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름 강수량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f Nino3.4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ummer Seasonal Rainfall (Nino3.4지역 SST 및 여름강수량의 독립성분분석)

  • Kwon Hyun-Han;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2 s.161
    • /
    • pp.985-994
    • /
    • 2005
  • We examined problem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hich is able to analyze at the low dimensionality as a methodologv to assess hydrologic time series, and introduced the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that can supplement problem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also applied the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SST) of the Nino region and assessed the correlation between El $\tilde{n}ino$-Southern Oscillation(ENSO) and SST. The results of examining separation-ability of principal components using mixed signals indicate that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s statistically superior compared to tha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nally, we assessed correlation between ENSO and global anomaly SST.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was applied to the $5^{\circ}{\times}5^{\circ}$(latitude and longitude) global anomaly SST in the Nino+3.4 region that is the El $\tilde{n}ino$ observation section. We assessed the correlation with the ENSO years.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only one independent component($86\%$) was able to represent the entire behavior and was consistent with the main ENSO years. Finally, we carried out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for summer seasonal rainfalls at nine stations and could extract ICs to reflec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increasing trend has been shown at IC-1 and IC-2 since 1970s.

Projection of Forest Vegetation Change by Applying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MIROC3.2 A1B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MIROC3.2 A1B에 따른 우리나라 산림식생분포의 변화 전망)

  • Shin, Hyung-Jin;Park, Geun-Ae;Park, Min-Ji;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64-75
    • /
    • 2012
  • To predict the future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he present forest stand distributions of South Korea were represented by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the following environmental variables: summer average precipitation, the coldest month average temperature, elevation, degree of base saturation, and soil organic matter. The future forest community was predicted by applying the MIROC3.2 hires A1B scenario. The future climate data were downscaled by statistically method. The coldest month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4.4^{\circ}C$, $6.0^{\circ}C$, and $9.4^{\circ}C$, and 3 months average precipitation changed -1.2%, 5.7%, and 5.3% for 2020s, 2050s, and 2080s respectively. For the projected summer precipitation and the coldest temperature, the future deciduous and mixed forests in the study area increased 56.9% and 8.3% and the coniferous forest decreased 11.2% in 2080s based on present.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기후와 유출량의 변화

  • Lee, Dong-Gyu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1
    • /
    • pp.8-12
    • /
    • 2008
  • 기후변화가 한반도 지역기후와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역기후모델과 수문모델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한반도 70년 장기 지 역기후와 유출량을 생산하였다. 생산된 자료에 따르면 한반도의 미래 지상온도는 현재에 비하여 $1.5^{\circ}C$ 상승하고, 강수량은 0.2 mm $day^{1}$ 만큼 감소한다. 지상온도는 모든 계절에 상승하고, 강수는 초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감소한다. 미래의 연평균 강수량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강수 강도는 증가하고, 집중호우 일수는 증가하였다. 봄과 겨울의 길이가 감소하고, 여름은 증가하며, 봄의 시작이 빨라진다. 금강유역의 유출량은 이수기에는 감소하고, 홍수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한반도의 미래 지역기후 변화로 인하여, 이수기의 물부족, 호우로 인한 재해 피해 증가, 개화시기와 식생군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 PDF

Drought Index Sensibility Analysis using Normal Precipitation (정상강우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

  • Kim, Min-Seok;Oh, Tae-Suk;Kwon, Hyun-Ha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55-1559
    • /
    • 2009
  •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280mm 정도로 연강수량의 60%$\sim$80%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여름에는 홍수대책을, 남은 계절은 용수 확보를 위하여 늘 고심하게 된다. 특히 2008년도 여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태풍은 단 하나로, 여름철에 많은 강우가 발생하지 않아 연 강수량은 정상대비 강수량에 70%$\sim$80% 수준에 불과하다. 그로 인해 용수확보에 고심하고 있으며 현재 일부지역에서 극심한 물 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주요지점을 인천, 서울, 대구, 전주, 부산, 목포지점으로 총 6지점을 선정하여, 대표적인 가뭄지수라 할 수 있는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팔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우자료 및 온도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0년간의 정상(71$\sim$00년)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강우량자료가 정상 강우대비 0%, $\pm10%$, $\pm20%$, $\pm30%$, $\pm40%$, $\pm50%$로 변동 한다 보고 각각의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red tid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1. 적조발생과 기상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 윤흥주;김영섭;윤양호;김상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6
    • /
    • pp.843-848
    • /
    • 2002
  • It is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sunshine and winds)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summer and early-fall which frequently occurred the red tide, the precipitation had directly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because it carried the nutritive substances which originated from the land into the coastal areas. Then air temperature kept up generally high values, and sunshine and winds showed not directly the relationship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alysis on Changes of Daily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in Climate Indices over Republic of Korea (기후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일기온 및 일강수의 변화 분석)

  • Lee, Hyo-Shin;Shin, Jin-Ho;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75-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6개 지점(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에서 관측한 약 100년간(1912-2009년, 단 1950-1953년 제외)의 일최고/최저기온 및 일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로 다양한 기후지수를 산출하고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온 관련 기후지수로는 여름일수, 영하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열대야일수, 냉방도일, 난방도일, 일교차, 식물성장일수, 일최고/최저기온의 월최고값 및 월최저값 등을 분석하였으며, 강수 관련 기후지수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수강도, 호우일수, 미우일수, 최고 일강수 및 5일 연속 최고 강수량, 연속건조일수 및 연속습윤일수, 극한 강수일의 강수량 등을 계산하였다. 다음은 6개 지점의 기후지수를 평균한 결과이다. 6개 지점 모두에서 최저기온의 상승률이 최고기온의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분석기간 동안 일교차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0.12^{\circ}C$/10년)을 보였고, 최저기온에 근거한 기후지수인 서리일수 (최저기온이 $-5^{\circ}C$ 미만, -2.6일/10년), 영하일수(최고기온이 $0^{\circ}C$ 미만, -1.0일/10년) 등의 감소와 평균기온의 상승에 따른 성장계절길이(growing season length)의 증가(+3.53일/10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강수와 관련된 주요변화로 미우일수(일강수량이 1 $mmday^{-1}$ 이하)는 감소(-0.75일/10년)했지만, 10 $mmday^{-1}$ (+0.32일/10년), 20 $mmday^{-1}$ (+0.27일/10년), 30 $mmday^{-1}$ (+0.25일/10년), 50 $mmday^{-1}$ (+0.17일/10년), 80 $mmday^{-1}$(+0.09일/10년) 이상 내린 강수일수는 증가하였다. 강수강도(강수량이 1 $mmday^{-1}$ 이상일 때의 강수량과 강수일수 기준)는 0.23 $mmday^{-1}$/10년로 증가했다.

  • PDF

Projections on climate internal variability and climatological mean using hourly time series (시단위 시계열을 이용한 기후 내적 변동성 및 기후학적 평균에 대한 예측)

  • Kim, Jongho;Doi, Manh V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8-198
    • /
    • 2020
  • 기후 내적 변동성(Climate Internal Variability, CIV)은 기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후예측에 있어 주요 불확실성 원인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대해 CIV와 기후학적 평균(Climatological Mean, CM)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확률론적 날씨생성기(Stochastic Weather Generator)를 이용하여 국내 40개 기상 관측소에 대해, 30년에 해당하는 시단위 시계열 100개 앙상블을 생성하였다. CIV는 Detrend 방법과 Differenced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되었으며, noise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IV 값과 noise 값들 사이의 correlation이 매우 높았으며, 제시된 방법론이 신뢰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국내 40개 지역에 적용하여 계산된 CIV와 CM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의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 평균적으로 CM과 CIV는 미래에 증가할 것이며, 그 증가 정도는 RCP 8.5의 경우와 먼 미래END(2071-2100년) 기간에서 더 커질 것이다; (2) CM과 CIV의 미래 변화의 특성은 강수의 특성 지수에 따라 다르다. 강수량의 양을 나타내는 3개의 지수(총 강수량, totPr, 일 최대 강수량, maxDa 및 시간당 최대 강수량, maxHr)와 강수량의 발생일수를 나타내는 지수(무강우 일수, nonPr)의 특성은 크게 다르다. (3) CIV와 CM의 변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 maxDa와 maxHr에 대해서는 그들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지만 다른 지수에는 그렇지 않다. (4) 국내에서 CIV 값이 공간적으로 변동성이 큰 경우는 계절적으로 여름이며, 이는 totPr 및 maxDa에서만 유효하다. 시단위 시계열 앙상블을 생성하여 추정된 기후내적변동성 정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적절한 적응 및 대응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Observation-based Analysis of Climate Change using Meteorological Data of Gangneung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릉의 기후변화 추세 분석)

  • Lee, Jaeho;Baek, Hee-Jeong;Hyun, Yu-Kyung;Cho, Chunho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2
    • /
    • pp.133-141
    • /
    • 2011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n Gangwon-do by examining accumulated climate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Gangneung city over the past about 100 years. The annual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Gangneung have increased by $1.4^{\circ}C$ and 14.7%, respectively, over the last 98 years (1912~2009). The trends of Gangneung showed that precipitation has intensified as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decreased while its amount increased during the period.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spring and summer began earlier whereas the onsets of fall and winter were delayed. Summer has become longer and winter shorter by about a month. Averaging observation data from seven weather stations in Gangwon-do, the annual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ve increased by $0.8^{\circ}C$ and 21.0% respectively over the last 37 years (1973~2009). By region, Wonju city recorded the biggest increase of $1.6^{\circ}C$ in the annual mean temperature while Sokcho city the smallest increase of $0.4^{\circ}C$. In the annual mean precipitation, Daegwallweong recorded the biggest change of 22.2% and Wonju city the smallest of 12.0%.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ason and Solar Term According to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계절 및 절기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분석)

  • Oh, Miju;Kim, Jieun;Lee, Baesung;Kim, Tae-Wo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288-300
    • /
    • 2022
  •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gress extensively, climate change is intensifying due to greenhouse gas emissions. In Korea, the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annual precipitation also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solar term, which expresses seas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n, is also being overshadow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changes and solar-term changes of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bserved in the past as well as simulated for future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five major regions (Capital Region, Gyeongsang, Chungcheong, Jeolla, and Gangwon). For the seasonal length, the length of summer became longer, the length of winter became shorter nationwide, and the precipitation in summer general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In the Chungcheong area, under the RCP 8.5 scenario, the length of summer increased by 46%, precipitation increased by 16.2%, and the length of winter decreased by 31.8% compared to the past. For the solar term, the temperature rose in all seasons. In the Chungcheong area, under the RCP 8.5 scenario, the temperature of major heat increased by 15.5%, and the temperature of major cold increased by 75.7% compared to the past.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 and solar term were identified by region,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polici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tegration and Periodicity of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on Estuarine Tidal Sediment (하구역 간석지 퇴적물 대자율의 통합과 주기성 검토)

  • Shin, Yo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3
    • /
    • pp.593-607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by OSL dating and magnetic susceptibility (MS) in 12 sediment cores from estuarine tidal flat, Mosan Bay Estuary, west coast of Korea. For the complexity of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eries of data.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using relatively simple methods. First, MS data shows sensitive changes i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cipitation change during mid to late Holocene. Second, MS data show periodicity of 250 yr. when they were wavelet transformed. This periodicity is related with the intensifying of solar intensity,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and ENSO. Thus, MS data from estuarine sediments are valuable data which can explain mechanism of climate change in East Asia and worthy as proxy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