킨다. 오염물질의 혼합은 이송(advection)과 확산(diffusion) 또는 분산(dispersion)의 과정으로 설명되며 본 연구에서는 수로전체의 혼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송 확산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수조를 $150^{\circ}$의 중심각을 갖는 S자 형태의 만곡수로를 제작하여 유량조건은 15, 30, $60\;{\ell}l/sec$의 세 가지 경우로, 수심은 15, 20, 30, 40 cm의 경우로 총 12 케이스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속장의 측정은 Sontek사의 3차원 micro-ADV(Acoustic Doppler Velocimeter)를 이용하였다. 오염물질 확산실험은 소금물 용액에 주변수와의 밀도차를 없애기 위해서 메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추적자로 이용하여 농도장의 분석을 일본 KENEK사의 전기전도도계(conductivity meter)와 Gartner사의 DAS(data acquisition system)를 이용하여 횡방향 유속장의 분포와 오염운의 거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주 흐름은 직선구간에서는 중앙에서 최대 유속을 나타내며, 좌우대칭적인 유속분포의 모습을 보이고, 만곡부에서는 수로안쪽을 따라 최대유속이 발생하였다. 수로의 직선구간에서는 최대유속이 발생하는 즉, 중앙에서의 오염물질의 분산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졌으며 농도의 퍼짐형상인 오염운 역시 만곡부에서는 수로만곡부의 안쪽을 따라 확산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만곡부 외측에서는 오염물질의 정체현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며, 유속구조의 횡방향 비대칭구조로 인한 종 횡방향의 분리현상이 발생하고, 오염운의 중첩현상이 종방향으로 연속되게 나타난다. 향후 수심방향 거동을 포함한 3차원적 분석이 요구되며 이 연구결과는 2차원적 수치해석의 적용 및 분석 자료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FEM Algorithm for Modeling Bed Elevation Change (하상변동 수치모의를 위한 유한요소법 알고리즘 개발)

  • Kim, Tae-Beom;Choi, Sung-Uk;Min, Kyung-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88-593
    • /
    • 2006
  • 자연하천은 일반적으로 만곡수로나 사행수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직선수로에서와 달리 원심력에 기인한 이차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차류에 의해서 수면에서는 만곡부 바깥쪽으로, 하상에서는 만곡부 안쪽으로의 흐름특성을 보이게 된다. 만곡부 안쪽으로 가해지는 하상 전단응력에 기인하여 하상에서의 입자가 만곡부 안쪽으로 이송되며, 결과적으로 만곡부 안쪽에는 점사주가, 바깥쪽에는 소(pool)가 생성된다. 또한 지형경사의 생성으로 입자에 가해지는 중력효과도 변화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연하천의 흐름과 하상변동을 수치모의 하기 위해서는 만곡부 이차류 특성을 고려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적분된 흐름방정식과 하상토 보존방정식 (Exner equation)을 이용한 하상변동을 위한 비연계 수치모형을 위해서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유한요소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하상토 보존방정식은 흐름 특성에 따른 평형 유사량의 공간변화율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하상 변화량을 계산한다. 이 때 이차류에 의한 하상 전단응력의 편각 및 지형경사 변화에 따른 실제 입자의 이송방향을 보정하여 평형 유사량이 계산된다. 이러한 보정식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유속성분의 공간변화량 및 지형경사의 공간성분이 필요하다. 유한요소법은 연속성 변수를 이산화시켜 근사해를 구하는 수치기법의 일종이기 때문에, 요소망이 불규칙적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임의의 절점에서 연속성을 지닌 변수의 공간변화율을 계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형 유사량 계산 시에 절점이 아닌 요소 내부에서 평형 유사량을 계산하는,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새로운 유한요소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수치모형의 검증을 행하였다. 경계조건 알고리즘의 검증으로 위해서 Soni 등 (1980)이 행한 상류 유입 유사량에 따른 하상변동을 수치 모의하고 실험치와 비교하였으며, Sutmuller와 Glerum (1980)이 수행한 만곡수로에서의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실험과 비교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유한요소 수치모형의 결과는 매우 안정적이며, 실험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수치모델은 현재 균일한 입자의 하상토만을 고려하므로, 입자분급이나 하상 장갑화 현상 등은 무시한다.

  • PDF

Detailed Analysis for Secondary Flow Pattern Before and After Channel Bend in Actual River (실규모 하천 계측자료 기반 만곡 전후 2차류 흐름패턴 상세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Seojun;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0-80
    • /
    • 2015
  •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행하천은 만곡의 영향으로 2차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2차류의 영향은 하상변동, 제방침식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사행수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실규모 하천의 유속측정의 어려움, 측정이 가능한 시설 및 경제적 제한으로 인해 주로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흐름조건이 상이한 실제 하천에서 적용성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세한 3차원 유속 측정이 가능한 최신 계측기기인 초음파도플러유속계(ADCP)를 활용하여 실제하천과 유사한 흐름 상태 및 지형을 재현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의 사행도 1.2, 1.5, 1.7의 실규모 사행수로에서 횡단면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초음파지점유속계(ADV)를 사행도 1.2의 ADCP 측정 단면과 동일한 횡단면에서 측정하여 공간평균된 ADCP 유속자료를 이용한 흐름패턴 분석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간평균된 ADCP 유속분포는 시간평균한 ADV 유속분포와 다소 크기의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패턴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간평균된 ADCP 유속분포를 이용하여 2차류에 의한 흐름패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2차류 패턴은 만곡의 위치에 따라 매우 복잡한 형태로 나타났다. 2차류에 의한 최대유속선과 최대수심선의 발생위치를 분석한 결과, 만곡의 정점부를 기준으로 만곡 전인 유입부에서는 이격되고 만곡 후인 유출부에서는 유사한 경로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때의 2차류강도(Secondary Current Intensity; SCI)는 만곡의 정점부 부근에서 최대로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Inverted Siphon Curved Channel System of Serial Contact Materials (연속접촉재 역사이폰 만곡수로 시스템의 수질개선)

  • Lee, Jong-Seok;Lee, Seung-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6B
    • /
    • pp.541-550
    • /
    • 2011
  • This study sets the goal to improve effectively water quality of stream by complementing the weak points of the gravel contact oxidation process to use the inverted siphon curved channel system in free overfall of serial contact materials. The size of the current system can be diminished by expanding contact time, and the materials' replacement can be made easier when their gap are closed through the filtering boxes of contact materials. This system also has been developed into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mixed and serial contact materials can be employed by using just the conventional single contact materials. It was verified the improvement ability of water quality of this system, during the simulation test at Tandong stream in Daeje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several experiments in field were measured as follows : it showed to reduce about the averaged 55~83% higher than 60~75%, the internal planned goal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facilities.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Variation of Radius of Curvature in Open Channel Bends (만곡수로에서의 곡률반경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 윤세의;이종태
    • Water for future
    • /
    • v.23 no.4
    • /
    • pp.435-444
    • /
    • 1990
  • The flow characteristics varying with the rate of the radius of curvature to width (Rc/B) in open channel bends are investigated with a simplified numerical model, briefly. Secondary flow velocity and transverse bed slope are formulated from the equations of moment of momentum and force balance analysis, respectively. The conservation equations of mass and streamwise momentum are simplified by depth integration and its solution could be obtained form explicit finite difference method. Three sets of computer simulation are executed. The rates of Rc/B adopted in simulations are 2.7, 5.4, 8.1 , respectively. The terms analyzed in this paper are secondary flow velocity, streamwise velocity, the path of maximum streamwise velocity, deviation angle, and mass-shift velocity.

  • PDF

A Two Dimensional in Bended Open Channel Flows (만곡수로에서 2차원 흐름해석)

  • Yoon, Sei Eui;Lee, Jong Tae;Lee, Won 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1
    • /
    • pp.87-94
    • /
    • 1986
  • Under natural condition, many rivers had shallow and gently curved shape in plane. A two dimensional mathematical model of the flow was a very attractive on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bended open channels were analyzed. The mathematical model based on the mass and the momentum equation of the two-dimensional unsteady flow was developed by introduc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double sweep algorithm. For the purpose of the verification of this model, the modeling results were applied to the L.F.M flume and the I.I.H.R flume. The results had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flumes. The results could be more close to the experimental data by controlling Chezy Coefficients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friction around side wall, and be studied the importance of the convective term. The water surface profile, the direction and scale of depth average mean velocity and the path of the thread of maximum velocity in bended open channels could be computed.

  • PDF

Application of Non-hydrostatic Free Surface Model for Three-Dimensional Viscous Flows (비정수압 자유수면 모형의 3차원 점성 흐름에의 적용)

  • Choi, Doo-Y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4
    • /
    • pp.349-360
    • /
    • 2012
  • A horizontally curvilinear non-hydrostatic free surface model that was applicable to three-dimensional viscous flows was developed. The proposed model employed a top-layer equation to close kinematic free-surface boundary condition, and an isotropic k-${\varepsilon}$ model to close turbulence viscosity in the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The model solved the governing equations with a fractional step method, which solved intermediate velocities in the advection-diffusion step, and corrects these provisional velocities by accounting for source terms including pressure gradient and gravity acceleration. Numerical applications were implemented to the wind-driven currents in a two-dimensional closed basin, the flow in a steep-sided trench, and the flow in a strongly-curved channel accounting for secondary current by the centrifugal force.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s, the model showed its capability that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with respect to free surface elevation, velocity,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