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 소비자 특성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SNS상의 온라인 구전정보의 특성이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Do-Hui;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6-46
    • /
    • 2017
  • 최근 경기 침체에 불구하고 피부관리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뷰티디바이스) 열기가 거세다.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없이 가성비가 뛰어난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시장은 지난해 약 1000억으로 전년 대비 약 25%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당분간 이 열기는 지속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시장이 이제 막 주목받고 있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수단인 SNS의 구전 정보의 특성이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뷰티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구매의도에 중요한 역할하는 소비자의 태도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지는 분석하여 성장해가고 있는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뷰티디바이스) 창업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모형에 있어서 SNS의 구전정보의 특성으로는 구전정보의 방향성, 구전정보의 수량, 구전정보의 내용 품질, 구전정보의 유형 들로 독립변수를 설정하였고, 종속변수인 구매의도사이에 매개변수로서 소비자태도를 선정하였다. 서울지역 여성 소비자들 중에서 가정용 안면 피부 미용기기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조건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150개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분석 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크론바하 알파 계수로 변수의 타당성, 신뢰성 분석을 하고 경로분석을 통하여 변수간 가설 검정을 분석중에 있다.

  • PDF

Transforming the Advertisements of Global Female cigarette in the Predominantly Male Market of Korea (1990년대 남성 주도적 한국시장에서의 글로벌 여성담배 광고의 변형)

  • Lim, In-Sook;Kim, Bo-Mi
    • Women's Studies Review
    • /
    • v.28 no.1
    • /
    • pp.3-42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cigarette companies' strategies to expand the female market in Korea after the market opening of 1988. Focusing on 'Virginia Slims' and 'Finesse', which are the PM and BAT's representative female brands,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ir typical advertising strategies were transformed in Korean market. After 3years from the market opening, 'Virginia Slims' gave up its brand identity and the strategy was so successful that 'Virginia Slims' continued to be 2nd best-selling brand in the imported cigarette market in Korea. In contrast, 'Finesse' maintained a typical women's cigarette image during the 1990s and consequently occupied the highest brand awareness as a female cigarette but lower market share than Virginia Slims. TTCs adapted to a doubly obstructed Korea market with its strong taboo against female smoking and a comparatively stronger legal ban on all cigarette ads targeting women. However, diverse indirect cigarette ads and promotions, which circumvented regulations, suggest that ads transforming was not to give up Korean female customers. Furthermore, the cigarette ads that the soft and mild taste of female brands are associated with healthy image rather than gendered image may appeal to Korean women without touching their emotions and desires.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4 no.3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Behaviors, Demographics, an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이용행태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레스토랑 선택속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 양위주;박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3
    • /
    • pp.492-49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ribute factors for fast food selec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use behaviors and demographics.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suggest the attribute factors for selection were classified into ten : physical service, cleanliness/promptness, human service, convenience/promotion, accessibility, menu variety, food quality, service for child and parking, added service, and comfortness. “Cleanliness” and “good taste” were considered as determining factors in selecting a fast food restaurant. According to the consumer's use behaviors and demographics, attribute factors for fast food sele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e marketers and managers on the fast food industry should develop their own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nd implement effective targeting, positioning, and promotional strategies.

Influence of Living Abroad on People in General and Their Clothing Style: A Case Study of Koreans (해외체류경험이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의 경우)

  • Yu HaeKyung;Kim Cha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2 s.138
    • /
    • pp.1644-1654
    • /
    • 2004
  • As globalization has been accelerating in recent years, more people have opportunities to live abroa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hich is known to have strong influence on consumer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f and how sojourning experience could bring changes to people in general and in clothing styles with focus on Korean adult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a total of thirty-six women and twenty-one men who lived in foreign countries more than two years and have been back in Korea longer than one year. The major results indicated that in addition to personalities, age, length of stay, activities during stay, gender, and cultural distances played important roles in bringing long-term changes on people. Re-established self-identity, changes in values, and openness toward diversity were major common changes observed in the interviewees. In addition, they became educated consumers with good knowledge of diverse brands and prices, and emphasized value as opposed to price. Changes in clothing styles were noted mainly among women. They placed high importance on having their own style, coordination and appropriateness, which we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changes. Influences of different cultures were also noted.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est in Eye Makeup and Makeup care Behavior in Female Consumers (여성 소비자의 외모만족도가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 및 메이크업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Jung, W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2
    • /
    • pp.348-358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est in eye makeup and makeup care behavior in female consumers and provide basic data which are needed to pla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 cosmetics in the cosmetics marke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dult women in their 20-50s from the capital region.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differences were found in appearance satisfaction, interest in eye makeup and makeup care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nterest in eye makeup started with 'self-care', showing interest in chasing a trend. Second, concerning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est in eye makeup, as the respon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facial contour,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eye makeup.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eye makeup care behavior, a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kin conditions, trend-setting makeup care behavior increased. Consequently, increase in appearance satisfaction enhanced interest in eye makeup, having an influence on makeup care behavior.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Blue Jean Consumers' Brand Switching Behavior in Out-of-ostock Situation (품절 상황에서의 청바지 제품 소비자의 상표전환행동)

  • ;Doris H. Kinca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3 no.8
    • /
    • pp.1086-1097
    • /
    • 1999
  • 본 연구는 청바지 제품 소비자가 쇼핑시 제품이 품절된 상황에 접했을 때 보여주는 상표 전환행동에 관한 것이다. 의류 매장 관리자의 적시 적량의 제품 입고 관리 능력이 부족할 때 발생하게 될 손실을 유추해 보고 어떤 유형의 소비자가 상표 전환을 쉽게 일으키느니를 규명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인 매장 운영 소비자 만족과 고객 관리를 위해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1) 제품 품절시 소비자들은 어떤 상표전환 행동을 보이는지 밝힌다. 2) 제품 품절시 대체 상표제품을 구매할 경우 대체 상표 제품의 가격의 영향력이 상표전환 행동과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 밝힌다. 3) 소비자의 쇼핑지향성, 상표충성, 애고 행동, 인구통제적 특성(성별)이 상표전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1997년 3월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소재한 버지니아 주립대학교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남녀학생 모두가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청바지를 선택하여 상표전환 행동에 대한 설문에 답하게 한후 t-test 와 카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20%의 응답자가 품절기 상표전환 행동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쇼핑시간과 편의성을 덜 중요하게 여기거나 강한 상표 충성을 보이고 의류전문매장이나 백화점을 주로 이용하는 여성 소비자들의 경우 상표전환을 쉽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류제조업자 및 소매업자의 제품입고에 과한 제언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