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료 분배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퍼지 제어를 이용한 수소 상용차 전력 분배 시뮬레이션 (Commercial Hydrogen Vehicle Power Distribution Simulation Using Fuzzy Control)

  • 한재수;한재수;우종빈;유상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69-380
    • /
    • 2023
  •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estimating the power distribution of fuel cells and batteries to meet the required power in hydrogen electric vehicles. In this study, a hydrogen electric vehicle simulation model equipped with a vehicle electric component model including a fuel cell system was built, and a power distribution strategy between fuel cells and batteries was established. The power distribution model was operated through two control strategies using step control and fuzzy control, and each control strategy was evaluated through data derived from the simulation. As a result of evaluation through the behavior data of state of charge, fuel cell current and balance of plant, fuzzy control was evaluated as a proper strategy in terms of control stability and durability.

재사용 발사체를 위한 최적 연착륙 유도 및 자세 제어 연구 (Optimal Soft Landing Guidance and Attitude Control for Reusable Launch Vehicles)

  • 전호영;조준현;김종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1-25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사용 발사체의 종말 연착륙 구간 비행 제어를 위한 컨벡스 최적화 기반 최소 연료 정밀 착륙 문제를 수립하고 이분탐색을 통해 최단 시간 연착륙 비행궤적을 도출하였다. 계산된 유도 명령 추종을 위해 자세 제어 루프와 구동력 분배 문제를 수립하고 해결함으로 재사용 발사체의 착륙 영역 비행제어계 구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비행제어계의 착륙 유도성능은 6-자유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되고 분석되었다.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안정적 반응 가스 공급을 위한 중앙 유동 분배기 형상 설계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Design of a Central Flow Distributor Device Stabilizing Flow Uniformity in a vehicular fuel cell stack)

  • 정혜미;엄석기;정희석;이성호;서정도;손영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4-557
    • /
    • 2008
  • In this study, two types of central flow distributor designs are presented and compared to obtain the optimal compact design which has the least flow resistance and the uniform flow distribution in a vehicular fuel cell stack. For effective and reliable prediction on the thermo-flow characteristics of the reactants flow over the entire fuel cell stack domain, open channel flow in the bipolar plates of the power generating cells were simulated by applying a simplified flow resistance model with an empirical porous concept. A number of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an optimal configuration of a central flow distributor device in terms of the time-dependent thermo-flow behavior and load-dependent flow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ble and load-independent thermo-flow uniformity is very design specific,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central manifolding de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enhanced volumetric power density and the reliable long-lasting operating of fuel cells.

  • PDF

고온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박판형 분리판의 유로 설계 및 스택 성능 평가 (Flow Field Design and Stack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hin Plate Separator for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김지홍;김민진;김진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442-449
    • /
    • 2018
  • Research on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HT-PEMFC) has actively been conducted all over the world. Since the HT-PEMFC can be oper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120-180^{\circ}C$ using phosphoric acid-doped polybenzimidazole (PBI) electrolyte membrane, it has considerable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PEMFC in terms of operating conditions and system efficiency. However, If the thermal distribution is not uniform in the stack unit, degradation due to local reaction and deterioration of lifetime are difficult to prevent. The thin plate separator reduces the volume of the fuel cell stack and improves heat transfer, consequently, enhancing the cooling effect. In this paper, a large area flow field of thin plate separator for HT-PEMFC is designed and sub-stack is fabricated. We have studied stack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proposed design can achieve acceptable stack performance at a wide operating range.

LPI 차량용 연료필터하우징 개발 (Development of LPI Vehicle Fuel Filter Housing)

  • 이병훈;박성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653-659
    • /
    • 2014
  • 자동차용 LPI 연료필터 하우징의 냉간단조 공정에 대한 성형해석을 수행하였다. 변형과 하중의 분배를 고려하여 금형과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기존 모델과 신규 모델의 유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유동해석 결과, 두 모델은 동등한 압력강하량을 나타내었다. 기존 제품 대비, 상부 하우징은 16 g, 하부 하우징은 30.5 g이 감소하여, 총 46.5 g의 중량이 감소하였다.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밀시험 및 내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 기준을 만족하였다.

소형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전력 특성변화 시뮬레이션 (Power Characteristic Variation Simulation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for Small UAV)

  • 이보화;박부민;김춘택;양수석;안석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052-105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 태양전지,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추진시스템의 전력특성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각 전력원을 통합하여 400 W급 전기 추진시스템에 대하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능동 제어로직이 없어도 배터리는 시동 및 과도상태에서 다른 동력원에 비해 빠른 출력반응을 보였으며, 연료전지와 태양전지는 순항영역에서 주 전력 공급원의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비행 후 동지때 SOC는 24.2%이고, 하지에는 93%로 시스템 안정성 확보 및 효율적인 동력분배 차원에서 적정 SOC를 유지하기 위하여 능동 전력제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HCNG 엔진용 연료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Fuel Supply System for HCNG Engine)

  • 이성원;임기훈;박철웅;최영;김창기;이장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46-153
    • /
    • 2013
  • CNG buses has contributed to improve air quality in cities. Bu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next emission regulations such as EURO-VI without the help of additional post-processing device. Hydorgen has higher flame speed and lower combustion temperature that make it thermal efficiency increase with leaner operation. Using hydrogen natural gas blend (HCNG) fuel is promising technology which can reduce $NO_x$ and $CO_2$ emissions for a natural gas vehicle. However, fuel flow rate of HCNG should be increased since hydrogen's energy density per volume is much smaller than natural gas.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uel supply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were evaluated in a heavy duty natural gas eng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tential of fuel pressure regulator and fuel metering valve had enough capacity with HCNG. Employed mixer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xture.

에너지부문 환경세 도입의 소득분배 파급효과 (Environmental Tax in the Energy Sector and Its Income Distribution Effect)

  • 강만옥;임병인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2호
    • /
    • pp.1-32
    • /
    • 2008
  • 본 연구는 에너지부문 환경세 도입방안의 소득분배 파급효과를 "도시가계조사" 및 "가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Kakwani지수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비수송용 에너지 사용에 대한 조세는 누진적, 수송용 연료에 대한 조세는 역진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시나리오별 누진성 측정지표는 현행 에너지 가격구조와 비교하면, 환경세가 역진적이라고 추정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시나리오 I은 교통혼잡세를 제외하고는 누진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II의 전체 세부담액에 의한 지표는 누진성을 약간 강화시켰고, 시나리오 III은 부가가치세와 세수 총계에서 약간 역진적인 성격을 보이나 환경세, 열량세, 환경세 교통혼잡세 열량세의 합계로 각각 측정한 지표는 누진성을 전반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환경세도입으로 인해 조세수입이 증가(시나리오 III)하는 것을 절대빈곤계층에게 환급해 줄 경우 예상대로 누진성을 강화시켰고 또한 환급수준이 클수록 누진성 강화 정도 역시 커졌다. 결과적으로 환경세 도입이 소득분배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세 도입으로 인해 발생한 세수 증가분을 빈곤계층에게 일부 환급할 경우, 누진성이 더 강화되는 결과를 보여주어 소득계층간 불공평성도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 PDF

다기통 전기점화기관의 균질혼합기 공급에 관한 연구 -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Homogeneous Mixture Supply in a Multi-Cylinder Spark Ignition Engine - Effect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

  • 김물시;이용길;박경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2194-2200
    • /
    • 1994
  • In an automotive spark ignition engine, it is important to form the proper mixture (air/fuel) on each driving condition for developing the stabilizing combustion and exhaust characteristics. Since most of supply fuel si attached on the inside wall of the intake manifold for unadequate nonuniformity of fuel distribution to each cylinder and mixture variation. Also it affects engine performance variation and causes noises and vibr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effect of the mixture variation which is caused by fuel liquid film in the intake manifold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engine performance.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최적 연비 제어 및 전력제어 (Power Flow Control and Optimal Fuel Efficiency Control for a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 유현재;설승기;김상민;박용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엔진, 발전기, 견인 전동기, 배터리, 전력 변환기로 구성된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최적 효율 운전 및 통합 전력제어에 관해 논의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엔진은 최적 효율 운전을 위해 부하에 따라 가변속(Variable Speed) 운전되며, 속도를 가변하여도 필요한 전력을 순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순시적인 전력의 변동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연료 효율 및 배터리의 수명을 고려하여 엔진과 배터리의 전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통합 전력제어 방법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제안된 통합 전력제어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