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들간의 관계

Search Result 92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among U.S. College Women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 연구 : -법률가 및 의사직을 준비하는 미국 여대생을 중심으로-)

  • 김용미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27 no.3
    • /
    • pp.173-182
    • /
    • 1989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이 연구에서는 법률가 및 의사직, 이하 비 전통적인 여성이라 부름)과 전통적으로 여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준비중인 여대생 (이 연구에서는 교사 및 간호사직, 이하 전통적으로 여성 이라 부름)을 구분 할수 있는 개인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에 진출을 준비하거나 그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으나 그 특징들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비중이 있는지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발단론적 환경이론(Developmental-Contextualism)과 직업 발달에 대한 역동적 상호관계 모델(Dynamic Interaction Model)이 본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 포함성의 위치, 심리적 남성특성,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그리고 부모의 뒷받침과 이해였다. ANOVA 결과에 의하면 비전통적인 여성들이 자아존중감, 학교성적 성취도, 내적 통제성, 심리적 남성특성,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면에서 전통적인 여성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단계적 분별 분석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 남성 특성, 내적 통제성, 학교성적 성취도,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이 위 두집단의 여성들을 분별하는 가장 뛰어난 특성들이었으며 전체 표본의 76.99%가 이 요인들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역동적 상호관계모델은 여성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이론정립과 검사에 유효한 도구로 보이며, 이 연구에 포함한 변수들은 비 전통적인 여성들의 특성을 정확하게 묘사하는데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전통적인 여성들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능력특성군(Competency-related traits)"의 변수들을 좀 더 정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으며, 이 변수들과 여성의 직업발달의 관계를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요가 있다고 본다.

  • PDF

Women's Newspapers and Women's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미군정기의 여성신문과 여성운동)

  • Park, Yong-Gyu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9
    • /
    • pp.125-153
    • /
    • 2002
  • Because most of feminist researches on the media have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women's roles and representations in main scream mass media, women's media as alternative media remain remarkably understudied. Thus this study explores women's media in relation to women's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re were five women's newspapers which were means of women's movement in this period. However, failing to attract enough appropriate revenues and resort to fund-raising, women's newspapers could nor be published a long time. And women's newspapers as means of women's movement had the defects in women's representations because women's movement lacked a certain degree of autonomy from the male-dominated political activities. In other words, women's newspapers maintained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al areas, but on the other hand they emphasized the women's role as mother and housewife.

  • PDF

The Aspect of Gamseong Expression and Way of Healing in Women's Folk Songs - Focused on the folk songs in South Jeolla Province - (여성 민요에 나타난 감성의 발현양상과 치유방식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 You, mok-hwa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0
    • /
    • pp.129-161
    • /
    • 2010
  • Women's social status is marginal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refore it is not easy to express their's desire. Women's social role are restricted by the Confucian 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But women freely expressed their's gamseong(感性) by singing the folk songs.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reality of life or the structure and meanings of the women's folk songs. On the contrary, no one has paid attention to the gamseong in the women's folk songs. This is the reason why this thesis focused on the aspects of gamseong in the women's folk songs. The aspect of gamseong expression in women's folk songs can be classfied as follow: HAN(恨) resulting from living with one's husband's parents (Si-jip-sa-ri); LONGING caused by parting with the lover; HOPE due to childbirth and bringing up; SHIN-MYOUNG(神明) through deviation and liberation. In conclusion, We can find out women's gamseong would be formed from the their own roles and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Besides they could offset their sorrow and cure their pain through loving others and selfloving.

여성의 경제활동 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Park, Sun-Jeong;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97-202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제활동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여성들의 경제활동의욕과 창업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심리적특성과 준비도, 동기, 업무경험, 네트워크 역량, 차별인식, 일에대한 인식. 지원 제도, 재산상태 인식, 가족지지로 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경제활동 의욕과 창업의도로 설정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 의욕과 관련하여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심리적특성과 준비도, 동기, 업무경험, 차별인식, 지원제도등 경제활동 의욕과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iveness, gender identity,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leaders in Govern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gender equality (여성 공무원 리더의 효율성, 성 정체성, 삶의 만족도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

  • Hai-Sook Kim;Jae-Yoon Chang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8 no.2
    • /
    • pp.191-208
    • /
    • 2002
  • This survey research examined the effectiveness, gender identity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leaders in 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gender discrimination. The respondents were high -ranking (above 5th grade) male (N=154) and female (N=150) leaders in government and the supervisors (N= 139) of the female lead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female leaders was rated lower as she helped her junior females at work more as a mentor, while she was rated as being more effective as her leadership style became more relationship-oriented. The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leaders was higher as she engaged more in mentoring to the junior females and as she had more positive gender identity. However, life satisfaction became lower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became more discriminating toward females. The discriminating organizational culture was also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females(especially the relationship with the female seniors). These results are indicating that the behaviors, the effectiveness ratings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leaders in Government are restricted by the gender -discriminat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ultural stereotypes of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 PDF

Factor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Care Workers (돌봄 여성 노동자의 노동특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Kim, Min-Ju;Kim, Nam-Sook
    •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
    • no.43
    • /
    • pp.37-5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intent to leave among the female care worker's the labor properties, Total 54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87 female care workers working at the area of Daegu and GyeongBuk.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Academic ability, lower subjective-evaluation of remuneration, non-business contracts, labor int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cy providing are factor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higher education, lower subjective-evaluation of remuneration, more work than the contract, higher labor intensity, the female care workers have higher probability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as policy and practice.

A Case Study on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to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중년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사례연구)

  • Min, deul-l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23-324
    • /
    • 2013
  • 본 연구는 충남 아산시 "찾아가는 맞춤형 여성교육" 프로그램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여성이 사회참여 필요성 증대 및 여성들의 다양한활 동 등 삶의 질 향상 등 맞춤형 여성교육 프로그램 확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4주간 매1회씩 인터뷰를 통해 여성의 전문성 향상 및 지속적인 사회참여활동을 지원하는 것에 만족감, 대인관계 및 인맥을 확장등의 긍정적인 반응들이 나타났다. 반면 전문 강사진,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이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Dependency on Women's External Reactions toward Sexual Harassmwnt (여성의 대인 의존심이 성적 성가심 대응 반응에 미치는 영향)

  • Shin, Sung-J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26
    • /
    • pp.135-164
    • /
    • 1995
  • 자료분석 결과 발견된 사실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에서 발생하는 성적 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여성들은 약 50.6%정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성적 성가심에 대해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고, 불쾌감을 상대에게 표현하며 대응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은 전체 응답자(736명)중에서 약 40%(294명)정도 였다. 성적 성가심에 대하여 불쾌함을 인식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상대에게 불쾌함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이 약 10.7%(79명)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적 성가심에 대하여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낮고 불쾌함을 상대에게 표현하는 정도도 낮은 여성들이 약 32.8%(242명)나 되었다. 약 16.4%(121명)의 여성들은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도 상대에게 불쾌감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 4> 둘째, 직장에서 발생하는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여성이 상대에게 성적 성가심에 대한 자신의 불쾌함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능력은 여성의 심리적 특성인 대인의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명백하게 확인하였다.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성적 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쾌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면서 불쾌감을 표현하고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들은 대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반대로 성적성가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쾌하게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불쾌감을 표현하며 대응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은 대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목할만한 사실이다. 세째, 성장시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이 성적 성가심과 같은 이성과의 상황에서의 여성들의 대응 반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성장시 아버지가 지배적이고 어머니가 순종적인 특성이 뚜렷한 가정에서 성장한 여성들은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이 동등한 가정 분위기에서 양육된 여성들에 비해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불쾌함을 표현하며 상대에게 대응하는 수준(강도)자체가 훨씬 낮았고, 성적 성가심에 대해 자신이 불쾌하게 생각하는 정도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약한 소극적인 대응반응을 보이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성적 성가심 상황에서 상대 남성에 대한 여성들의 대응 반응은 성장시 남성인 아버지에 대한 여성인 어머니의 태도 및 행동의 재현(reenactment)현상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특히 동성인 부모가 성역활 사회화의 가장 강력한 모델이라는 학습 이론가들의 주장을 거듭 뒷받침하여 준다.

  • PDF

Factors related to the Awareness for the Needs of Family Counseling for Married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 관련 요인의 탐색)

  • Kim, Hyun-Su;Choi, Youn-Shil
    •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 /
    • v.17 no.3
    • /
    • pp.435-456
    • /
    • 2012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awareness for the overall need of family counseling and aims at providing a direction of support for family counseling that is leveled at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ies.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10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equency, distribu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regression analyses on demographic variables, Korean language skills,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and experience of family counseling were conducted in view that these were factors that affected awareness for family counseling, with a total of 58,072 immigrant women who came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skills,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subjects recognized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as moderate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lso moderate. Social supporters did not exceed more than two people including from both Koreans and their country natives, and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s to their spouse, children, and parents in-law.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the nationalitie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regarding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Thir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based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Korean language ability, social support, satisfactory family relationships and previous experience of family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