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계 시스템

검색결과 4,808건 처리시간 0.049초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시스템 연계 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 (Study on a Linking Strategy between the Flood Damage Prediction Map and System)

  • 정다솜;홍성수;정영훈;황의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0-590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풍수해의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재해 예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다. 또한 풍수해와 관련하여 정부 및 지자체에서 재해지도를 작성하고 있으나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재해지도를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있다. 결국 호우, 산사태, 바람 등 각각의 재해에 대해 여러 시스템에서 자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자료, 지역 등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을 찾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존재하며 전국이 아닌 일부 지역만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각 기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종류와 제공형태가 시스템별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국민안전처에서 추진하는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의 활성화를 위해서 통합적인 재해지도 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관련기관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활용자료, 구성도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연계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풍수해 피해예측지도의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연계모듈 적용방안을 제시하여 추후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구축 및 피해예측지도 작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SS를 이용한 과학기술정보 연계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nection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using RSS)

  • 이민호;박상배;주원균;양명석;최기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1-554
    • /
    • 2006
  •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서는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에 대한 산출물뿐만 아니라 세미나/일정 연구 성과 사업공고 최근 연구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생산해 내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과제관리 기관 연구회 등의 기관에 수집되고 가공되어 더 가치있는 정보로 거듭나게 된다. 이러한 정보의 흐름 속에서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정보 수집 기관의 정보 시스템들 간 연계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정보 연계 시스템들은 자체적으로 정의된 프로토콜을 통하여 단단하게 (tightly) 연계하거나 웹을 통한 HTML 파싱을 이용해 연계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새로운 시스템을 추가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변경할 경우 빠르게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풀(Pull) 방식의 표준화된 포맷인 RSS[1]가 각 분야에서 다양하고 활발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RSS를 이용하여 과학기술 정보를 연계/수집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또한 기존 시스템의 연계방식과 RSS의 장단점에 대해 서 알아보며, 이것을 기초기술연구정보망 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도 살펴본다.

  • PDF

왜곡 계통 조건에서 계통연계 인버터의 과도응답을 개선하기 위한 이산시간 슬라이딩 모드 (A Discrete-time Sliding Mode Control Scheme to Improve Transients of Grid-connected Inverter under Distorted Grid)

  • 윤승진;김경화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338-339
    • /
    • 2018
  • 최근 분산전원 시스템 개발로 인해 계통연계 인버터의 사용이 증가해 왔다. 계통연계 인버터의 주요한 역할은 계통연계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운전과 계통 사고 시 중요 부하에 대한 연속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독립운전에 있다. 각 모드 전환시의 출력전압의 변동성과 과도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다중 루프 및 간접 전류 제어 방식이 계통연계 인버터에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어 방식은 캐패시터 전압 및 인버터 전류의 측정이 요구되어 시스템의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시간 상태공간에서의 전상태 관측기를 설계하여 무순단 절체 동작 시 제어기가 요구하는 변수를 추정하고 이를 궤환신호로 사용하여 시스템의 설계 비용 및 복잡성을 줄인다. 또한 계통연계 시 계통유입 고조파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공진형 제어기의 과도 응답을 개선하기 위해 이산시간에서 슬라이딩 모드와 공진제어기가 결합된 새로운 제어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된다.

  • PDF

신재생 에너지 발전시스템의 LVRT 제어 방안 (LVRT Control Methods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s)

  • 김진홍;현병조;박준성;최준혁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4
    • /
    • 2015
  • 최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계통 연계시 안정성 유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계통 연계 규정들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에서 계통 사고 상황시 만족해야하는 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규정과 이에 따른 제어 방안에 대한 논문이다. LVRT 규정은 계통 전압 사고시 전압 감소율에 따라서 발전시스템이 계통에 연계되어 있어야하는 조건, trip시킬 조건 및 계통 회복시간등에 대해 규정해 놓았다. 이러한 규정에 따라서 전압 감소율 및 회복 시간에 따라서 무효전류를 공급해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국의 grid code에 대해 살펴보고 계통사고 상황시 계통연계형 신재생 에너지 발전시스템의 LVRT 제어 방안을 개발하였다. 이 제어 방안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계통연계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제어기법 및 연계운전특성 (A Control Method and Test Results of Utility-Interactiv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 황인호;안교상;임희천;김신섭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3-129
    • /
    • 2000
  • 본 논문은 실용화 보급단계에 있는 대표적인 대체에너지 전원으로서, 태양전지, 직·교류(DC/AC) 인버터, 전력계통으로 구성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계 및 시험결과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계통연계를 위한 시스템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3상 직·교류 인버터를 포함한 50kW 계통연계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설계 제작되었다. 또한 d-q 변환을 이용한 PI 제어기를 갖는 전류제어방식의 3상 PWM 인버터 제어기법이 제시되었다. 실험결과들은 제안된 시스템이 계통연계 동작에 있어서 단위 역율로 안정하게 동작함을 보여준다.

  • PDF

발전기 형태를 고려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의 배전계통 연계운전시의 순시전압변동 해석 (Analysis on Momentary Voltage Dips with the Interconnection Operation of Utility-interactive Cogneration Systems Considering Their Generator Type)

  • 최준호;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3-30
    • /
    • 2000
  •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환경 친화적인 동시에 상대적으로 고 효율의 에너지 시스템으로서 분산 방전설비의 혁신 기술중 하나이다, 아울러 열병합발전 시스템운 열과 전기의 분산공급에 적절한 발전 시스템이다. 그러나,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계통 연계는 전압 소정, 전압변동, 보호협조, 안전등의 제반 연제문제를 수반한다. 특히, 이러한 연계문제 중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배전계통 연계.분리 운전은 배전계통의 전압조정 및 변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된다. 최근 수용가 소유의 컴퓨터 및 민감한 전자소자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전력품질온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열병합발전 시스템과 관련한 전압품질은 반드시 분석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전압품질은 전력 품질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배전계통 연계 운전에 따른 순서전압변통 에 대하여 컴퓨터 시물레이션을 롱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이의 억제 대책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순시전압변동 측면에서 본 피더 당 열병합발전시스템의 단위 도입 용량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열병합발전 시스템 또는 분산형 전원의 계통 연계 표준. 가이드라인에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믿는다.

  • PDF

1kW급 보조전원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1kW Class Fuel Cell System for Auxiliary Power)

  • 한세영;최동민;신범수;심재휘;이호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89-19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C)를 이용하여 보조전 원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통연계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와 시스템 제어기의 개발도 병행하여 수행되었다. 개발된 1kW급 보조전원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스택 성능 실험 및 BOP 연계 시험을 통해 최적의 운전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운전제어 방식을 통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 특성을 확보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은 계통연계용은 물론 독립전원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장치를 설계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 PDF

MMDB를 이용한 행정시스템 연계 (Interworking of Administrative System using a Main Memory Database)

  • 권경화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157-159
    • /
    • 2004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업무별 단위시스템을 단일화 또는 연계하여 자료를 공동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타 시스템의 자료를 실시간으로 검색함에 있어 빠른 응답시간이 요구되며, 검색건수 증가에 따른 수행지연으로 인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 대상 자료를 본 시스템의 메모리에 상주시켜 연계자료에 대한 검색속도를 높이고 수행지연에 의한 병목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효전력 제어 (Reactive Power Control using Single Phase Grid-Connected PV Power System)

  • 김승탁;강병관;박정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509_510
    • /
    • 2009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 특성에 따라 주로 주택, 빌딩 등 비선형 부하를 지니는 장소에 단상 계통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무효전력 제어는 전력품질 향상에 대해 의미를 지니게 된다. 본 논문은 3kW급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간편한 무효 전력 제어 방식을 보여준다.

  • PDF

단독운전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직류전동기와의 연계운전 시뮬레이션 (Connection operation simulation of DC Motor of single operation PV system)

  • 변형준;노경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95-1196
    • /
    • 2006
  • 현 시대는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에 대한 대책으로 신재생 에너지시스템의 실용화 보급이 활성화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일한으로 태양광 발전을 비롯한 분산형 전원은 계통될 경우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그 중 단독운전으로 계통보호측면에서 반드시 검출되어, 이 단독운전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직류전동기와의 연계운전 시뮬레이션 하여 운전에 따른 시스템 주변장치의 성능개선 및 연계기술 개발을 도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