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협업

Search Result 1,7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stablishing Model of Optimized Collaboration Procedure using PERT/CPM (PERT/CPM을 이용한 최적화된 협업 프로세스 수립 모형)

  • Lim, Yousup;Chang, Young-Hyeon;Kim, Seungh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1
    • /
    • pp.173-183
    • /
    • 2018
  •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procedure in a new business that requires multilateral collaboration or to revise the regulation by analyzing and proving objectively the problems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conducted already by multilateral collabo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optimiz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cess to establish the operation procedure between collaborative parties using PERT/CPM network diagram which allows us to calculate the processing tim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our model for the collaboration process optimiz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veloped collaborative procedure to student selection of the work-and-study-in-parallel course associated with a degree execu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study can be useful not only for newly establishing or reconfiguring collaborative procedures but also for standardizing the business procedures for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between collaborative organizations.

Design of Software Architecture based on Componentized Services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다자간 협업을 위한 컴포넌트 서비스 기반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

  • Han, Sang-Woo;Kim, Nam-Gon;Choi, Ki-Ho;Ko, Su-Jin;Lee, Hyun-Yong;Kim, J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89-196
    • /
    • 2007
  • 고성능 연구개발망이 보급되면서,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전문가들 간의 원격 공동작업을 지원해주는 원격 협업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원격 협업환경은 참여자들에게 현장감있는 공동작업을 지원하며, 실제로 다자간 HD급 영상회의 혹은 대용량 가시화 데이터 표현 등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협업환경에 대한 편리한 상호작용 지원기술도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로써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인터랙션 기법을 결합한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협업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품질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기술, 고해상도 격자형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 포인팅/트래킹 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컴포넌트화된 협업 서비스들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는 원격 협업환경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협업 서비스들을 일부 구현하여 실현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연 과정을 소개한다.

  • PDF

A Survey of Interaction Table Top Display for Cooperation (협업을 위한 상호작용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연구동향)

  • Park, jae-wan;Song, dae-hyun;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6-68
    • /
    • 2008
  • This paper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mutual collaboration table top display technology.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the existing interface with existing research through a single device to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enabled oriented way of face to face. On the other hand, in collaboration important deadline table top display device to device-oriented approach in which the order of one of the devices require users. Collaborative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but to do so focused still many challenges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provides for collaboration on global trends on a table top display interface for more mutual collaboration with the user interface for about checking out on a table top display, currently being developed by a collaboration among users against a table top display technology.

  • PDF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Topic Models for Rating Based Recommender Systems (평점 기반 추천시스템을 위한 토픽 모델 협업필터링)

  • Kim, Kwang-Seob;Jung, Ho-Gyeong;Lee, Hyun-Jong;Lee, H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81-383
    • /
    • 2012
  • 협업필터링은 지금까지 많은 추천시스템 연구에서 비교대상이 되거나 더 좋은 추천시스템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서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협업필터링 기법은 명시적으로 관찰된 사용자들의 행동을 기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해 사용자와 추천 대상이 되는 아이템의 숨겨진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협업필터링기법에 응용했다. 영화 추천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험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는 다양한 영화 장르를 선호하는 비율로 나타난다는 가정(사용자기반)과 영화 또한 장르의 비율로 표현이 된다는 가정(아이템기반)을 했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사용자 사이와 영화 사이 간의 유사도를 정의하고, 협업필터링에 적용했을 때, 전통적인 협업필터링 기법보다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Multiple Participants in Design Projects (설계프로젝트 참여자간 협업지원을 위한 설계협업관리 시스템 개발)

  • Lee, Jee-Hee;Yi, June-Seong;Shin, Seung-Woo;Park, Kyung-Rog;Lim, Ji-Yo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23-32
    • /
    • 2010
  • Construction Projects have mutual collaborative structures among various participants for common objectives. Most of all the design project which is the initial phase in the project is crucial for determining project overall quality and requires intimate and continuous relations between project participants. Thu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uccessful performing projects through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initial stage of projects. First, expert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and problems. The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draw owner's collaboration factors and engineer's collaboration factors. Based on thos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operation management process which gives a framework for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process the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which helps owner/designers/engineer's co-work. The System suggested from this study realizes systematic information management tool and through that it is expected to improve design product;'s quality, and further contribute the advancement of project.

A Blackboard-based Collaboration Agent System for CPFR (CPFR를 위한 블랙보드기반의 협업 에이전트 시스템)

  • 김선일;윤정욱;김창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56-862
    • /
    • 2003
  •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은 기존의 생산관리 패러다임(Paradigm)을 탈피하는 새로운 협업적 생산 극대화 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CPFR의 핵심은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공급망상 참여 기업간의 협업이며, 이는 매우 불확실한 시장 상황 하에서 끊임없는 발생하는 예외사항들을 처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 기업간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블랙보드 기반 협업 에이전트(Blackboard Based Collaboration Agent)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화행 이론(Protocol)을 제시하여 참여 기업간의 협동 과정을 제어하는 방식을 구현한다.

  • PDF

A Empirical Study on Recommendation Schemes Based on User-based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사용자 기반과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 추천기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Ye-Na Kim;In-Bok Choi;Taekeun Park;Jae-D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714-717
    • /
    • 2008
  • 협업여과 추천기법에는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가 있으며, 절차는 유사도 측정, 이웃 선정, 예측값 생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유사도 측정 단계에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 등이 있고, 이웃 선정 단계에는 상관 한계치(Correlation-Threshold), 근접 N 이웃(Best-N-Neighbors) 방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예측값 생성 단계에는 단순평균(Simple Average), 가중합(Weighted Sum), 조정 가중합(Adjusted Weighted Sum) 등이 있다. 이처럼 협업여과 추천기법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 추천기법에 사용되는 유사도 측정 기법과 예측값 생성 기법의 최적화된 조합을 알아보기 위해 성능 실험 및 비교 분석을 하였다. 실험은 GroupLens의 MovieLens 데이터 셋을 활용하였고 MAE(Mean Absolute Error)값을 이용하여 추천기법을 비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유사도 측정 기법과 예측값 생성 기법의 최적화된 조합을 찾을 수 있었고,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의 성능비교를 통해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의 성능이 보다 우수했음을 확인 하였다.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f Organization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or Collaboration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ngyoun;Le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98-51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IC) on collaborative performance(C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O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irst, IE and RS, ISI, RS, and COM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SI, Perf, respectively. The all factors of CP affected JS and OC. Second, IE, COMN, and RS influenced OC through CC and Perf. Third, online cooperative tools for collaboration have been moderated between RS and ISI, CoW and CC, IE and Perf, Perf and JS, repectively- IE(Infromation Exchange), CoW(Collaboration Work), Communication(COMN), Relationship(R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ISI), CC(Collaboration Culture), Perf(Performance), JS(job satisfactino), and OC(Organization Commim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one implic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online communication collaboration tools that take into account internal communication components within the organization.

GPT-based Coding Process for Consistency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협업 환경에서의 일관성 확보를 위한 GPT 기반 코딩 프로세스)

  • Hanmin Jung;Jung Hoon Park;Suhyeo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7-439
    • /
    • 2023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협업 환경에서 생성형 AI인 ChatGPT-4를 활용한 코딩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프롬프트 생성, GPT 실행, 의사코드 변환, 코드 비교, 동일 코드 생성 여부 판단, 테스트 실행, 동일 결과 생성 여부 판단, 코드 검사 및 수정의 8단계를 거친다. 팀 프로젝트와 페어 프로그래밍 등의 다양한 협업 환경에 적용 가능한 이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협업 환경에서의 코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 시점에서, 인간-AI 협업 환경에서의 코딩 효율성 및 일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과 AI가 함께 작업하는 미래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Effect of NPD(New Product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on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협업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ang Eun;Seo, Young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0
    • /
    • pp.558-566
    • /
    • 2020
  • New Product Development (NPD) is essential for companies' survival, and continuous growth in the rapidly changing, convergence and business environment, and companie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partners to improve performance in NPD.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NPD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and supplie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formality and reciprocal feedback)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employees who worked in manufacturing for more than one year with experience in NPD were tested.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ere assessed using the sample 272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and supplier collaboration, which are the factors of NPD collabo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ormality. Second, formality and reciprocal feedb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iprocal feedback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refore, for successful NPD, manufacturing companies need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e officially and reciprocally to maximiz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ciprocal partnership between suppliers. To accomplish this, companies need to pla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spond quickly to internal and external partners'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