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협업

Search Result 1,7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design and analysis of collaboration oriented system (협업 지향적 시스템 설계와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Mun-Bong;Chun, Seung-Su;Son, H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78-180
    • /
    • 2012
  • 협업은 둘 이상의 사람들이 하나의 업무 또는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일하는 것이다. 최근 개인 및 조직 간 협업 범위가 공동분석, 데이터 연계, 서비스 조합 등으로 확장되고 대용량 데이터 공유 및 실시간 연계분석 활동이 증대되면서 협업 지향적인 시스템 설계와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지능화된 협업 기반은 데이터, 프로세스, 서비스, 사람 간의 다차원 연계와 실시간 활용, 의미 기반의 기계적 협력을 전재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a, Process, Service, People 측면의 4가지 계층으로 전사적 자원을 설계하고 메타 메타데이터 기반의 온톨로지 분석을 통해 자원 간의 연계와 조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Data 계층은 프로세스별 Input, Output 정보를 식별하여 Data의 메타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검색 에이전트가 색인하여 모델링에 참조할수록 한다. Process 계층은 BPMN모델을 확장한 exCPM의 개선 모델을 바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주체 간, 정보공유측면에서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Service 계층은 협업지향적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서비스로 인식하고 프로파일을 통해 협업을 위한 검색과 프로세스를 연계지원하도록 설계 했다. 마지막으로 People계층은 자원, 프로세스, 서비스 등 시스템에 관여하는 참여자들의 메타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온톨로지 기반의 모델에 통합하여 자동 검색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와 서비스 측면에서 협업을 요구하는 에이전트와 일반 검색 사용자들이 프로세스 간 협업 자원을 파악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서비스 간의 자동적인 조합을 통해 통합적 자원 협력과 실시간 협업 지원 기반을 제시했다.

Development of New Collabora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Manufacturing Collaboration Based on the SCOR Model (SCOR 모형에 기반한 새로운 제조협업의 협력적 성과지표 개발 및 측정)

  • Jung, Ji-Whan;Jung, Jae-Yoon;Shin, Dong-Min;Kim, Sang-Kuk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1
    • /
    • pp.157-171
    • /
    • 2010
  • To effectively maintain manufacturing collaborati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s for the collaboration is required. Most exist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however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performances of internal activities or outsourcing of a company.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devise new key performance indicators that the partner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on can arrange and compromise with each other to reflect their common goals.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abora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s(cKPIs),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collaboration work of multiple manufacturing partners on the basis of the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SCOR) model. Also, a modified Sigmoid function is devised as a desirability func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Level Agreement(SLA) between two partners. The proposed indicators and the desirability functions can be utilized to perform and maintain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by providing a way to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Design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Collaborative Display and Smart User Interaction (협업 환경 디스플레이와 지능형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설계)

  • Ko, Su-Jin;Kim, J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67-572
    • /
    • 2007
  • 빠른 인터넷의 보급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격지 구성원간의 협업으로 인해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다자간 협업 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현재 이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커뮤니티 컴퓨팅 환경에서의 원격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 기술로는 먼저 지능형 원격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네트워킹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다양한 종류의 입력 채널의 내용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기술, 협업 구성원 간의 자연스러운 데이터 및 태스크 마이그레이션 기반 기술, 그리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는 위치적인 이질감을 극복하고 현장감 있는 공동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랙션 기술을 소개하며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된 협업 환경, 특히 공통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경 정보를 사용자 컨트롤 머신에도 Graphic User Interface(GUI) 기술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이 논의되어 진다.

  • PDF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Sustainable Collaboration Level on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한 공급사슬관리의 지속적 협업 수준에 대한 의사결정모델)

  • Lim, Se-Hun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0 no.3
    • /
    • pp.1-14
    • /
    • 2005
  • It is important to control performance and a Sustainable Collaboration (SC) for the successful Supply Chain Management (SCM). This research developed a control model which analyzed SCM performances based on a Balanced Scorecard (ESC) and an SC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108 specialists of an SCM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 analyzed experimental data set using SVM. This research compared the forecasting accuracy of an SCMSC through four types of SVM kernels: (1) linear, (2) polynomial (3) Radial Basis Function (REF), and (4) sigmoid kernel (linear > RBF > Sigmoid > Polynomial). Then, this study compares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SVM linear kernel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using SVM linear kernel to forecast an SCMSC is the most outstanding. Thus SVM linear kernel provide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n SC control level. A company which pursues an SCM can use the information of an SC in the SVM model.

  • PDF

Cognition Levels of the Success Factors for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to Small Business Cooperation (소상공인 협업화 지원 정책의 성공요인 인식 수준)

  • Suh, Yong-Sung;Oh,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1
    • /
    • pp.6613-6620
    • /
    • 2014
  • In this paper, 228 cooperations supported by government were surveyed on the cognition levels of 5 factors for successful policies that support small business cooperation. Goal importance, awareness stage of importance, and current concerning level were scored to each question of factors. Us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maturity of each success factor, and the forecast time to mature and maturity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 study precedent. Moreover,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levels were reviewed between before and after government's support. These comparative studies reflect government policies. Despite the government's supporting policies aided on building cooperation positively, the participants still worry about the decreasing government support. To allay these concerns,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continuously to promote cooperation rather than a one-time support.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 Mid-sized Venture Companies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협업,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Lee, R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1
    • /
    • pp.185-195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as a means to step up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will improv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R&D work for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based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belong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had an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collaboration as a wider array of core strategi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howed that collaboration was a strategy affec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boos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showed that common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epping up technology strategy, and collaboration as a core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echnology strategy and open innovation.

A Reference Model for research in virtual enterprise (가상기업 연구에 관한 참조모델)

  • 최세연;박경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314-325
    • /
    • 2005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 가업의 제품수명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성장산업과 사양산업의 전환도 급격해졌다. 급변하는 정쟁 환경 속에서 기업의 가치사슬을 전략적으로 통 합하고, 핵심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c- Commerce, RTE, 협업 등의 가상기업 관련 개념이 부상하고 있다. Ubiquitous 환경에서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표로서 협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기업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가상기업의 정의 및 개념에 대해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를 통해 가상기업의 확장된 범주를 알아보고, 가상기업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상조직, 협업 네트워크 등의 가상기업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u- Business 환경의 가상기업 연구의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 연구하여 가상기업의 연구를 이해하고 흐름을 분류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Ubiquitous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 및 비즈니스 모델의 수정에도 의미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BIM Planning Framework for BIM Based Collaboration (BIM 기반 협업을 위한 BIM Planning 체계 개발 - 가상건설 연구단의 CPLM 시스템 중심으로)

  • Yoon, Su-Won;Kim, Seong-Ah;Chin, Sang-Yoon;Choi, Cheo-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69-374
    • /
    • 2010
  • 최근 건설 산업에서 BIM이 각광 받으면서, BIM 기반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 도입 및 프로세스 적용이 시도 되고 있다. 이중 BIM 기반의 프로젝트 운영을 위해서는 BIM의 데이터의 저장, 수정, 배포뿐만 아니라, 관련 주체간의 협업이 가능한 환경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구축을 위해 제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PDM(Project Data Management) 또는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벤치마킹한 CPLM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Management)과 같은 BIM 기반 협업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러한 협업 시스템의 경우, 건설 프로젝트가 가지는 다양한 계약 방식, 관리 단계, 관련 정보의 체계 등에 대한 종합적 계획 없이 프로젝트의 각 참여 주체들의 기존 관리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당초 BIM 기술을 도입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원활한 협업 환경을 구축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BIM 가이드라인의 도입 등에서 시도되고 있는 BIM Planning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BIM 기반 협업 시스템의 구축 이전에 BIM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구조, 방식, 데이터 체계 등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BIM 기반 협업 환경이 구축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

Comparison of Collaboration System for e-Science (e-Science 협업 연구를 위한 협업 시스템 비교 분석)

  • Ryu, Jinseung;Kim, Beobkyun;Oh, Chungshick;Jang, H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565-568
    • /
    • 2007
  • e-Science is for increas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in epochal way using research resources like high performance computers, large capacity data storage, experimental instrument and researchers. For the research activities without being limited by time and space, the collaboration system is prerequisite condition. This paper shows the comparisons and analysis of features of popular collaboration systems in the point of e-Science. We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supporting video streams, scalability and cost are main issues for the e-Science collaboration system. By these, we conclude that Access-Grid(AG) is best suitable for the e-Science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This paper shows the current AG status and the future way of AG.

  • PDF

A Recommendation based Role-Assignment Method by Adapting Dynamic Weight Changing (동적 가중치 변화를 통한 추천 기반의 역할 할당 기법)

  • Lee, Keon-Soo;Rho, Seung-Min;Kim, Min-Ko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1
    • /
    • pp.124-129
    • /
    • 2011
  •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which can be the best proposals for resolving complex problems in computing domain, the way of team organiz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for succeeding the goal. Especiall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nts of a team are se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computing objects which are deployed by other providers for their own goals, finding the relevant teammat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given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finding teammate and assigning a role, which is a sub task of cooperation, by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computing object and the requirement of the role such as capability of functions, loyalty for the given team, and harmony with other teammates. By considering the situationally changing weights of each attributes, this method can be suited for dynamic computing environment where the cooperation should be executed with dynamically in/out computing objects and satisfy the dynamically chaining constra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