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부서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about the Effect on R&D and Marketing Integration (신제품개발과정중 연구개발부서와 마케팅 부서간의 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 - PC산업의 마케팅부서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장경수;김용진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 no.2
    • /
    • pp.195-208
    • /
    • 1998
  • Domestic corporation in High-tech industry invest huge amounts of economic resources into the Research & Development(R&D) department, especially into new product development. It might be an adequate explanation for this phenomena that as the product life cycle gets shorter,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necessitates core competency from every corporation, new product planning becomes a vital going concern for the company to keep and increase its market share This could originate from an inappropriate combination between new products and other marketing mix elements. But it could be that the main cause of these failures com from unsatisfactory customers. In the other words, R&D department failed to sufficiently recognize market needs. This could be solved through integration between marketing department R&D department This study supposes that integration between these two departments-marketing department and R&D department influences the success of new product. In other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tegration and the relationships

  • PDF

A study of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 -Focused on Korean Cosmetic Industry- (신제품개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서성한;조서환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3
    • /
    • pp.64-89
    • /
    • 2000
  • 기업의 사활은 신제품개발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국내에서의 신제품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는 그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성공요인간의 관계를 유추해 보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논문은, Day & Wensley 의 SPP(Source-Position-Performance)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 개 기업에서 총 159 부를 수집하여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마케팅 능력이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과 둘째, 임직원 몰입도가 부서간 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 기술 능력이 단순히 뛰어나다 해서 제품을 차별화 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과 넷째, 부서간 통합정도가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롤 가져올 수는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부서내 커뮤니케이션의 부족 및 부서간 갈등 둥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차별화가 신제품 성과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철저한 시장 특성 및 동향을 파악하여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술 능력이 회사마다 평준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정확한 소비자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신제품개발이다. 또한 신제품개발과정에서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은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기업의 마케팅 능력에 따른 객관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특히 화장품시장에서는 브랜드마케팅에 의해 더욱 차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단순한 제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 마케터의 역할이다. 기업은 단순히 제품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제품이상의 것을 판다, 그래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정확하게 자사 제품을 포지션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 PDF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amination of the Impacts of the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up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신제품개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부서간 협력요인에 관한 이론적 토대)

  • Shim, Jong-Seop;Lee, Mun-Su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1
    • /
    • pp.83-100
    • /
    • 1998
  • The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buil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of impacts of cross-functional integration up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NPDP). For this purpose, we have concentrated our efforts on systematically delving into how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affect upon th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upon the NPDP while dividing those critical integration factors into the structural and the infra-structural ones. We have selected interdepartmental job-rotation, consigning of papers, and cross-functional teem meeting as structural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we have chosen Quality Functional Deployment(QFD), Concurrent Engineering(CE), and Evaluation and Reward Systems as those infra-structural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After identifying those integration factors, we have carefully 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ntegration factors and those cooperation variables (interdepartmental common goal, interdepartmental interactions, and common sharing of ideas and informations) to look into how they affect upon the NPDP. Among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NPDP related studies, our study is the first to show systematically how strongly infra-structural integration factors affect upon the achievement of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NPDP.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our resources and time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e have limited our study to building only a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to look into how cross-functional integration variables are related with NPDP.

  • PDF

Review of Designation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Manager of Business-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기업부설연구소에서의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지정에 관한 고찰)

  • Park, S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1-192
    • /
    • 2022
  • 「연구실안전법」에 따르면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의 경우 연구실 안전과 관련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연구주체의 장을 보좌하고 연구실책임자 등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구실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 담부서에 있어서 「연구실안전법」에 따른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지정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사용자 주도형 ERP시스템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 서창갑;전우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7-242
    • /
    • 2002
  • 정보기술은 전략적으로 도입되어야 하고 그를 위해서는 경영전략의 선행수립이 필수적이다. 부서나 기능중심의 접근으로는 개발의 중복, 기능이나 부서간 자료의 불일치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ERP는 IT의 통합적 구현을 위한 개념이자 제품이다. ERP를 통해 프로세스적으로 전사적 업무흐름을 재설계하고 통합하고, 환경변화에 유연한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ERP의 기본사상이 업무중심의 접근이라면 현업사용자의 역할은 상당한 비중을 가질 것이며, 이것이 곧 사용자주도형 ERP구현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 사례를 통해서 현업위주의 ERP시스템 개발의 정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Novelty of Business Ven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 Yoon, Hyunjo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23-34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product development has mainly focused on the role of venture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r that of entrepreneurship in product development. Although there are many important discussions relat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of business venture, a more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is need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R&D department 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confirm the model of Day & Wensley(1988) that product novel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of 703 Korean business venture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such as utiliz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R&D department are more effective for business ventures in terms of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lso product novelty was prove to be a mediator that interve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lementation of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ose findings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whom h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differences in between new and existing product performance from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product development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Application of Creative Techniques for Selecting New Product Concept (제품 컨셉 선별을 위한 창조성 기법 활용)

  • Jang, Hyeon-Deok;Lee, J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0-446
    • /
    • 2010
  • 현존하는 많은 기업들은 신제품 개발을 통한 제품 혁신 (product innovation) 으로 경쟁우위를 획득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제품 개발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창조적 기법(Creative Techniques) 들의 활용이 개발관련부서뿐 아니라, 마케팅 관련 부서와도 공유됨으로써 더 효과적연 창조적 제품개발과정을 형성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이러한 공유에 활용하기 적절한 대표적인 창조적 기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다분야통합최적설계

  • 최동훈
    • CDE review
    • /
    • v.10 no.1
    • /
    • pp.39-47
    • /
    • 2004
  • 설계분야의 중요성은 신차 개발에 소요되는 부문별 비용들과 그들이 성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림 1을 통하여 명확히 설명될 수 있다. 이는 설계부문에 소요되는 비용이 다른 부문에 비해 적지만 성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함을 보여주며, 국내 산업체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개발 투자의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그런데, 국내 산업체의 현황을 살펴보면, 설계는 부품별 혹은 해석 분야별로 나뉘어 여러 설계부서들에서 이루어지며, 결과를 종합하는 단계에서 서로 상충되는 결과가 나타나면 관리자의 판단이나 부서간 협의에 의하여 재 설계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중략)

  • PDF

Key Success Factor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User Experience Team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조직 구축에 관한 연구)

  • Pan, Young-Hwan;Lee, Tae-So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84-788
    • /
    • 2006
  • UE (User Experience) 조직이나, UI (User Interface or User Interaction) 조직, 사용성 조직이 2000 년대에 들어서 국내에 많이 활성화 되었다. 국내에서는 UE 조직이 구축 될 때에 전략적인 계획에 의해 형성이 되기 보다는 스타일 중심으로 디자인이 부서에 소수인원으로 시작이 되거나, 또는 개발부서의 지원 부서로 시작되다가 확대 되는 경우가 많아 비효율적으로 구축이 되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UE 팀이 조직화 될 때에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조직의 구축 단계, 역할, 프로세스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고 효과적으로 팀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UE 조직의 성숙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UE 팀의 차별화 포지션을 파악하는 것으로 고객과 제공해야 할 것과 방법론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 결과는 UE 관련한 조직을 구축하거나 운영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 Kim, Mi-Ja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0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