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소비자특성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emale Consumers Using Big Data (Big Data를 활용한 여성소비자의 특성연구)

  • Kim, Eun-J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0
    • /
    • pp.185-194
    • /
    • 2015
  • We are living in big data. Specially, female consumers are the hottest issue. Female consumers have a great effected on consumer culture as comparing male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sis characteristics of female consumers through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The summarized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rcentag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of unmarried female of 20s is high, so they actively spend lots of money on buying goods and so on. Second, they are ahead of the curve and follow entertainers. Third, domestic case studies(SD online buz marketing, C.S.I. Shinsegaemall project, Service center only for female consumers of Shinhan Card, Travel Service of Lotte Tour)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Big data service of Target, ZARA, and Walmart) show that if we utilize big data, we can raise re-purchasing desire and analysis needs of female consumers and create new female consumers.

Sensory Evaluation of Mascara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마스카라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신동영;정수정;선보경;김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51-256
    • /
    • 2002
  • 최근 제품개발의 동향은 소비자 각각의 특성에 맞춘 "맞춤 컨셉"을 가진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그 어떤 제품보다도 소비자가 사용 시 느끼는 관능특성과 그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시되는 화장품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대중화 된 베이스 메이크업과 립 메이크업 외에 최근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마스카라를 대상으로 한국 여성들에게 맞는 마스카라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관능특성을 분석하여 한국 여성들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 여성들의 눈과 속눈썹 모양에 대한 조사에서는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눈과 눈썹의 형태를 4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특성에 맞는 마스카라의 기능을 제안하였다. 그런 후, 전문패널을 대상으로 여러 기능의 마스카라를 이용해 마스카라의 관능특성을 평가하여 상기의 조사에서 나온 4가지 그룹에 대한 각각의 적합한 사용감을 제안하였다. 본 결과는 차후 소비자 특성에 맞는 마스카라 제품 개발 시 활용될 것이다.

  • PDF

국내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이승희;부정화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4-115
    • /
    • 2003
  • 본 연구는 패션 주얼리를 이용하는 소비자특성(과시소비, 패션리더, 상표충성도, 물질주의)과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 성인여성 중에 On-line(TV 홈쇼핑, 인터넷쇼핑, 카달로그쇼핑)과 Off-line (백화점, 대형할인점,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상점, 동네 주얼리 상점)의 패션 주얼리 점포를 통해 패션 주얼리를 구입해 본적이 있는 성인 여성만을 선택하였다. (중략)

  • PDF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박태희;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9-3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구매시 백화점 및 시장에서 구매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교하며, 이들 변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의복 소비 가치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는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여성 364명이었다.

  • PDF

Sensory Evaluation of Face Powder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페이스파우더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선보경;정수정;최경호;문성준;장이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98-303
    • /
    • 2001
  • 화장품은 그 어떤 제품보다도 소비자가 사용 시 느끼는 관능특성 및 그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제품이다. 자연스러우면서도 가벼운 메이컵이 유행함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관능특성을 가진 페이스 파우더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전 조사에 따르면 페이스 파우더 사용자들의 사용이유는 자연스러운 화장 및 가벼운 화장, 화사해 보임(블루밍 효과) 등이 주를 이루며 페이스 파우더 사용 시에 주요하게 느끼는 관능특성으로는 파우더 입자에 관한 사항과 화장상태에 관한 사항이 동시에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평상시에 페이스파우더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페이스파우더들을 실제 화장단계에 따라 사용하면서 인지되는 페이스 파우더의 관능특성들을 도출하게 한 결과 중 19가지 관능특성 평가 용어가 도출되었으며 이 용어들은 다시 입자 및 도포 요인/촉촉함 및 매트함 요인/색상 및 블루밍 요인의 세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페이스파우더의 주요 관능특징요인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능특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각각의 소비자군들이 선호하는 관능속성의 제품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였고 주후 제품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Factors Affecting Household Expenditures for Services

  • 조유현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2 no.3
    • /
    • pp.45-62
    • /
    • 1994
  •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재화의 소비자 수요에 관한 연구가 써비스의 소비자 수요에 관한 연구보다 강조되어 온 경향이 있으나 급증하는 써비의 분야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가계의 가계생산 시간절약에 기여할수 있는 써비스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 가계의 경제적.사회적 구조 그리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증가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라 생각된다. 본연구의 결과는 가계 및 개인을 포함하는 소비자 행동의 이해증진을 통해서 성공적인 마아케팅 전략의 개발을 도모하는 관련 써비스 업계와 소비자 행동과 가계의 소비행태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 및 가계 경제학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아울러, 본연구는 수용 함수 및 탄력성의 측정을 통해서 각 써비스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써비스 관련 공공정책의 수립에 도움을 줄수 있을것이다.

  • PDF

홈쇼핑으로 의류제품을 구매한 여성 소비자의 특성

  • 손부현;최종명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1-102
    • /
    • 2003
  • 최근 소비자들은 쾌적한 삶의 추구와 가족 중심적 사고로 여가와 레저를 중시하고 물리적 가치보다 정보가치와 시간가치를 더욱 중요시하여 쇼핑에서도 편익성을 추구하는 경향이다. 이와 함께 국내의 소비생활 양식이 서구형으로 변화하고, 교육기회의 증가, 신용사회의 정착, 정보화 사회의 출현 등 홈쇼핑 시장의 성숙조건이 갖추어져 있어 홈쇼핑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홈쇼핑으로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홈쇼핑 활성화에 다소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중략)

  • PDF

Study on the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Obese Women in Relation to Interest in Weight Control (성인비만여성의 체중조절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최영순;권순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7
    • /
    • pp.135-145
    • /
    • 2001
  • 현대사회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대중매체의 등장으로 자기 신체에 대한 미의식이 고조되어 있으며 체형의 불균형으로 인한 신체적 불만족을 보상하기 위해 여성복은 이미 여성의 신체를 사회적 이상에 맞게 수단으로 이용되어 과거 어떤 시기보다도 신체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옷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비만체형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외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복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들에게 잘 맞는 의복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류시장에서 소외되어온 비만 체형 소비자를 대상으로 첫째. 체중조절행동과 의복쇼핑행동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조절 행동에 따른 쇼핑행동 요인과의 관계에서 다이어트 경험의 유무, 자기지각체형, 체중조절 관심정도, 체중조절 동기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해 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가계수입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관련업계에 잠재된 중요한 여성복 시장임을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침체된 패션산업의 새로운 틈새시장으로서의 여성복 시장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Exploring th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Shopper's Visual Attention to Onlin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Emphasis on Human Brand Image (온라인 쇼핑정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시각 주의도 탐색 연구: 휴먼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 Hwang, Yoon Min;Lee, Kun C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2
    • /
    • pp.328-339
    • /
    • 2019
  •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shown on online shopping sites represent online retailer's intention to draw potential consumers' visual attention. However, unfortunately, previous studies in literature show that most of th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are naively designed just to appeal to consumers' visual attention without systematic and logical analysis of consumers' possible different visual reactions depending on gender. To fill in the research void like this, this study proposes eye-tracking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research issue of how gender affects consumers' visual attention towards human brand image contents on the online shopping sites. For the sake of conducting related eye-tracking experiments, we adopted two types of products - notebook computer as a utilitarian product, and perfume as a hedonic product. Results revealed that female consumers show higher visual attention to human brand image contents than male consumers. Beside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ists on the human brand image contents more highly when they are attached with a hedonic product like perfume, than a utilitarian product like notebook computer. From the eye-tracking-based experiment result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gender differences towards onlin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and related human brand image contents as well.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arch Action for Skin Care of Women in Their Twenties -on the Information Source- (20대 여성의 피부관리 정보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정보원을 중심으로-)

  • Kim, Do H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700-70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he skin care source on the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residential district and income).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ed that women in their twenties choose dermatologic clinics as the best source for skin care. The three-way ANOVA using three variables (lifestyle, residential district and income) showed notable differences between the dermatologic clinic, newspaper?magazine, family?friends, and internet sources. Some suggestions for a marketing strategy were made. For example, newspaper?magazine targeting high income consumers is a good means for dermatologic clinics in Seoul and the Internet is better than other sources for other industries in Daej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