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령대 분석

Search Result 1,34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zing ages, gender, location on Twitter using LDA (LDA를 이용한 트윗 유저의 연령대, 성별, 지역 분석)

  • Lee, Ho-Kyung;Chun, Ju-Ryong;Song, Nam-Hoo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116-119
    • /
    • 2013
  • 요즘 많은 사람들은 트위터를 통해 짧은 문장의 트윗을 작성하여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한다. 사람들이 작성한 트윗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이 담겨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에서는 연령대, 성별,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사용자들의 트윗을 분석하여 연령대, 성별, 지역을 예측하려 한다. 네이버 오픈사전의 자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개체명 사전을 이용한 자질 및 한국어 형태소 분석, 음절 단위의 bigram을 클래스별 의미 있는 자질로 선택하고 LDA를 이용하여 예측된 확률분포를 활용하여 분류한 결과, 연령 72%, 성별 75%, 지역 43%의 납득할만한 예측 정확도 결과를 얻게 되었다.

  • PDF

Implicit Knowledge on the Creative Person in Korea, China and Japan -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s (창의적 인물의 특성과 직업군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인의 암묵적 지식 비교)

  • Choe, In-Soo;Lee, Gun-Hee;Pyo, Jung-Mi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4
    • /
    • pp.615-63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person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his end, participants of all ages in three countries (Korean 328, Chinese 388, Japanese 394) were required to fill out the survey about creative pers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and Japanese recognized most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rson as "original" at all ages, Chinese recognized as "intellectual" in most ages. Second, occupations of creative persons were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Third, in Korea scientist and artist, in China politician, in Japan artist were the occupations of the highest frequency at all age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research of implicit knowledge on creativity in East Asian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licit knowledge about creative person differs in three countri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creativity.

Age and Gender Prediction from Korean Tweets with Stylometric Analysis (문체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트위터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 예측)

  • Kim, Sang-Chae;Park, Jong-C.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03-305
    • /
    • 2012
  • 사람들은 주변의 영향을 받아 가면서 각자의 독특한 글쓰기 양식을 만들어간다. 따라서 같은 연령대와 성별을 가지는 사람들은 유사한 글쓰기 양식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의 사람들이 작성한 트윗의 문체를 분석하여 임의의 트윗을 작성한 저자의 연령대와 성별을 예측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국어 웹 언어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들을 토대로 구성한 자질들과, 그에 비해 데이터와 관계가 적은 n-gram 단위의 자질들을 함께 사용하여 예측을 진행함으로써, 최대 공산 기준치보다 25%가량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예측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와 함께 각 자질 구성이 예측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기여하는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Operating System Update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운영체제 업데이트 실시여부 실증분석)

  • Kim, Sunok;Lee, Min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v.20 no.6
    • /
    • pp.3117-3126
    • /
    • 2018
  • The operating system update is a basic step to maintain a safe internet use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update was related to gender and age group during the violation accident prevention act in relation to information protection on the internet, and tr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se factor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group. In this stud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ecurity survey data surveyed by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in 2016. As a result, gender and age were surveyed as 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operating system upda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n the implementation of operating system updates by gender, it is estimated that the odds are 0.419 time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operating system update by age group based on the 50s, which is a vulnerable group of information, the result is that the odds are 13.266 times higher in the 20s than the 50s.

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of Living Body Based on Dental aspect in Jeollabuk-do (전라북도 지역의 치과적 생체 연령추정 사례의 분석)

  • Eom, Ae-Ja;Suh, Bong-Ji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3 no.2
    • /
    • pp.167-176
    • /
    • 2008
  • We analyzed 121 age estimation clients who had visited oral medicine clinic,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o evaluate its characters in Jeonllabuk-do.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distinct difference in sex distribution(Male : 58.7%, Female : 41.3%) and more than half percent(55.4%) was over 50's. 2. The difference between registered and alleged age was the most in more than 5 years, and most of them were over 50's. 3. There were more clients who wanted to increase their age than to decrease and was no prominent difference in sex. Age estimation clients who wanted to decrease their age were predominant under 10 years old and in 20's, and those wanted to increase were predominant in 10's and over 30's. 4. The most reasons to correct age were related to welfare benefit. The purpose of age estim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ge groups; welfare benefit was the most over 50's, occupation in 40's and 50's, friendship in 30's and 40's, sibling-related in 50's, employment in 10's and 20's. 5. Age was estimated by the attrition of permanent tooth and pulp/tooth ratio from 20 years, root apex closure for 10's and calcification of permanent tooth under 10 years old. In cases that were difficult to estimate by use of the attrition of permanent tooth and pulp/tooth ratio, age was estimated by missing time of permanent tooth and the change of mandibular angle with age. 6. The estimated ages were close to alleged age in 77.7% of clients but the rest(22.3%) was close to registered age.

Type of Mask Recognition in 20s (20대의 마스크 인식유형)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37-3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된 시대를 살고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하여 마스크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마스크를 사용하는가와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는 쿼넬 pc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마스크에 대한 인식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마스크를 늘 착용하며 마스크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착용자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상시 착용 영향 중시형'이었다. 유형 2는 마스크를 세균을 막기 위해 착용하며 마스크가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기능 중시 부정 인식형'이었다. 유형 3은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 착용 시 사람이 젊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은폐 착용 긍정 이미지형'이었다. 본 연구는 20대만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인식유형에 따른 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Study on Payment Difference of Health Examination Users in University Hospital Medical Center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검진금액 차이에 관한 연구)

  • Cho, Duk-Young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2
    • /
    • pp.47-58
    • /
    • 2013
  • This study analyzes on payment difference of users in sex, age, region using 23-months data by a university medical center to figure out factors which help to hospital management.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of all, the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ly, the researcher categorizes users under 40s into group A and 40s users into group B, those in 60s or older into group C. Then, researcher accepted H2 that there might be a difference on the age range of users in each group. Finally, In the results on difference analysis of the payment, there is onl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usan and Ulsan Gyeongnam. These results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edical center.

  • PDF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ccording to Body Position by Age Groups (연령별 신체자세에 따른 혈압의 차이분석)

  • Song, Mi-Ryeong;Lee, Young-Shin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v.13 no.3
    • /
    • pp.238-244
    • /
    • 2011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연령군별 측정자세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탐색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20세에서 59세까지 성인 136명을 대상으로 만성질병이 없고 연구 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령군을 나누어 앙와위, 좌위, 직립위에서 혈압의 차이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령군에 따라 운동여부와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연령과 측정자세에 따른 혈압 변화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초기 성인군(20대와 30대)에서는 자세의 변화에 따른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변화가 없었으나40대와 50대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앙와위에 비해 좌위(p=.007, p<.001)와 직립위(p<.001, p=.001)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수축기(p=.004)와 이완기(p=.019) 모두에서 연령과 측정자세에 따른 혈압 변화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어 연령군에 따라 자세로 인한 혈압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40세 이후에는 혈압측정시에 자세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며 중년기 이후 자세의 변화에 따른 혈역동의 변화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이 있다.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ography Diagnosis Fatty Liver Grade and Hyperlipidemia and Obesity Indicators by Age Groups (연령대별 초음파 진단 지방간 등급과 고지혈증 및 비만 지표 간의 상관관계 분석)

  • Hyeon, Sang-Yeon;Seoung, Youl-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7
    • /
    • pp.863-87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fatty liver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and hyperlipidemia and obesity indicators by age groups. A total of 1,470 patients of various sex and age groups were examin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t the H Center in Chungbuk.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rmal and fatty liver by age groups (below twenty, the thirties, forty, fifties, and over sixties). The grade of fatty liver was classified in detail as Grade 1 (mild fatty liver), Grade 2 (moderate fatty liver), Grade 3 (severe fatty liver). We selected indicators of hyperlipidemia a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he obesity indicators wer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The demographical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by age groups were performed. The difference of average and correlation between hyperlipidemia and obesity indicators were analyzed. As a result, patients over 60 have fatty liver regardless of sex.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ight, body mass index, and waistline for all age groups. The degree of fatty liver was highly correlated with waist size and body mass index for all age groups.

Comparison of peripheral vascular sclerosis in diabetic groups using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연령별 당뇨병 환자의 PPG 2차 미분 파형의 d/a를 이용한 말초혈관 경화도 비교)

  • Shim, Young-Woo;Lee, Tak-Hyung;Ji, Hyo-Chul;Kim, Deok-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25-126
    • /
    • 2008
  • 현재, 우리나라 당뇨병의 유병률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며 더욱 심각한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 중, 비만 및 고혈당, 당대사장애로 인한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과 말초 혈관 경화증이 많이 발병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혈류량 측정법(Photoplethysmograaphy)으로 손가락에서 얻어진 맥파의 2차 미분 분석을 통해 당뇨병으로 확진된 36명의 당뇨병 환자에 대해 말초혈관 경화도를 연령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용한 PPG 파형의 2차 미분 분석 평가 인자는 a와 d이고, d/a는 혈관의 경화도를 의미하며 경화도가 클수록 d/a의 값은 감소하게 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화도는 증가하게 된다. 50대 미만의 당뇨병 환자의 d/a값은 $-0.32{\pm}0.12$, 50대는 $-0.48{\pm}0.13$, 60대는 $-0.55{\pm}0.16$, 70대 이상에서는 $-0.59{\pm}0.19$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d/a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PSS 13.0 for Windows(SPSS Inc, USA)의 Oneway ANOVA 분석 결과, 연령과 경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70대 이상의 당뇨병 환자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PPG 파형의 2차 미분 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당뇨병 환자의 말초혈판 경화도를 비교하였으며,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당뇨병 환자의 말초혈관 경화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로 당뇨병 환자들의 심혈관계질환 사전예방과 치료효과 판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