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비

Search Result 1,91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proposal for improvement of fuel cost developmant process in CBP (전력시장에서 연료비 평가 및 입찰제도 개선 연구)

  • Baek, Sun-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36-637
    • /
    • 2011
  • 변동비반영시장을 운영하는 우리나라 전력시장에서 발전기의 연료비는 변동비의 핵심요소이다. 현행시장은 이미 발전기가 지출한 연료비에 대해 증빙자료를 제출하고 이에 근거한 사후평가체계이다. 따라서 실제 사용하는 연료비와 시장가격간 2개월 시차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회사별 연료구입실적에 근거하지 않고 국제유가 등 객관적 지수에 따라 적용시차를 단축하는 비용평가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변동비 구성요소를 재정립하고 각 평가방법을 서술하며 발전회사에 제한적인 연료비 입찰권을 부여하여 스스로 연료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입찰제 도입을 제시하려 한다. 본 논문은 비용평가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그 세부적 방안을 설명하고, 제도도입시 유효성을 설명하고 있다.

  • PDF

Gasification Performance of a Heavy Residual Oilwith Changes in Key Operating Variables (주요 운전 변수에 따른 중잔유 가스화의 성능 예측)

  • 이승종;윤용승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40-152
    • /
    • 2001
  • 발전 연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은 중잔유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중잔유의 가스화 성능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들인 산소 공급비, 증기 공급비 및 가스화기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중잔유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가스화 성능을 예측하였다. 산소량은 0.5~2.0의 산소/연료비 범위에서 변화시켰고 증기량은 0.1~2.0의 증기/연료비에서 변화시켰으며 가스화기 온도는 600~200$0^{\circ}C$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대상 연료는 국내산 아스팔트이며 산소-증기, 산소-온도 및 증기-온도의 조합으로 동시 변화시킬 때의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산소량이 증가할수록 CO와 H$_2$ 생성량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기량이 증가할수록 H$_2$ 생성량은 130$0^{\circ}C$부근까지 증가한 후 130$0^{\circ}C$ 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CO 생성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아스팔트의 경우 산소/연료비 0.92~1.01, 증기/연료비 0.18~0.49 및 가스화기 온도 1250~132$0^{\circ}C$의 영역에서 가스화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형 디젤대체용 LPG 엔진개발

  • Gang, Geon-Yong
    • LP가스
    • /
    • s.71
    • /
    • pp.49-53
    • /
    • 2000
  • 대형디젤엔진의 대체용으로 LPG 엔진을 개발함에 있어서 차세대 연료공급방식인 LPG 연료의 액상분사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믹서방식의 연료공급시스템을 가진 LPG 엔진보다 고출력, 고효율, 저공해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먼저 단기통 연소엔진을 이용하여 대형엔진에 LPG 연료 적용 가능성, 액상분사 시스템을 포함한 여러 가지 연료공급방식에 따른 엔진의 성능파악, 대형엔진에 적합한 최적 선회비의 결정, 연료조성에 따른 엔진성능의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대형엔진에 LPG 연료의 적용은 아무런 문제점이 없었으며 LPi 연료공급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서 10%정도의 체적효율 및 출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의 선회비는 2.0 부근에서 형성되었고, 연료 조성은 프로판 대 부탄의 비율이 60 : 40에서도 정상적으로 운전됨을 확인하였다. 시제품 엔진의 경우, 과급방식의 KL6i 엔진을 개발하기 앞서 좀더 기술적 접근이 용이한 자연흡입방식의 K-1엔진의 개발이 선행되었으며 현재 개발 진행중인 K-1엔진의 성능평가 결과, 기존의 디젤엔진에 비해 출력성능이 20%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형차량에서 중요시 생각되는 저속토크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통 연소엔진에서 확인된 최적화된 연료조성과 선회비를 향후 K-1엔진에 적용할 예정이다. 최근 열린 가스학회 추계발표회와 LPG자동차세미나의 주요내용을 게재한다.

  • PDF

Adhering Characteristics of Diesel Spray Impinging to a Flat Wall (평판에 충돌하는 디젤분무의 부착특성)

  • Ko, K.N.;Huh, J.C.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9 no.3
    • /
    • pp.21-25
    • /
    • 2005
  • 디젤분무가 연소실 벽에 충돌할 때의 연료부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판에 충돌하는 디젤 분무의 부착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투명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연료액막과 충돌분무를 동시에 촬영하였고, 충돌분무의 성장에 따른 연료액막의 성장도 함께 측정되었다. 부착된 연료는 연료액막 및 부착액적들로 나누어서 측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연료액막 주변에 무수한 연료액적이 부착함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부착연료비를 예측하기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부착연료비를 충돌거리 10mm, 30mm, 50mm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CANFLEX 연료봉 다발의 수중 진동특성

  • 박진석;정장환;김복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21-926
    • /
    • 1998
  • CANFLEX 연료봉 다발의 3000 시간 내구성 시험 기간 동안 속도센서를 사용하여 압력관 내부에 장전된 연료봉 다발의 진동을 측정하였다. 압력관 내부에 장전된 연료봉의 진동측정은 고온, 고압, 그리고 공간적 제약 때문에 가속도계나 스트레인 게이지 같은 접촉센서로는 측정할 수 없다. 비접촉 센서를 사용하면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고 압력관 내부에 장전된 연료봉 다발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속도센서는 비접촉 센서로서 가우스(gauss)의 크기를 감지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센서이지만, 측정거리, 주파수, 그리고 속도와 가우스가 비선형이기 때문에 교정을 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본 본문에는 속도센서의 교정방법과 압력관 내부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연료봉 다발의 진동특성을 구하였다.

  • PDF

Production of Water/n-decane Emulsion Fuel and Evaluation of Rheological Stability (물/n-데칸 에멀젼 연료의 제조 및 유변학적 안정성 평가)

  • Kim, Hye Mi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1 no.4
    • /
    • pp.8-14
    • /
    • 2017
  •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proper emulsion fuel and the evaluation of its rheological stability in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arried out. The W/O (water-in-oil) emulsion fuel was made using n-decane, pure water, and Span 80 was used as a surfactant. Increments of water volume ratio and fuel temperature were the factors, which boosted the phase separation of the emulsion fuel. Rheological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water/oil volume ratio, temperature, and elapsed time after the fuel production were examined. As the water volume ratio in the fuel increased, the behavior of non-Newtonian fluid was observed. Viscosity declined as the fuel temperature increased due to the cohesion of water droplets in the fuel. The effect of elapsed time on viscosity was not severe for lower water ratio. However, gradual decrease of viscosity 3 hours after fuel production, in the case of ratio of 3:7, was clearly observed.

Fuel Cell Modeling and Simulator(APL) Considering Nonlinear Fuel Cell Characteristic (연료전지 모델링 및 연료전지 비선형 특성을 반영한 모의전원 장치)

  • Park, Bong-Hee;Choi, Ju-Yeop;Choy, Ick;Cho, Sang-Yoon;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23-22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설계에 필요한 연료전지의 수학적 모델링과 이에 기초한 하드웨어 시뮬레이터(APL)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일반적인 DC 전압원 대신에 연료전지의 비선형 전원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모의 실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모델링에 관하여 설명한다. 연료전지는 화학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개질기를 사용하여 수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등 실험실에서 실제 운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런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는 모의전원장치(APL)을 사용하여 연료전지의 I-V 및 P-V 곡선의 전기적 비선형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연료전지용 제어기 및 전력변환장치 설계가 보다 더 현실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Mixedness of Fuel and Air in MEMS Gas Turbine Engine According to Change of Fuel Injectors and Equivalence Ratio (연료 분사구 형상 변화 및 당량비 변화에 따른 MEMS 가스터빈 내 연료-공기 혼합에 관한 연구)

  • Hwang, Yu-Hyeon;Jung, Dong-Ho;Kim, Sun-Min;Kim, Dae-J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9
    • /
    • pp.835-841
    • /
    • 2010
  • The design of the fuel injector is one of the important operat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extent of mixing of air and fuel in an MEMS gas turbine engine. In this study, we consider a system with three inlet ports with each port having multiple injectors. We perform a parametric study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fuel injectors and difference of ratio of fuel supply.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the premixed flow distribution and equivalence ratio.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Fuel Additi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2-Stroke Large Diesel Engine (2행정 대형 디젤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료첨가제의 실험적 연구)

  • Ryu, Younghyun;Lee, Youngseo;Nam, Jeonggil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6
    • /
    • pp.620-625
    • /
    • 2015
  • In an effort to reduce the onset of global warming,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IMO MEPC) proposed the reduction in ship speeds as a way of lowering the proportion of carbon dioxide ($CO_2$) in the Green House Gas emissions from ships. To minimize fuel costs, shipping companies have already been performing slow steaming for their own fleets. Specifically, the slow steaming approach has been adopted for most ocean-going container lin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increased marine fuel cost that is required to enable increased capacit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ore advanced fuel-saving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resent study, we propose a fuel-cost reduc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esel engines. We introduce a predetermined amount (0.025% of the amount of fuel used) of fuel additive (oil-soluble calcium-based organometallic compound). For improved experimental accuracy, as the test subjects, we utilize a large two-stroke diesel engine installed in land plants. The loads of the test engine were classified as low, medium, and high (50, 75, and 100%, respectively). We compare the engine performance parameters (power output, fuel consumption rate, p-max, and exhaust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the addition of fuel additives. Our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we can realize fuel-cost savings of at least 2% by adding the fuel additive in low load conditions (50%). Likewise, the maximum combustion pressure was found to hav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at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exhaust temperature.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ybrid Rocket with the Variation of L/D Ratio (하이브리드 로켓의 L/D 비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 Kim Soo-Jong;Kim Jin-Kon;Lee Seung-Chul;You Woo-Jun;Lee Jung-P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9 no.4
    • /
    • pp.31-38
    • /
    • 2005
  • In this paper,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hybrid propulsion system were studied with various L/D(length vs diameter) ratio of the single po.1 type solid fu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2 cases with the fixed grain port diameter and fuel length respectively. For the first ca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large variations for regression rates as the L/D ratio changes. And as the L/D ratio increases, the O/F ratio decreases and thrust, characteristic velocity tends to increase. For the second case, there is no large change for O/F ratio, thrust and characteristic velocity as L/D ratio changes. On the other hand, as the L/D ratio decreases, only the regression rate tends to increase. Experimentally, exponent n in $\dot{r}=a{G_0}^n$ was found about 0.5 and then the O/F ratio was shown nearly constant. In the experiment, PE and gas oxygen were used as a fuel and an oxid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