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여성 노동자의 노동특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Care Workers

  • 김민주 (계명대학교 지역사회통합인재양성사업단 총괄팀) ;
  • 김남숙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Min-Ju (keimyung University BK21 plus Training Center for Social integration expert) ;
  • Kim, Nam-Sook (Tongmyong University)
  • 투고 : 2014.01.08
  • 심사 : 2014.03.18
  • 발행 : 2014.03.31

초록

돌봄 노동의 사회적 필요성이 증가하고 그 시장의 규모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돌봄 노동의 주요 공급자로서 여성 노동자들의 노동가치는 제대로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현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돌봄 여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돌봄 여성 노동자의 일반적 특성과 돌봄 노동의 특성요인(근무특성과 대인관계특성)들 중 돌봄 여성 노동자들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있는 대구 경북의 돌봄 여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31개의 기관, 5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중 387부를 로짓 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사에 대한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짓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보수적절성에 대한 인식, 계약 외일, 노동 강도, 이용자와의 관계, 제공기관과의 관계요인으로 밝혀졌다. 즉 돌봄 여성 노동자의 학력이높을수록, 보수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계약 외 일을 할수록, 노동 강도가 높을수록 이직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와의 관계와 제공기관과의 관계요인에서는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돌봄 노동을 떠나려는 이직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돌봄 여성 노동자들이 직무를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서 돌봄 노동자의 노동조건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도 감독을 강화하여야 하며, 이용자와 돌봄 노동자가 상호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대인관계교육 제공이라는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intent to leave among the female care worker's the labor properties, Total 54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87 female care workers working at the area of Daegu and GyeongBuk.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Academic ability, lower subjective-evaluation of remuneration, non-business contracts, labor int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cy providing are factor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higher education, lower subjective-evaluation of remuneration, more work than the contract, higher labor intensity, the female care workers have higher probability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as policy and practi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