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과

Search Result 3,28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Grid Decomposition Indexing Method for Efficient Filtering in Spatial Databas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여과를 위한 격자 분할 색인 기법)

  • 박정민;김성희;이순조;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1-33
    • /
    • 2001
  • 고비용의 공간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공간 질의 처리는 여과-정제의 2단계 처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2단계 색인 방법은 여과율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 다단계 여과 과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다단계 여과 과정은 1차 여과된 객체에 대하여 더욱 정밀한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후부 객체 수를 줄이는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으나, 여러 번의 여과 단계를 거치므로 수행 시간이 길어지고 추가 정보유지로 인한 저장 공간 낭비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공간 영역을 격자로 분할하고, 객체를 격자 위에 구성하는 2단계의 공간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색인 방법은 Dead Space의 크기를 줄이고, 한 번의 여과 과정으로 높은 여과율을 갖는다.

  • PDF

Effect of Taylor Vortex on Cake Formation in Membrane Filtration (막여과에서 테일러 와류가 케이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박원철;김현우;최창균;박진용;김재진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52-55
    • /
    • 1997
  • 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막의 표면에서 발생하여 여과선속을 저하시키는 케이크층의 형성은 막을 이용한 고-액 분리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로서 이는 막 분리공정의 경제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체와 막 사이의 상대속도를 증가시켜 여과속도를 향상시키는 십자흐름 여과, 즉 CFF(crossflow filtra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심자흐름 여과에서도 막과 유체 사이의 상대속도의 증가에 한계가 있고 또한, 막의 기공보다 작은 입자가 막의 기공 내에 침투하여 막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과기의 설계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오염된 막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기계적.화학적인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발되고 여과선속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꾸준히 연구되어 분리막 기술의 경제성을 향상시켜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안정된 유동의 하나로서 막 표면의 전단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Taylor와류를 응용한 회전막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입자에 대한 여과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유동이 케이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여과선속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매개인자를 알아보고 실험결과를 간단한 모델식에 적용해 봄으로써 막의 저항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Purifier using Illite found from Young-dong (영동산 일라이트를 이용한 정수기 개발)

  • 김상순;김서흠;구경완;임무열;나대석;한위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429-432
    • /
    • 2000
  • 본 논문의 정수기는 영동산 일라이트를 필터의 주된 재료로 사용하였다. 구조는 여과필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수기의 필터 케이스 및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케이스가 분리, 결합이 간편한 본체와 마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는 1차 여과부와 2차 여과부로 분리되어 물이 1차 여과부의 상부를 통해 인입되어 2차 여과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동일한 크기 내에서 여과구간이 2배로 길어져 여과 효율이 우수한 동시에 물인입구와 물배출구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여 다수 개의 필터 케이스를 연결할 때 필터 케이스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필터 케이스의 설치면적이 좁다. 본체와 마개의 체결방식은 볼트 체결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마개는 플라스틱 재질이어서 본체에 마개를 단단히 체결하면 누수가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즉, 정수기의 필터하우징 성능과 영동산 일라이트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정수기에서 요구되어지는 정수능력을 가진 정수기를 개발 보고한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Neural Network for Increment Performance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Kim, Eun-Ju;Ryu, Joung-Woo;Kim,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9-312
    • /
    • 2003
  • 추천 시스템을 위한 여과 기술에는 협력적 여과, 내용기반 여과 등이 있다. 협력적 여과 방법은 적용이 용이한 반면 회소성 문제와 초기 평가 문제가 있으며, 내용기반 여과는 정보의 질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 효과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 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수가 많아지면 모델이 커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관도를 고려하는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관도란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구해진 상관계수의 절대값을 의미하며 상관도가 높다라는 것은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1에 가까운 경우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EachMovie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함을 보인다.

  • PDF

윤활시스템용 오일필터로서 자성폴리머 필터의 여과 특성 연구

  • 최기영;안병길;최웅수;권숙인;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4.06b
    • /
    • pp.35-48
    • /
    • 1994
  • 본 연구는 윤활시스템용 오일필터로서 개발된 자성폴리머 필터의 충진밀도에 따른 여과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여과시간 및 자성유무 등의 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실적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는 얻었다. 1. 자성폴리머 필터의 충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여과효율 및 압력손실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자성폴리머 필터의 기공 및 자성에 그 원인이 있다. 2. 자화 및 비자화된 자성폴리머 필터의 압력손실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여과효율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성의 영향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3. 자성폴리머 필터는 기존의 종이 필터보다 우수한 여과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다른 여과 메카니즘에 기인한다. 즉 종이 필터는 단지 기공에만 의존하는 표면여과방식인 반면 자성폴리머 필터는 기공(Porosity)과 자력(Magnetic Attration)의 기능을 지닌 심층여과 필터와 자성필터의 두기능을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된 자성폴리머 필터는 실제 윤활시스템에 적용시 매우 효과적인 오일필터로 작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mulation of poly-dispersed suspended solid removal by deep-bed filtration (입상여과에 의한 비균일 부유입자 제거공정 모사)

  • Choo, Changupp
    • Clean Technology
    • /
    • v.7 no.3
    • /
    • pp.161-167
    • /
    • 2001
  • A model was proposed for the removal of poly-dispersed suspended solid by deep bed filtration and the collect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computer simulation. Deposited particles on the collector surface may act as additional collector and reduce the pore size of the collector. As a result, the capability of removing suspended particles of the filter bed was improved with the deposition. The filtration process of poly-dispersed suspension shows higher collection efficiency than that of mono-dispersed suspensions. Since the large particles deposited on the collector surface may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contact between collectors and small particles, the improved overall collection efficiency was obtained.

  • PDF

Evaluation of Filter Media for Use in Alpha Measurement of Radon Progeny (라돈 자핵종의 알파 측정용 여과지 매질의 평가)

  • Seo, Kyung-Won;Knutson Earl 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17 no.1
    • /
    • pp.31-41
    • /
    • 1992
  • A study for the evaluation of selected filter media that need further characterization particularily in the context of alpha measurements of radon progeny has been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using the alpha spectroscopy. Physic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by electrostatic charging and mechanical strength of filters, and then pressure drop before and after sampling was tested. Alpha spectroscopy was used to analyze the energy spectra from the deposition of radon progeny into filter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the newer filter types do not have a great advantage over the 'old standard' Millipore type AA. But Metricel DM-800 is recommended for those situations where electrostatic charging is a problem. Also this method will be used more effective for the evaluation of new developing filters in future.

  • PDF

Treatment of Recycling Wastewater of Aquaculture Using DynaSand Filter( I ) (상향류식 연속역세여과를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재이용(I))

  • 박종호;김이오;황규덕;황금희;조규석;김동식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5 no.2
    • /
    • pp.87-93
    • /
    • 2002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iological filters used for treating recycled wastewater of aquaculture, the conventional and advanced DynaSand Filters were tested. Applying the fluid mechanics and physical chemistry theories to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dvanced filter focuses on detection of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automatic operation of DynaSand Filter to improve backwashing, oxygen transport, turbidity removal and continuous head loss. The Filter removes COD, ammonia, and suspended solids (SS), the major pollutants in aquaculture wastewater. The total volume of the DynaSand Filter is 70 L, while the working volume is 35 L per cycl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advanced DynaSand Filter is 71 % for SS (as against 55 % for the conventional filter), 84 % for ammonia, 85 % for T-P, and 88 % for SRP.

Improvment on the filtration process of foxtail millet Yakju (좁쌀약주의 여과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 강영주;고정삼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0 no.4
    • /
    • pp.482-487
    • /
    • 2003
  • The filtration effects of glass membrane filters and hollow fiber membranes with different pore size to prevent the haze of a commercial foxtail millet Yakju were investigated. The most particles(haze precusors) present in the Yakju were removed by using 1.2 $\mu\textrm{m}$ glass membrane filter. In case of using 0.45$\mu\textrm{m}$ hollow fiber membrane system, the permeate flux on the Yakju filtration was calculated to 342.8 lmh. During the 3 month storage at 4$^{\circ}C$ and room temperature for each 48 hrs in turn, alittle fine haze was observed from the Yakju even if it was filtered by using 0.7 $\mu\textrm{m}$ glass membrane filter. Anything of haze was, however, observed from the Yakju filtered by using all of hollow fiber membranes. Therefore, the 0.45$\mu\textrm{m}$ hollow fiber membrane system was effective as a final filtration process of the Yakju.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treating Secondary Clarifier Effluent for Wastewater Reuse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최종침전지 유출수의 급속여과공정 처리특성)

  • Han, Don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213-220
    • /
    • 2002
  • This reserch was focused upon experimental study for wastewater reuse and conducted to evaluat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such as filter flow rate, filtration time and backwashing condition for reuse of secondary-treated effluent using the pilot plant installed in re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lso, the experiment on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coagulant-added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activated sludge succeeded to rapid filtration. As the filtration velocity was 100m/day, the filtration time of the rapid filter connected with activated sludge system was revealed to 40 hours. Backwashing of filter was conducted by water wash and air scour. The optimum backwashing time and backwash flow rate were 10min and 10LPM,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backwashing water of the rapid filter was about 2% of total treated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