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극콘텐츠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1초

배우 훈련 방법의 대안으로서 메이어홀드 '인체역학'의 효용성 I -'인체역학'의 형성 배경과 이론적 원리를 중심으로 (Usefulness of Meyerhold's 'Biomechanics' as an Alternative for a Method of Actor Training I -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theoretical principles of 'Biomechanics')

  • 조한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5-106
    • /
    • 2014
  • 자연주의 연극의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과 더불어 배우의 연기에 대해 구체적 접근을 시도했던 본격적인 연기 훈련법이다. 그러나 러시아 내에서 메이어홀드에 대한 연구가 금지되었던 정치적 이유로, 그리고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이 미국식 연기 방법론으로 변형되어 전 세계에 보편화된 이유로 인해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오늘날 배우 훈련의 실제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국 내 배우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체역학'은 단순히 신체 중심적 방법론으로 오인되어 이해되고 있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이를 통해 그것을 실제 배우 훈련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용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의 문화관광 공연작품 <장한가>에 나타난 영상이미지 효과 분석 (Analysis on Video Image Effect in , China's Performing Arts Work of Cultural Tourism)

  • 육정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77-85
    • /
    • 2013
  • 본 연구는 중국 최초의 대형 역사 무용극을 표방한 서안의 <장한가> 라는 작품 속에 들어있는 영상이미지의 공연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즉 <장한가> 작품 속에 들어 있는 특정 주제, 소재들을 표현함에 있어 어떠한 영상이미지를 사용하여 공연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영상이란 '사물의 모습이 반영된 상', 특히 영화, 텔레비전, 사전 등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말로 그 범위는 매우 넓으며 image의 어원은 imitary에 근거를 둔 것으로 구체적 또는 심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시각적 표시를 말한다. 따라서 영상이미지는 '영상'과 '이미지' 라는 동의어의 결합으로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영상이란 단순히 시나리오의 문학성, 연극성, 미술성 등과 같이 전통적인 예술장르의 종합이 아니라 모든 예술의 본원적 기능을 통합하고 인간존재의 오묘한 이미지 활동을 연결한 결과로서의 총체라고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한가>에 표현되는 영상 이미지의 효과로 첫째, 시대성과 문화를 반영한 함축적 의미의 표현 효과 둘째, 상상적 동일시 효과, 셋째, 장면전환의 효과 넷째, 몰입을 통한 극적 재미의 효과, 다섯째, 공연의 입체감을 통한 시각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크리스 랜드레스의 3D 단편 애니메이션 빙고(Bingo)에 나타난 부조리극 표현 분석 (Analysis on the Expression of Theatre of the Absurd in Chris Landreth's 3D Short, Bingo)

  • 김치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5-222
    • /
    • 2009
  • 3D 애니메이션은 사실의 완벽한 재현이라는 큰 특징으로 종래에 불가능했던 이미지의 완성을 가능하게하며 보다 큰 환상을 창출한다. 사실의 모방에서 진일보한 창의적인 이미지의 제작은 내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크리스 랜드레스는 이러한 기술적 만족도와 내용적 우수성 그리고 충격에 가까운 참신함으로 차별화된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그의 1998년도 작품인 빙고(Bingo)에서 매스미디어의 근원적 아이로니와 인간의 존재론적 고민을 부조리극 표현으로 풀어냄으로써 인간의 상황에 통찰력을 갖게 한다. 크리스 랜드레스의 3D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점에서 미술사와 연극사를 넘나드는 폭넓은 포용과 테크놀로지의 확장으로 3D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술인복지법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A Policy Plan for the Improvement of Artists's Welfare Law)

  • 노문이;현택수;이정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40-4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예술인복지법의 쟁점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것은 예술인 근로성 및 지위의 문제이고, 사회보험 가입절차의 문제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 분석, 평가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극예술인의 사회보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보험법상 예술인 지위의 특례를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보험가입 절차는 고용노동부를 통한 우선 가입 후 문화체육관광부의 사후 심사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한편 극장 임대인이 극단에 극장을 임대해줄 시에 기존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가입을 의무화 하도록 한다. 새로운 보험 수식 제안으로는, 예술인 근로의 특수성을 감안한 새로운 고용보험수식과 산업재해보상 보험료 산출 공식이 있다. 끝으로 제작준비기간 및 부업을 인정해주는 특례방식을 도입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의 시간소와 공간소를 통한 시간성과 공간성 -구조주의 언어학을 중심으로- (Time and Space through Minimum Units in Animation -Focus on Structural Linguistics-)

  • 김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26-134
    • /
    • 2007
  • 애니메이션과 영화와 연극의 시간과 공간에 대해 많은 연구는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시간성과 공간성에 대한 구조주의적 언어학을 기반으로 시도되는 새로운 방법적 고찰이다. 애니메이션 시간성과 공간성에 대해 최소 단위적 연구는 선례가 없다. 연구의 방법론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개념을 기반으로 시간성의 개념과 공간성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간과 공간에 대해 계열적, 통합적 분석을 한다. 이를 위하여 시간의 최소단위와 공간의 최소단위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계열적 분석과 통합적 분석을 시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학의 연구 방법의 다양성을 재고하고 연구의 체계적 심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결과는 구조주의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시간성과 공간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과제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다.

크라카우어의 영화연기론 (Film Acting Studies of S. Kracauer)

  • 조성덕;김종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02-511
    • /
    • 2016
  • 이 글은 전통적인 영화론의 기초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한 크라카우어의 영화연기론을 검토한다. 크라카우어의 영화미학은 인문학과 예술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소개되었지만, 현대 영화연기의 기초를 제시한 그의 연기론은 거의 소개되지 않고 있다. 크라카우어(1960)는 "영화론"의 '배우에 관한 장'에서 영화배우가 전통적인 연극배우와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면서, 영화연기의 매체 기술적 의미 등을 제시한다. 그의 영화 연기론은 전후 새로운 리얼리즘을 제시하는 연기양식을 강조한다. 그의 접근 방식은 "영화론"의 기본 전제인 '물리적 현실' 또는 '카메라 현실'의 관점을 취한다. 크라카우어는 배우의 형태를 나열하는 익숙한 구분법으로 전문배우, 비전문배우, 할리우드 스타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배우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한다. 그는 할리우드 스타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다큐멘터리이든 극영화이든, 전문배우이든 비전문배우이든, 영화매체의 비결정성 또는 불명확성에 기반한 연기하지 않는 연기를 강조한다. 크라카우어가 정리한 영화연기론은 후대의 영화론 및 미디어 관련 연기론에 영향을 미치며, 현대의 영화교과서 및 영화연기의 원론이 되고 있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 이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기전공대학생들의 수업을 통해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간의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극, 연기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49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사전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7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IBM STATISTICS SPSS 22와 AMOS 2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연기표현성과 심리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기표현성 중 개성과 표현충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동작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등학생의 긍정적 심리 향상을 위한 방학 중 단기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hort-term Activity Program during Vacation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진;고시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04-614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긍정적 심리 향상을 위하여 연극과 마음챙김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방학 중 단기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발적이기보다는 부모 등의 권유에 의해 참여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스트레스,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약 65~70%대의 학생들이 재밌었다, 도움이 되었다, 배우는 게 있었다, 다른 친구에게도 추천하고 싶다는 의사를 보였으며, 학생들이 긍정적 정서의 지각과 경험적 지식의 습득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원로배우 장민호의 연기 인생 (The Greatest Senior Actor Jang Min-ho's Life on Acting)

  • 김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08-118
    • /
    • 2015
  • 한국에 서구 근대극이 도래한 지 백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 동안 무수한 배우들이 나타나고 사라졌지만 그들의 위대한 연기예술을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무대에서 연희되는 공연 예술의 경우 작품 창작 과정의 기록과 복원은 작가론 연구와 예술 세계의 후대 계승을 위해 지극히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근대극 역사에 작지 않은 발자취를 남기고 지난 2012년 작고한 원로배우 장민호(張民虎, 1924-2012)의 배우로서의 삶과 업적에 대해 회고하고, 그의 연기관과 예술세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배우들의 삶을 기록하는 작업은 이미 그 자체로 연극의 본질과 배우의 역할에 대한 근원적 성찰의 기회가 되며, 배우의 연기 인생을 고찰하는 작업은 그 배우만의 독특한 연기술을 후학들에게 소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배우의 삶과 예술인생을 기록함으로 배우에 대한 시대적 관심의 증대와 함께 한 시대를 이끌어가는 예술가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기를 바란다.

배우 음성 훈련을 위한 EVT 구조연습 활용방안 I (How to Use EVT Figures for Actor Voice Training I)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6-148
    • /
    • 2021
  • 본 연구는 음성을 예술적 표현 수단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배우의 연기 예술에서 음성 기관의 독립적인 조절,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Estill Voice Training) 모델의 이론적 원리와 구조연습 훈련이 배우 음성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긍정적 효용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생성기관의 원리에 기인하여 음성 산출물의 상이점을 조절하는 음성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심리와 신체를 함께 아우르는 기존의 배우 음성 훈련에 비해 국내에서 활발히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음성은 해부 생리학을 근간으로 우리 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운용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인물 창조의 요소인 인물의 음성적 성격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배우 음성 훈련에서 자기 수용적 감각을 통한 훈련 모델을 고찰하는 것은 배우가 일련의 목표음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원리적이며 실질적인 방법론으로 모색될 수 있다는 실용적 가치와 대안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