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of Living Body Based on Dental aspect in Jeollabuk-do

전라북도 지역의 치과적 생체 연령추정 사례의 분석

  • Eom, Ae-Ja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uh, Bong-Jik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엄애자 (전북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 서봉직 (전북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We analyzed 121 age estimation clients who had visited oral medicine clinic,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o evaluate its characters in Jeonllabuk-do.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distinct difference in sex distribution(Male : 58.7%, Female : 41.3%) and more than half percent(55.4%) was over 50's. 2. The difference between registered and alleged age was the most in more than 5 years, and most of them were over 50's. 3. There were more clients who wanted to increase their age than to decrease and was no prominent difference in sex. Age estimation clients who wanted to decrease their age were predominant under 10 years old and in 20's, and those wanted to increase were predominant in 10's and over 30's. 4. The most reasons to correct age were related to welfare benefit. The purpose of age estim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ge groups; welfare benefit was the most over 50's, occupation in 40's and 50's, friendship in 30's and 40's, sibling-related in 50's, employment in 10's and 20's. 5. Age was estimated by the attrition of permanent tooth and pulp/tooth ratio from 20 years, root apex closure for 10's and calcification of permanent tooth under 10 years old. In cases that were difficult to estimate by use of the attrition of permanent tooth and pulp/tooth ratio, age was estimated by missing time of permanent tooth and the change of mandibular angle with age. 6. The estimated ages were close to alleged age in 77.7% of clients but the rest(22.3%) was close to registered age.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구강내과에 의뢰된 연령추정 121례를 분석 및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추정 의뢰인의 성별 분포는 남성(58.7%)이 여성(41.3%)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과반수(55.4%)를 차지하였다. 2. 호적 연령과 주장 연령의 차이는 5세 이상(34.1%) 차이가 가장 많았고, 이는 5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3. 연령을 늘리려는 의뢰인(64.2%)이 줄이려는 의뢰인(35.8%)보다 많았으며, 이는 남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10세 미만과 20대는 나이를 줄이려는 경우가, 10대, 30대이상에서는 나이를 늘리려는 경우가 많았다. 4. 복지를 이유로 연령정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복지혜택과 관련해서는 50대 이상이, 직장과 관련해서는 40대와 50대가, 교우관계와 관련해서는 30대와 40대가, 가족 관계와 관련해서는 50대가, 취업과 관련해서는 10대와 20대가 가장 많았다. 5. 연령추정 방법은 20세 이상에서는 영구치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였으며, 10세 이상 20세 미만에서는 치근단공 폐쇄시기를, 10세 미만에서는 영구치 석회화 정도를 각각 사용하였다. 20세 이상에서 영구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영구치의 상실시기와 하악각의 증령적 변화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다. 6. 각 방법에 의해 추정된 연령의 77.7%는 의뢰인이 주장하는 연령에 근접하였으나, 22.3%는 호적상의 연령에 근접하여 의뢰인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법원행정처. 개명 및 호적정정 사례집. 1994
  2. 김영구, 신금백, 고병연 외. 법치의학.5개정판, 서울, 1998, 고문사
  3. Gustafson G. Forensic odontology. London, 1966, Staples Press, 102
  4. 김종열. 법치의학적으로 본 연령감별.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76;14(12):927-932
  5. 안용우, 노창세, 옥승준, 고병연. 개인식별에 있어서의 법치의학의 역할과 증례 보고.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 :317-326
  6. 고명연. 하악 영구구치 치근발육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1:6:23-31
  7. 정성창. 한국인 영구치의 단계별 맹출시기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77;3:11-22
  8. 고명연, 박준상, 서봉직. 천주교 순교자묘 출토치아의 법의학적 성 및 연령추정.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 20(1):217-228
  9. 김덕규, 김종열. 연령증가에 따른 치수강의 변화에 의한 연령의 추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1;19(5):439-447
  10. 홍호철, 고병연. 하악 영구구치 치수강의 증령적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8:107-116
  11. 김영구. 치관부 법랑절, 상아질 및 치수강의 증령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0;18;1059
  12. 김서동 한국성인의 기능상실영구치율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1974;12(8):597-604
  13. 유동수. 하악각의 연령적 변화. 현대의학 1965;3( 4):157-166
  14. 최종훈, 김종열. 제2대구치 및 제3대구치 발육에 따른 연령감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1;17: 121-134
  15. Nolla CM. Development of the permanent teeth. J Dent Child 1960;27:254-266
  16. 김덕규, 김종열. 연령증가에 따른 치수강의 변화에 의한 연령의 추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1;19(5):439-447
  17. 정의태. 치수강의 가령적 변화에 의한 연령추정.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1:6(1):101-110
  18. Carneriere R, Ferrante L, Belcastro MG, Bonfiglioli B, Rastelli E, Cingdani M. Age estimation by pulp/tooth ratio in canines by peri-apical X-rays. J Forensic Sci 2007;52(1):166-70 https://doi.org/10.1111/j.1556-4029.2006.00336.x
  19. 김능세. 증령에 따른 근관면적비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79;116(1):15-18
  20. 안용우, 박준상, 고명연, 허기영, 김광훈. 성인구치교모도에 관한 연구; 법치의학적 개인식별의 증례. 부산대병원학술지 2005;8:509-519
  21. 윤종일. Age estimation of Korean adults by occlusal tooth wear. 서울대대학원 2007
  22. 곽경환, 김종열. 다변량해석기법을 활용한 치아 교모도에 의한 연령추정.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7(1): 35-51
  23. 안휘준, 박준상. 중년기 및 노년기 성인 구치 교모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1995;20(2):399-406
  24. 안휘준, 박준상, 고명연. 성인치아의 교모도를 이용한 연령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1): 88-99
  25. 이춘화, 이수경, 장기완. 한국인 영구치 발거연령 및 특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2;26(2):209-218
  26. 사법연감. 법원행정처 2000, 2001, 2002, 2004, 2005
  27.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조사과 200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