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객선 화재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여객선 실물화재실험에 사용되는 표준 가연물에 대한 고찰

  • Han, Yong-Sik;Choe, Byeong-Il;Kim, Myeong-Bae;Kim, Ta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89-90
    • /
    • 2013
  • 본 연구는 여객선의 미분무소화설비의 성능평가에 사용되는 표준 가연물(fire source)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가연물로 매트리스, 매트리스를 감싸는 면 소재의 천 그리고 시험장 벽면을 구성하는 합판이 있다. 각각의 소재에 대해 선박 여객선 거주구역의 성능 기준이 요구하는 사양을 검토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가연물에 대해 성능시험을 통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여객선 안전귀항(SRtP)을 위한 시스템 평가에 대한 고찰

  • Na, Seong;Park, Jae-Hong;Heo, E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43-345
    • /
    • 2011
  • 대형 여객선은, "a ship is its own best lifeboat"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여객선의 안전성(survivability) 향상을 위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선박의 자체 추진력으로 안전하게 항구까지 귀항하여야 한다는, 여객선의 안전귀항(SRtP) 이라는 개념을 IMO SOLAS에 적용시켰다. SOLAS의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조항은, 길이 120m 이상인 선박 또는 3개 이상의 주 수직격벽을 가진 선박으로서 2010년 07월 01일 이후 건조되는 여객선에 적용된다.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조항은 화재와 침수사고에 적용되며, 사고분계점을 넘지 아니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체 추진력으로 여객선의 안전한 귀항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설계 기준, 사고분계점을 초과하는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질서 정연한 탈출 및 퇴선을 지원하기 위하여 작동상태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스템 설계 기준, 사고분계점에 대한 정의, 사고 발생 후에도 여객 및 승무원의 건강을 유지 확보하기 위한 안전구역에 대한 기준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법규들을 검토하고, 여객선 안전귀항을 위한 시스템들의 능력 평가 방법과 안전귀항 관련 조항 만족을 위한 시스템들의 요구사항들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in Case of Passenger Ship Fire (여객선 화재발생 시 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Byeol;Hwang, Kwang-Il;Jeong, Eun-Seok;Moon, Ser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7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according to the fire safety index in the fire safety module, which is one of the on-board remote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divided the zon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sensor for passenger ship which is one of the service passenger ships and developed on th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the identified zone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ater mist system in cabin on a passenger ship (여객선 선실 적용을 위한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실험적 연구)

  • Han, Yong-Shik;Choi, Byung-Il;Kim, Myung-Bae;Lee, Yu-Whan;Do, Kyu-Hyung;Kim,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85-388
    • /
    • 2012
  • 여객선의 선실(cabin)에 적용하기 위한 미분무 소화설비(water mist system)가 개발되었다. 미분무헤드는 8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조기반응 응답특성을 가진 폐쇄형으로, 사용압력과 유량계수(Flow constant)는 각각 1.4MPa과 13.1이다. IMO(국제 해사기구)의 거주구역 소화시스템 성능기준인 Resolution MSC.265(2008)는 선실 적용을 위해 4개의 화재시나리오에 대한 성능판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화재시나리오를 적용한 실물화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기준에서 제시한 성능 판정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다. 2011년 국가화재안전 기준 NFSC 104A 기준 정립으로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미분무소화설비가 적용분야를 넓혀 가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PDF

A Case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of Passenger ship (여객선의 화재방지대책을 위한 사례연구)

  • Cho, Dae Hwan;Park, Chan Su;Choi, Joo Yeol;Ko, Ja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6a
    • /
    • pp.271-272
    • /
    • 2012
  • It is expected that passenger ship will be large-scale and luxurious according to the needs of modern function. A passenger short of information on the ship, so that they may be injured at the occurrence of fire acciden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 case related to fire accident and presented basic data ship to minimize damages and loss at the occurrence of fire accident.

  • PDF

Formal Fire Safety Assessment on Passenger Ships: Application of Cost-Benefit Analysis and Decision-Making Approach (여객선의 공식 화재안전 평가: 비용-이득 및 의사결정 평가)

  • Kim, Soo 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 /
    • v.13 no.2
    • /
    • pp.21-29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formal safety assessment to the passenger ships. This is followed by an analysis of passenger ship characteristics and a proposed formal safety assessment methodology. Five interlocking steps are described to construct a safety model including novel risk assessment, cost-benefit analysis and decision-making approaches. A case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ology. Further development in formal safety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passenger ship safety is finally discussed in detail.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the Water mist nozzle for Accommodation of Cruise ships (특수선 및 크루즈선 거주구역용 미분무수 노즐의 화재진압성능평가 - 공공장소 화재시험 -)

  • Kwark, Ji-Hyun;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1-146
    • /
    • 2010
  • 특수선(FPSO, Drillship)의 거주구역이나, 대형 여객선(크루즈선) 공간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수용시설(accommodation) 즉, 객실, 라운지, 공공장소, 창고 등은 24시간 사람이 상주하는 구역임으로 화재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SOLAS II-2 Reg. 10.6과 FSS code Ch. 8에 적합한 미분무수 소화설비를 설치할 것을 강제화하고 있다. 이러한 미분무수 소화설비는 미분무수 노즐, 압력용기, 섹션밸브, 펌프유닛 등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핵심부품인 미분무수 노즐은 IMO Res. MSC 265(84)에 따라 노즐성능시험 및 화재진압성능시험을 통해 형식승인을 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기준에 만족하는 미분무수 노즐을 개발하고자 선실 및 복도에 대한 화재시험에 이어 공공장소 화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두 가지 천장 높이에 대한 화재진압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ater mist nozzles for the Cabin balcony (선실 발코니용 미분무 노즐의 개발을 위한 성능평가 연구)

  • Kwark, Ji-Hyun;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14-218
    • /
    • 2011
  • 대형 여객선(크루즈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거주시설(accommodation), 즉 선실은 24시간 사람이 상주하는 구역임으로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특히 선실의 발코니에서 화재발생 시 이를 통해 인근의 객실로 화재가 급격히 확대되므로 국제해사기구 (IMO)에서는 기준에 적합한 미분무수 소화설비를 설치할 것을 강제화하고 있다. 이러한 미분무 노즐은 IMO MSC/Circ. 1268에 따라 소화성능시험을 통해 형식승인을 득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이러한 기준에 만족하는 미분무 노즐을 개발하고자 선실 발코니에 대한 화재시험을 수행하여 두 가지 노즐 형태에 대한 소화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연안 여객선용 CBT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안전 여객 대피 요소 검토

  • Jang, Eun-Gyu;Kim, Gi-Seon;Jo, Jang-Won;Gang, Seok-Yong;Lee, Won-Ju;Choe, Seung-Hui;Kim, Jeong-Ho;Bae,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7-247
    • /
    • 2017
  • 연안선은 국제항해 선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은 높으나 이에 대응할 훈련기반이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선의 화재 및 퇴선상황에서의 승무원의 행동특성을 모델링하고 연안선 환경과 특성에 맞는 CBT용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비상시 연안선 승무원의 사고대응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특히 이를 위해 연안 여객선에서 여객 대피를 위해 필요한 요소를 검토하여 개선점을 파악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