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가스포츠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3초

상급 스키어의 스포츠 재미가 여가 정체성 및 스키참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vanced Level Skier's Sport Enjoyment on Leisure Identity and Ski Participation)

  • 김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99-40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 스키어의 스포츠 재미가 여가 정체성 및 스키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으로 256명의 상급 스키어 사례를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연구가설의 검증에 활용 되었다. 통계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정체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참가정도에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여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스키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상급 스키어를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스트레스 및 행복의 관계 (Relationship of Leisure Activities' Type, Stress and Happiness among the Student of Middle School)

  • 김경식;송강영;장미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9-240
    • /
    • 2013
  •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여가활동과 스트레스 및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833명의 중학생을 표집 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WIN 18.0을 활용하여 F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다. 즉, 부모스트레스는 취미 오락활동에서 높고 스포츠 문화관광활동에서 낮다. 성적 학업스트레스는 사회활동에서 높고 스포츠 문화관광활동에서 낮다. 외모스트레스는 휴식활동에서 높고 스포츠 문화관광 활동에서 낮다. 둘째, 여가활동유형에 따라 행복은 차이가 없다.

  • PDF

스포츠시설의 공기조화

  • 이철구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5호
    • /
    • pp.9-13
    • /
    • 2001
  • 개인의 건강 증진 및 스포츠 관람을 통한 여가 선용이 늘어나는 최근의 경향에 따라 스포츠시설이 증가사고 있다. 보고에서는 스포츠시설의 공기조화설비를 설계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한다.

  • PDF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 역할 재고를 위한 고찰 (A Study on Martial art for suggesting the role of Martial art Sports as a Leisure Activity)

  • 임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64-570
    • /
    • 2020
  • 본 연구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가관련 학술지의 키워드, 주제 등을 추출하여 국내 학술지의 무도관련 연도별 논문과 현황을 SPSS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였으며, 2016 국민생활체육 실태조사 보고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부터 2017년 사이의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와 '여가'를 키워드로 수집하였으며, 개별 연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텍스트 분석(interpretative textual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6 국민생활체육 참여실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생활체육 중 강습경험이 있는 종목 중 태권도가 6.1%로 상위 5개 종목 중 5위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교외 체육활동 참여 종목과 향후 가입하고 싶은 동호회 역시 태권도와 검도가 각각 1순위와 2순위로 확인되어 이미 무도스포츠는 생활스포츠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관련 연구는 2006년과 2010년 각 3편씩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나 2014년 이후에는 단 한편의 연구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절대적인 연구 편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연구 주제는 진지한 여가, 여자 대학생, 신체적 자기개념, 사회성 발달, 여가레크리에이션 수업, 직무만족, 생활만족, 수련, 여가제약 등으로 여가와 관련된 무도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학술지의 연도별 무도관련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 23편의 연구 중 2편이 여가를 주제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무도관련 연구와 여가관련 논문 수의 평균은 5.65%로 그 비율이 매우 낮다. 결론적으로 무도스포츠로서의 여가를 주제로 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개선을 통한 미래사회에서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재고할 수 있는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웨어에 표현된 니트디자인의 미적 특성

  • 하승연;이연희;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 /
    • pp.86-88
    • /
    • 2004
  • 스포츠웨어는 현대사회의 건강과 여가에 대한 관심으로 단순한 운동복의 수준을 넘어 우리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점차 정착되고 발전되었다. 특히 현대 패션은 다기능성이 부각된 의류의 수요가 증가되고, 스포츠웨어와 캐주얼웨어의 혼합, 스포츠웨어의 디테일이나 이미지를 도입한 일상복의 확대 등으로 스포츠패션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한은주, 2002). 스포츠웨어의 개념은 미국에서 출발하여 발전되어왔다.(중략)

  • PDF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심리적 행복감 예측요인 - 사회인 야구를 중심으로 - (Predicto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in Leisure Sports Participant - Focusing on Amateur Baseball Clubs -)

  • 서해주;김자옥;김자숙;김학선;박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09-420
    • /
    • 2018
  •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참여자(사회인 야구)의 심리적 행복감의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도 여가스포츠(사회인 야구) 참여자 15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 공선성 진단 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스포츠 참여자(사회인 야구)의 심리적 행복감의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는 대인관계능력(${\beta}=.190$)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하여 46.9%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삶의 질, 자기효능감 3개의 설명변수가 심리적 행복감(Adj. $R^2=.541$, F=59.57, p<.001)에 대한 설명력은 54.1%였다. 이상의 결과로 심리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향후 객관화된 측정을 통한 심리적 행복감 예측요인 영향력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과 몰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un Factor and Immersion of marine Sports on Leisure Satisfaction)

  • 장재용;권오륜;강신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111
    • /
    • 2013
  •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과 몰입 그리고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경남지역376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1)참가기간, 시간, 빈도에 따른 재미요인에서 효율성, 운동효과, 자기만족, 가족의 지원 요인에서 참가기간, 시간,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참가기간, 빈도에 따른 몰입도의 인지, 행위 요인에서 참가기간, 빈도, 시간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참가기간, 빈도, 시간 따른 여가만족도의 사회적, 신체적, 정서적, 교육적 만족 요인에서 참가기간, 빈도, 시간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의 자기만족, 운동효과, 효율성, 가족의 지원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5)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의 운동효과, 자기만족, 가족의 지원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6)해양스포츠 참가자의 몰입도의 인지 몰입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여가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amily Leisure Activity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정주;고의석;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90-269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여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의 차이, 둘째,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수준의 차이, 셋째,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M여자중학교와 대전의 K남자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였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으로 총 587명을 선정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57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적 기법으로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의 성별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년과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가 여부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가족스포츠 여가활동은 유용한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e스포츠 전문화 수준이 플로우(Flow)와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 LOL을 중심으로- (Impacts of e-Sports Specialization on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 The case of League of Legends-)

  • 김주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1-72
    • /
    • 2019
  • 본 연구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집중되어 있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을 e스포츠에 적용한 점과 e스포츠 흥행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종목인 리그오브레전드를 중심으로 현재의 e스포츠 소비자의 여가 특성에 대한 차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목에 적용함으로써 연구를 확대하여 일반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e스포츠 여가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the Korean: Utilizing Data of National Statistics)

  • 김경식;이루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4-433
    • /
    • 201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실시한 국민여가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사례수는 3,051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 및 행복은 차이가 있다. 즉, 여가만족은 70대이상,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고, 행복은 30대,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다. 둘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활동 빈도와 비용이 많을수록 여가만족은 높은 반면, 여가활동 시간이 많이 소요될수록 여가만족은 감소한다. 셋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수록 행복은 높은 반면, 빈도가 많을수록 행복은 낮아진다. 넷째, 한국인의 여가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행복 또한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