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변인

검색결과 4,437건 처리시간 0.031초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 소외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ediating Effects of Alienation)

  • 이정림;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0-102
    • /
    • 2017
  •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후기 노인의 근력과 보행 특성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muscular strengths and gait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5 to 74 and 75 and above)

  • 백창의;주지용;김영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15-422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상·하지 근력과 보행을 측정한 후 연령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2019년 6월~7월 사이 65세에서 85세 사이의 남녀 노인 107명이 측정을 끝까지 마쳤으며 기록된 근력(악력, 발가락력, 중둔근력, 대둔근력)과 보행 특성(보속, 보빈도, 보폭, 외발지지기, 양발지지기)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하지 근력은 악력기, 도수근력측정기, 발가락지력기로 측정하였고 관성센서 기반 보행 측정 신발 시스템으로 보행 자료를 획득하였다. 전기 노인(65~74세)과 후기 노인(75~85세) 사이에 근력과 보행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전·후기 노인에서 악력, 발가락력, 중둔근력, 대둔근력이 일부 보행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중둔근력과 대둔근력이 두 연령대에서 보행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악력이나 발가락력보다 많이 보였다. 보속과 악력의 회귀계수는 전·후기 노인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기 노인보다 후기 노인에서 근력 요인들이 보행 특성을 더 잘 설명하였다. 또한, 악력은 노인 체력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변인이지만 보속을 포함한 보행 특성을 설명하는데 중둔근력과 대둔근력이 더 유용할 것이다.

정보영재들의 컴퓨터 과학적 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er Scientific Attitude on Academic Achievement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 정종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37-543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영재를 선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재의 정의적 특성은 자아개념, 성격, 사회성, 성취동기, 도덕성, 태도나 흥미 등을 들 수 있으며 성취도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컴퓨터 과학적 태도는 컴퓨터과학 학습의 출발점 행동으로 컴퓨터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의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raser가 개발한 TOSRA를 기반으로 컴퓨터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컴퓨터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는 컴퓨터과학의 사회적 시사영역, 컴퓨터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영역, 컴퓨터 과학적 태도의 수용영역, 컴퓨터과학 수업의 즐거움영역, 컴퓨터과학 관련 취미에 대한 관심영역, 컴퓨터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관심영역, 컴퓨터과학자의 평범함 영역으로 7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개발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정보영재 학생들의 컴퓨터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컴퓨터 과학적 태도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2.543, p=0.025로 유의 수준 .05에서 컴퓨터 과학적 태도의 평균이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송영훈;하민성;하수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6-315
    • /
    • 2018
  •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 40명, 고학년 4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주 1회, 24주간 실시되었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초체력은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순발력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 기부자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와 경제형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Image, Trust and Respons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Continuing Sponsorship of Private Donor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their Financial Statu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58-270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후원자들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그리고 경제형편 수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한 주요 변수들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수준과 상관없이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후원지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경제형편이 좋은 집단의 경우, 조직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조직동일시에 각각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고, 조직동일시는 후원지속성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조직동일시를 완전매개로 하여, 조직이미지, 신뢰성, 반응성 등이 각각 후원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반면, 경제형편이 좋지 않은 경우는, 조직이미지와 신뢰성만 조직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형편 수준에 따라 후원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 간접효과가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경제형편의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잠재평균 분석결과, 경제형편 수준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는 후원지속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평균값, .197, Cohen's D=.779). 개인 기부자들의 후원기관에 대한 동일시가 후원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유발된 정서가에 따른 계산 요동의 효과 (Arithmetic Fluctuation Effect affected by Induced Emotional Valence)

  • 김충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1
    • /
    • 2018
  • 본 연구는 유발된 정서가 뒤따르는 수 연산과제에 미치는 간섭현상의 종류와 크기를 확인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발된 정서상태의 유지가 작업기억 요소 간 원활한 수행을 간섭할 수 있는 단계별 인지과제 처리 과정을 통해 자극유형 및 정서의 종류가 기초 연산(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피험자는 인구학적 변인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균질적인 대학생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 연습시행에서 표정모방을 통해 유발된 정서를 유지하면서 후속되는 연산과제 수행 및 제시되는 답의 정오를 판단하도록 지침을 받았다. 분석결과, 자극유형 간에 간섭의 크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유발된 정서의 종류 간에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유발된 정서의 시간지연 주효과가 계산과정의 어느 단계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자극 유형별로 정서 간 오류율과 지연 정반응률을 구하여 함께 분석하였는데, 긍정정서(기쁨조건)의 시간지연이 문장자극일 때에는 오류율 간 차이로, 그림자극일 때에는 지연 정반응률 간 차이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발된 긍정 정서의 영향이 부정정서(분노 및 슬픔 조건)에 비해 계산지연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났다는 점 외에 문장자극의 정서유발이 계산실패로 이어지기 쉬운 반면, 그림자극의 정서유발은 계산요동으로 이어지기 쉬운 특성이 있는 것으로 그 주효과의 영향이 분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의복행동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Sex-Role Identity and Home Enviornments)

  • 전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4
    • /
    • 1997
  • Clothing is considered as a means of self-projection in the childhood and children show clear preference on their own favorite clothing on which their latent identity is reflected. Changing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in the modern complex society specially affects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sen-role ident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clothing behavior in the childhood and be of help in selecting appropriate clothing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sex-role identity. Necessary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aire. 'Bem sex-role identity inventor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role identity and the clothing behavior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factors of conformity,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composed of three hundred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percentage(%), mean valu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Sex-role identity show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der of a birth and standard of living. This small difference is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In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the sex-role ident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found in typical sex-role identity group. However, clothing behavior in modernistic sex-role identity group exhib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factors of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at the level of P<.001. 3. As concerns the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gend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and interest than girls do. Howev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than girls do in connection with the standard of living. Although the cloth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mother's age and existence of mother's job shows a little difference in mean values,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detected. 4. Clothing behavior of the children show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5. Through 3-dimensional variable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mutual interaction between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from MCA supplementary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 PDF

일부 초등학생의 안전실천 관련요인 (Safety-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a rural area)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15-1125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안전실천수준과 안전실천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549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안전의식 수준은 3.55점과 안전실천 수준은 2.98점이었으며. 안전실천 수준은 초등학생의 성별, 학년, 친구수, 학교생활적응정도, 학업수준, 성격, 호기심, 안전교육필요성 인식정도, 부모의 안전교육실시 정도, 학교안전교육실시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안전의식 수준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 부모의 안전교육실시정도가 안전실천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모두 28.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안전실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앞으로 더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피부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연구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Estheticians)

  • 양현옥;곽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80-1388
    • /
    • 2009
  • 피부미용사들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밝혀보고자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와 전주시의 피부미용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전문직업성은 연령, 학력, 현 근무지 근무 연수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삶의 만족도, 직무만족도별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삶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그렇지 않은 피부미용사보다 높았고(t =2.77, p<.01), 직무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직무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보통인 피부미용사가 불만족하는 피부미용사보다 높지 않았다(F= 6.06, p<.01). 둘째, 전문 직업성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율성 (r=.595, p<.001), 전문조직의 활용(r=.428, p<.001),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r=.492,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에 대한 신념 (r=-.634, p<.001),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r=-.485,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와 ASE 모델 요인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ASE(Attitude-Social Influence-Self Efficacy) Model Factors on Academic Persistence of Online University Students)

  • 이다예;서영숙;김영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53-463
    • /
    • 2018
  • 개인적 변인의 폭이 넓은 학습자 특성과 학업 방식의 독특성, 그리고 다양한 학습 환경이라는 특성을 가진 원격대학생의 학업지속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격대학 학습자에 대해 행위수행의도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ASE 모델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태도, 사회적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ASE 모델요인과 학업지속의도 간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원격대학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81명의 설문자료를 빈도분석, ${\chi}^2$검증, t-검증. F-검증, Pearson's correlation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5.76, p<.001), 설명력은 29%였으며, 유의한 영향요인은 학업스트레스(${\beta}=-.16$, p=.016), 온라인 학습태도(${\beta}=.44$, p<.001)와 사회적 영향 요인 중 사회적 지지(${\beta}=.13$, p=.045)였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온라인 학습태도를 높이며, 사회적 지지를 구축할 수 있는 정교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