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산 선택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rocess Algebra Construct Method for Reduction of States in Reachability Graph: Conjunctive and Complement Choices (도달성 도표의 상태감소를 위한 프로세스 대수 구문 방법: 이음 선택과 여 선택)

  • Choe, Yeongbok;Lee, Moonkun
    • Journal of KIISE
    • /
    • v.43 no.5
    • /
    • pp.541-552
    • /
    • 2016
  •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 notions of conjunctive and complement choices in process algebra, which reduce both process and system complexities significantly for distributed mobile real-time system during specification and analysis phases. The complement choice implies that two processes make cohesive choices for their synchronous partners at their own choice operations. The conjunctive choice implies choice dependency among consecutive choice operations in a process. The conjunctive choice reduces process complexity exponentially by the degree of the consecutive choice operations. The complement choice also reduces system complexity exponentially by the degree of the synchronous choice operations. Consequently, the reduction method makes the spec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systems much easier since the complexity is reduced significantly. This notion is implemented in a process algebra, called ${\delta}$-Calculu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re demonstrated with an example in a tool for the algebra, called SAVE, which is developed on ADOxx platform.

A method of operation selection in scheduling with decreasing mobilities (배정 가능 범위 축소에 의한 스케쥴링을 위한 연산 선택 방법)

  • 서영진;유희진;박도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65-667
    • /
    • 1998
  • 자동화 설계의 합성 과정 중에서 스케쥴링은 설계되는 하드웨어의 면적과 실행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논문[8]의 방법으로 모든 연산의 배정 가능 범위를 축소하였으나 스케쥴링이 종료되지 않을 때 현재의 스케쥴링 상황을 매개변수로 표현하여 임의의 연산 배정 범위를 축소하기 위한 선택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배정 가능 범위가 가장 큰 연산의 ASAP 또는 ALAP중의 하나를 항상 선택하는데, 그러한 연산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임의의 연산의 ASAP 또는 ALAP을 선택하여 축소하는 경우에 모든 연산의 배정 가능 범위의 변화량, 임의의 연산을 ASAP 또는 ALAP에 고정하였을 때 자원 제약과 그 연산의 종속성에 의한 다른 연산들의 이동 변화량, 그리고 각 파티션에 연산들의 배정을 균등하게 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연산의 ASAP 또는 ALAP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이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 5차 엘립틱 웨이브 필터를 벤치마크로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모든 엘립틱 웨이브 필터에 대해 최적이었다.

  • PDF

Enhancement of Computational Efficiency for Type-1 Fuzzy Logic Controller Using Rule Selection Method (Rule 선택 기법을 사용한 Type-1 Fuzzy Logic Controller의 연산 효율성 향상)

  • Joh, Jung-Woo;Park, Gw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79_188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제어상황에 따라 Type-1 Fuzzy Logic Controller가 선택적으로 rule을 사용하도록 rule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산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논한다. Type-1 Fuzzy Logic Controller는 기존의 제어기에 비해 설계하기 쉽고 성능이 더 뛰어나다. 그러나 제어 변수가 많아질수록 rule의 개수가 늘어나 연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연산량이 많아지면 고성능의 컴퓨터에서는 실시간 연산에 문제가 없으나 산업용 micro controller에서는 실시간 연산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Type-1 Fuzzy Logic System의 논리구조에 근거하여 Type-1 Fuzzy Logic Controller의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제어상황에 따라 필요한 rule들만 선택적으로 제어값 도출을 위한 연산에 관여하도록 한다.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용성과 연산량을 실험하였다. 실험대상은 2륜 이동로봇으로 하였고 step 응답과 전/후진 시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Type-1 Fuzzy Logic Controller에 비해 제어상황에 따라 필요한 rule들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산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 PDF

Fast Frame Selection Method for Multi-Reference and Variable Block Motion Estimation (다중참조 및 가변블록 움직임 추정을 위한 고속 참조영상 선택 방법)

  • Kim, Sung-Dae;SunWoo, Myung-H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5 no.6
    • /
    • pp.1-8
    • /
    • 2008
  • This paper introduces three efficient frame selection schemes to reduce the computation complexity for the multi-reference and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ME). The proposed RSP (Reference Selection Pass) scheme can minimize the overhead of frame selection. The MFS (Modified Frame Selection) scheme can reduce the number of search points about 18% compared with existing schemes considering the motion of image during the reference frame sele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TPRFS (Two Pass Reference frame Selection) scheme can minimize the frame selection operation for the variable block size ME in H.264/AVC using the character of selected reference frame according to the block siz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proposed schemes can save up to 50% of the ME computation without degradation of image Qualify. Because the proposed schemes can be separated from the block matching process, they can be used with any existing single reference fast search algorithms.

An Analysis of Mastering Concept and Connection with Operations in Natural Number and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초등 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 익히기 및 연산 사이의 연결 분석)

  • Roh, Eun Hwan;Jeong, Sang Tae;Kim, Min Jeo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9 no.4
    • /
    • pp.563-588
    • /
    • 2015
  • In elementary school, didactical transposition is inevitable due to several reasons. In mathematics, addition and multiplication are taught as binary operations, subtraction and division are taught as unary operations. But in elementary school, we try to teach all the four operations as binary operations by didactical transposition. In 'Mastering' the concepts of the four operations, the way of concept introduction is dealt importantantly. So it is different from understanding the four oper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our operations of natural numbers and fractions from two perspectives: concept understanding (how to introduce concepts and how to choose an ope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ons. As a result,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In division of fractions, students attempted a connection with multiplication of fractions right away without choosing an operation, based on the situation. Also, to understand division of fractions itself, integrate division of fractions presented from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fth grade to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are needed. In addition, this result can be useful in the future textbook development.

Indoor localization algorithm based on WLAN using modified database and selective operation (변형된 데이터베이스와 선택적 연산을 이용한 WLAN 실내위치인식 알고리즘)

  • Seong, Ju-Hyeon;Park, Jong-Sung;Lee, Seung-Hee;Seo, Dong-Ho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8
    • /
    • pp.932-938
    • /
    • 2013
  • Recently, the Fingerprint,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indoor localization using WLAN, has been many studied owing to robustness about ranging error by the diffraction and refraction of radio waves. However, in the signal gathering process and comparison operation for the measured signals with the database, this method requires time consumption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based on proposed modified database, WLAN indoor localization algorithm using selective operation of collected signal in real time.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configuration time and the size of the data in the database through linear interpolation and thresholding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the localization accuracy, while reducing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maintained through selective operation of the signals which are measured in real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localization is improved to 17.8% and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reduced to 46% compared to conventional Fingerprint in the corridor by using proposed algorithm.

Oligonucleotide Probe Selection using Evolutionary Computation in Large Target Genes (다수의 목표 유전자에서 진화연산을 이용한 Oligonucleotide Probe 선택)

  • Shin, Ki-Roo;Kim, Sun;Zhang, B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55-457
    • /
    • 2003
  • DNA microarray는 분자생물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험 도구로써 크게 cDNA와 oligonucleotide microarray로 나뉘어진다. DNA microarray는 일련의 DNA 서열로 이루어진 probe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알려지지 않은 서열과의 hybridization 과정을 통해 특정 서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O1igonucieotide microarray는 cDNA 방법과는 다르게 probe를 구성하는 서열을 제작자가 임의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 서열이 가지는 고유한 부분만을 probe 서열로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과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목표 유전자 서열에 대해 probe 집합을 생성하는 결정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넓은 해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최적 해를 찾아 주는 진화 연산이 probe 선택을 위한 좋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1.2]. 그러나 진화연산을 이용한 probe 선택방법에 있어서 인식하고자 하는 목표 서열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해 공간의 크기가 커짐으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목표 유전자 서열을 대상으로 한 probe 선택 방법에 일어서 보다 효율적인 진화연산 접근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된 방법은 인식하고자 하는 목표 서얼의 일부를 선택해 이를 probe 집합의 후보로 사용하며. 유전 연산자를 이용한 진화과정을 통해 최적에 가까운 probe 집합을 찾는다. 본 논문은 GenBank로부터 유전자 서열을 대상으로 제안된 방법을 실험하였으며, 축소된 목표 서열만을 이용해 probe 집합을 선택하더라도 적합한 probe 집합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DG-DARTS: Operation Dropping Grouped by Gradient Differentiable Neural Architecture Search (그룹단위 후보 연산 선별을 사용한 자동화된 최적 신경망 구조 탐색: 후보 연산의 gradient 를 기반으로)

  • Park, SeongJin;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850-853
    • /
    • 2020
  • gradient decent 를 기반으로 한 Differentiable architecture search(DARTS)는 한 번의 Architecture Search 로 모든 후보 연산 중 가장 가중치가 높은 연산 하나를 선택한다. 이 때 비슷한 종류의 연산이 가중치를 나누어 갖는 "표의 분산"이 나타나, 성능이 더 좋은 연산이 선택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막기위해 Architecture Parameter 가중치의 gradient 를 기반으로 연산들을 클러스터링 하여 그룹화 한다. 그 후 그룹별로 가중치를 합산하여 높은 가중치를 갖는 그룹만을 사용하여 한 번 더 Architecture Search 를 진행한다. 각각의 Architecture Search 는 DARTS 의 절반 epoch 만큼 이루어지며, 총 epoch 이 같으나 두번째의 Architecture Search 는 선별된 연산 그룹을 사용하므로 DARTS 에 비해 더 적은 Search Cost 가 요구된다. "표의 분산"문제를 해결하고, 2 번으로 나뉜 Architecture Search 에 따라 CIFAR 10 데이터 셋에 대해 2.46%의 에러와 0.16 GPU-days 의 탐색시간을 얻을 수 있다.

Selectivity Estimation for Spatio-Temporal a Overlap Join (시공간 겹침 조인 연산을 위한 선택도 추정 기법)

  • Lee, Myoung-Sul;Lee, Jong-Yu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5 no.1
    • /
    • pp.54-66
    • /
    • 2008
  • A spatio-temporal join is an expensive operation that is commonly used in spatio-temporal database systems. In order to generate an efficient query plan for the queries involving spatio-temporal join operations, it is crucial to estimate accurate selectivity for the join operations. Given two dataset $S_1,\;S_2$ of discrete data and a timestamp $t_q$, a spatio-temporal join retrieves all pairs of objects that are intersected each other at $t_q$. The selectivity of the join operation equals the number of retrieved pairs divided by the cardinality of the Cartesian product $S_1{\times}S_2$. In this paper, we propose aspatio-temporal histogram to estimate selectivity of spatio-temporal join by extending existing geometric histogram. By using a wide spectrum of both uniform dataset and skewed dataset, it is shown that our proposed method, called Spatio-Temporal Histogram, can accurately estimate the selectivity of spatio-temporal join. Our contribu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lectivity estimation of spatio-temporal join for discrete data has been first attempted. Second, we propose an efficient maintenance method that reconstructs histograms using compression of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during the lifespan of discrete dat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luetooh Hop Selector (블루투스 홉 선택기 모듈의 설계 및 구현)

  • Cho, Sung;Hwang, Sun-Won;An, Jin-Woo;Lee, Sang-Hoon;Joo, Ch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292-295
    • /
    • 2003
  • 블루투스 전송 기술은 2.4㎓ 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ine)밴드에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한다. 주파수 호핑율은 연결 상태에서 초당 1600회, 조회 또는 호출 상태에서 초당 3200회의 호핑을 한다. Hop 채널 선택은 블루투스 표준안에서 제시한 5개의 호핑 시퀸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호핑 주파수에 따라 이를 매핑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6개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실행되는 채널 계산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필요한 연산모듈의 수를 줄이기 위해 9비트 프로세서를 이용해 Hop 선택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설계된 모듈은 레지스터 파일,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장치, 가산, 치환(permutation), Modulo 계산을 위한 3개의 연산장치로 구성된다. Hop 채널 계산 중 가장 클럭 소요가 큰 Modulo 연산은 SRT나눗셈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음수 값 계산 및 연산 속도 향상을 꾀하였다. 제시된 Hop 선택 모듈은 하드웨어 묘사언어인 VHDL로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는 Xilinx FPGA를 이용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