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름철

Search Result 2,72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혹서기 번식돈 관리 방안

  • Hong, Jong-Uk
    • Feed Journal
    • /
    • v.4 no.8 s.36
    • /
    • pp.108-113
    • /
    • 2006
  • 양돈장에서 번식돈은 농장의 시작이자 마지막이라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중요한 돼지이며 번식돈 관리만 철저히 해도 소모성 질병으로부터의 피해를 어느 정도는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중요한 번식돈 관리가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여름철에는 매우 힘들다. 힘든 여름철 번식돈 관리의 핵심은 사료 섭취량에 있다. 사람도 여름철이되면 입맛이 떨어지고 차가운 물만 찾는 것과 마찬가지로 돼지도 그렇다. 덥기 때문에 사료 섭취량은 자연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포유돈의 경우 줄어든 사료 섭취량은 모유 분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유 제충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농장 총 육성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여름철 포유돈 사료 섭취량 감소는 이유 체중, PSY(연간 모돈 두당 이유자돈수), MSY(연간 모돈 두당 출하두수) 그리고 WSY (연간 모돈 두당 출하체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여름철 번식돈 관리 방안을 논하기에 앞서 대한민국 여름철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생각해보자. 여름철 날씨를 대중 목욕탕 사우나에 비교해서 설명해 보겠다. 대중 목욕탕에 가보면 사우나가 있는데, 이 사우나를 대한민국 여름철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사우나에는 건식과 습식 사우나가 있는데, 이 두 사우나실의 온도를 보면 건식보다 습식사우나실의 온도가 10~20℃ 정도 더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람이 느끼는 온도는 습식 사우나실에 들어갔을 때 더 뜨겁게 느낀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습식 사우나실이 더 뜨겁다고 느끼는 이유는 습도에 의한 것이다. 대한민국 여름철은 바로 습식 사우나실과 같은 환경인 것이다. 지금부터는 습식 사우나실과 같은 고온 다습한 대한민국 여름철 환경에서 번식돈이 받을 수 있는 고온스트레스의 정도와 고온 스트레스가 번식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농업기술 - 여름철 강우와 고온에 대비한 시설채소 재배기술

  • Kim, Im-Gyeong
    • 농업기술회보
    • /
    • v.51 no.4
    • /
    • pp.26-27
    • /
    • 2014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여름철 시설하우스 내부온도는 $40{\sim}50^{\circ}C$이상 상승하는 반면 습도는 50~70%로 낮아진다.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비가 집중되고 국지성 호우가 증가하는 추세로 6월부터 고온과 과습으로 인해 수정률이 낮아지고 생리장해가 증가되는 등 생산량과 품질이 저하돼 가격변동이 심한 편이다. 때문에, 여름철에도 안정적으로 시설채소를 생산하고 품질이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조절 및 작물관리 기술을 소개한다.

  • PDF

여름철의 돼지 수태율 향상방안(사양관리측면)

  • Lee, Jang-Hyeong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8 no.6 s.202
    • /
    • pp.166-171
    • /
    • 1996
  • 여름철이 되면 평균 기온이 27도씨이상 되는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장마로 인하여 습도가 높아지면 불괘지수가 높아져서 관리자들도 모든 일이 짜증스럽고 주위가 산만해지기 쉬운 계절이다. 또한 여름철에는 양돈장에 파리와 모기 등의 해충이 많이 발생하고 유해 가스가 많이 생기며 사료가 쉽게 변질되는 등으로 돼지의 사육에 직접 간접으로 불리하게 미치는 영향이 커서 발육이나 번식 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돼지는 선천적으로 다른 가축에 비하여 땀샘이 퇴화되고 피하지방이 두껍고 체지방축적이 많은 관계로 더위에 매우 약하므로 무더움 여름철에는 신진대사와 호르몬 분비 조절기능이 비정상적인 경우가 많아 사료섭취량 감소, 발육 지연 및 번식 성적에 관련되는 발정, 배란, 수태율, 산자수 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여름철에는 다른 계절보다 돼지의 사육에 적합한 온도, 습도, 환기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서 쾌적한 사육 환경을 조성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그 중에서도 여름철에 돼지의 수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대책을 강구해야겠다.

  • PDF

초점 : 여름철 농장관리 포인트 - 여름철 스트레스를 줄이는 제품들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4 no.6
    • /
    • pp.122-123
    • /
    • 2012
  • 본고는 여름철 혹한기를 맞이하여 농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 약품회사들이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 스트레스 제재를 소개하여 농가들의 이해를 돕고자 마련하였다. 본 회사들은 본지를 통해 광고 협찬을 하고 있는 업체들 위주로 소개하였다.

여름철 닭의 질병관리

  • 김순재
    • KOREAN POULTRY JOURNAL
    • /
    • v.6 no.7 s.57
    • /
    • pp.100-103
    • /
    • 1974
  • 여름철에는 닭의 질병이 빈번할 수 있는 계절이다. 높은 온도와 습한 공기로 계사주위가 불결하고, 일에 쫓기다 보면 질병의 예방관리에 태만하게 된다. 이렇게 하다보면 무서운 질병이 만연하여 양계업을 망치게 된다. 이번 호에는 여름철닭의 질병관리에 대해 월간양계 편집위원이며 안양가축위생연구소 계역담당관인 김순재 씨가 집필해 주었다.

  • PDF

운동요법 : 덥다고 운동 않할 수 없죠! - 당뇨인의 여름철 운동법

  • Kim, Min-G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59
    • /
    • pp.46-47
    • /
    • 2011
  • 여름철에는 조금만 무리해도 쉽게 피로해지고 지친다. 특히나 무더운 날씨 탓에 운동하기가 더욱 힘들어지면 혈당관리에 소홀해지기 쉽다. 그렇다고 운동을 하지 않을 수는 없는 법. 여름철 운동 시 주의해야 될 사항을 숙지하여 즐거운 여름을 보내보자.

  • PDF

Studies on Nutrient Composition of Loach -2. Seasonal Variations in Heavy Metal Contents of Loach in Various area- (미꾸라지의 영양성분에 대한연구 -2. 지역별 미꾸라지의 중금속함량의 계절변화-)

  • Kim, Hee-Sook;Lee, Hyun-K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8 no.2
    • /
    • pp.167-172
    • /
    • 1985
  • Loach, Misgurnus mizolepis, sampled from Milyang, Ulsan Gijang, Youngsan and Kimhae area in summer and autumn was subjected to quantitative analysis of heavy metals ( Cd, Cu, Cr, Mn, As, Pb and Hg ) by ICP-AES. Copper and lead contents were higher in summer samples than autumn samples, whereas chromium and manganese contents were higher in autumn samples. Cadmium and arsenic were not detected. Total mercury contents were 0.029-0.108ppm and there was no defference bewteen summer and autumn samples. Concentrations of cadmium copper, chromium, manganese, arsenic lead and total mercury were below the permissible levels of FDA and NHMRC.

  • PDF

Observation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Monsoon during the Summers of 1993 and 1994 (1993, 1994년 여름철 동아시아몬순의 관측 특성)

  • Kim, Baek-Jo;Ryu, Chan-S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369-379
    • /
    • 2002
  •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circulation associated with the cool and wet summer of 1993 and the warm and dry summer of 1994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atmospheric circulations features in the upper and lower troposphere and by examining the global SST and associated tropical convective precipitation fields. The negative geopotential height anomalies at 500 hPa and 200 hPa in 1993 over East Asia, the central North Pacific, and the western United States were replaced by positive ones in 1994. In addition, the 200 hPa zonal wind anomaly averaged over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reg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orean summer temperature anomaly. The subtropical jet stream in 1993 was displaced into the central part of Korea well south of its normal position.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shifted southward, and the East Asian summer rainfall and temperature was above-normal and below-normal, respectively due to the southwestward extension of a cold and dry polar airmass from the Sea of Okhotsk to the Est Sea. In contrast, the subtropical jet stream in 1994 was displaced well north of its normal position. The abrupt northward shift of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accompanied with the rapid northward movement of the rain band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rainfall. The anomaly patterns of the East Asia summer rainfall and temperature were opposite to those of 1993. Large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of opposite signs existed in the tropical Pacific with a mature El $Ni{\~{n}o$ in 1993 and a weak La $Ni{\~{n}a$ condition in 1994. The role of the anomalous convective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cific and the Indian Ocean related with the variations in the low-level cross-equatorial flow along the northwestern periphery of the Australian high and the Mascarene high is probably to influence a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the East Asia during both the years.

Cover Story - 2012년 여름철 풍수해 대비 추진 대책(극한기상 대비 인명피해 및 국민불편 최소화 실현)

  • Mun, Jong-Jin
    • Disaster Prevention Review
    • /
    • v.14 no.3
    • /
    • pp.38-46
    • /
    • 2012
  • 지난해 여름철에는 기상관측 기록을 갱신하는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저지대 주택 및 도로가 침수되는 등 서민생활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금년 여름철에는 예상치 못한 집중호우에도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인명피해 위험지역 특별관리, 하천도로 교통통제 절차 개선, 24시간 상황관리 등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해 한층 더 상향된 대응계획을 수립하였다.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