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과집진기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Numerical Study on the Particle Deposition Morphology in the Compression Cake (Compression Cake내에서의 입자 퇴적 양상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전기준;정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11-212
    • /
    • 2000
  • 여과집진기(fabric filter)는 높은 집진 효율로 인해 대형소각로를 포함한 환경시설의 집진 설비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pulse-jet형 여과집진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한편, 여과포 표면에 형성되는 dust cake의 퇴적성상(deposition morphology)은 여과집진기의 압력손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일정 여과속도에서 dust cake의 압력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탈진주기가 필연적으로 짧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Hybrid Precipitator Combined With Impaction Porous Plate (임팩션 다공성 Plate가 결합된 Hybrid 집진 시스템의 특성)

  • 조용수;여석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95-396
    • /
    • 2003
  • 최근, 고효율 집진장치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hybrid 집진 시스템은 2가지 이상의 집진 메카니즘을 1기의 단일 시스템에 결합시킴으로써, 시스템의 고성능화와 장치의 규모 및 설치비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력, 원심력 및 impaction 메카니즘(시스템 내부에 임팩션 효과를 유발시키는 impaction porous plate의 설치)을 결합하여 99% 이상의 집진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hybrid 집진 시스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99%의 고효율을 유지하는 기존 여과집진장치의 문제점인 낮은 여과속도(즉, 장치의 대형화), filter의 유지ㆍ관리 및 탈진 공정에 의한 연속 조업의 어려움 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집진 시스템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면 기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여과집진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집진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aticulate Matter at Bag Filters Coated with PTFE Membrane During Off-Line Pulsing (PTFE membrane이 코팅된 여과백의 off-line 탈진시 미세먼지 집진 특성)

  • Kim, Joung-Hun;Moon, Il-Shik;Hwang, Min-Young;Kim, Ryang-Gyoon;Ko, Daekw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7
    • /
    • pp.391-402
    • /
    • 2017
  • Particulate matter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environmental society recently so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at the commercial application of baghouse systems for effective control of fine particulates is viable. A laboratory-scale baghouse experimental apparatus with filter bags made of PTFE felt or PTFE felt coated with PTFE membrane is used to investigate the filtration performances of fine particulates. Experiments by changing filtration velocity,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average dust particle size show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ecomes higher at lower filtration velocity, higher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larger average dust particle size. The total pressure drop through the filter media and dust layer becomes higher at higher filtration velocity and higher inlet dust concentration.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higher and the pressure drop is lower at a baghouse with filter bags coated with PTFE membrane than that without membrane coating. From the result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PM_{2.5}$ in a reasonable filtration velocity range during off-line pulsing at a baghouse with PTFE felt bag filters coated with PTFE membrane is as high as 99.99%, it is confirmed that the use of baghouse is an effective measure to control the fine particulates.

산업용 여과포집진장치의 운전 및 성능

  • 박영옥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3a
    • /
    • pp.47-67
    • /
    • 1995
  • 현재 국내 산업공정 및 먼지발생공정에서는 발생된 먼지를 포집 제거하기 위해 머지 발생원의 특성에 따라 각종 집진기술을 적용하고 있는데, 여과포집진장치의 경우 년간 고체연료 사용량이 1,000톤 이상인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1985년에는 1,374기 였고, 1989년에는 2,100기, 1991년에는 5,710기로 년 평균 110%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증가 추세는 여과포집진 기술이 다른 집진기술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산업체에서는 먼지배출 허용농도의 강화 대응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방지 측면과 인간의 호흡기에 유입되어 폐에 침착되는 미세한 입자까지 포집,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지제거 설비에는 고효율 집진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선진국에서 고효율 집진기술로 판명되고 있는 여과포집진기술에 대해 먼지포집 특성과 장치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고 최근에 산업체 및 발전소에 적용하고 있는 여과포집진기술의 운전현황을 고찰하여 미래에 한국형 종합배가스 처리용 여과포집진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s of Pulse Energiza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he Removal of High Resistivity Dust (고비저항 먼지 처리를 위한 펄스형 전기 집진기의 적용)

  • 정재우;이용환;조무현;오종석;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9-150
    • /
    • 2001
  •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오염물질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가시공해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인관 주민의 민원을 유발시키는 등 주요 지역현안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전기집진기, 여과집진기, 사이클론, 습식집진기를 들 수 있으며, 대규모 산업공정에서는 정전기적 힘에 의해 집진하는 전기집진기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기집진기는 비교적 높은 효율의 집진 성능을 보장하나 전력소모량이 비교적 많으며 미세먼지, 특히 고비저항을 가진 먼지의 제거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Removal of HCl Using a Bag-Filter with Addition of Bicarbonate (중탄산나트륨이 첨가된 여과집진기를 이용한 염화수소의 제거)

  • Lee, Keon-Joo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5 no.3
    • /
    • pp.121-12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Cl in dry reactor and Bag-Filter system. The bicarbonate was used as adsorbent to measure the HCl removal rate. The performance of bicarbonate was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It was analysed that the best operation condition in using bicarbonate in process. The operating parameters was residence time, stoichiometric ratio,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Residence time was 1.5 sec, stoichiometric ratio was 1SR, 1.25SR, temperature was $160^{\circ}C$, $180^{\circ}C$, $200^{\circ}C$ and the bag filter pressure was 210mmAq, 230mmAq, 250mmAq.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oichiometric ratio and pressure can be effected in removal of HCl however the removal efficiency do not depends on temperature. The best operating condition was on 1SR, 230mmAq and $180^{\circ}C$ respectively and in this condition the best removal rate was 99.50%.

  • PDF

The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Coal Preparation Plant in a Coal Mine (석탄광산 선탄장에서의 발생 분진의 입도분포 특성)

  • Ok, Yun-Yong;Hur, Jun-Seok;Lee, Seung-Chul;Kim, So-Young;Chio, Kwang-S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63-266
    • /
    • 2009
  • 석탄광산의 선탄장(選炭場)에서 운용하는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석탄분진의 입도분포를 현장조사와 실내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는 광해(鑛害)로서 작용하는 석탄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A Dust Collector)의 설계에 필요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TB업체의 분진 입도분포는 $1{\mu}m$이하의 미세(微細)입자와 $100{\mu}m$이상의 조대(粗大)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미약한 반면, 특히 $5{\mu}m{\sim}80{\mu}m$ 사이에 분포되는 분진들이 89.2%로 나타나 발생분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중 원심집진기에 포집된 분진은 $70{\mu}m$이하에서 89.5%인 반면 여과집진기에서 포집된 분진의 90.0%가 $20{\mu}m$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SD업체의 분진 또한 $1{\mu}m$이하와 $100{\mu}m$이상 입자는 적은 분포를 보인 반면, $5{\mu}m{\sim}70{\mu}m$사이에 분포되는 분진들이 89.6%로 나타나 발생분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중 여과집진기에 포집된 분진의 입도는 $30{\mu}m$이하에서 96.2%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