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엔드캡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 제작장비 개발 (Development of Fiber-end-cap Fabrication Equipment)

  • 이성헌;황순휘;김태균;양환석;윤영갑;김선주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9-5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의 핵심 부품인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을 제작하는 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제작장비를 이용하여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을 제작하였다.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 제작장비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접속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CO2 레이저 광원부, 대구경 광섬유와 엔드캡의 위치를 이송하기 위한 정밀 스테이지 조립체, 스테이지 조립체와 연동되어 융착 시 정렬에 사용되는 비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광원의 출력은 스테이지 조립체와 연동되어 출력을 제어하며, 비전 시스템으로 대구경 편광유지 광섬유의 편광축을 정렬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자체 제작한 장비를 이용하여 클래드 직경이 400 ㎛인 대구경 편광유지 광섬유와 10(W)×5(D)×2(H) ㎣의 엔드캡을 레이저 융착하여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대구경 광섬유 엔드캡의 신호광 삽입손실, 소광률 및 빔품질(M2)은 각각 0.6%, 16.7 dB, M2x=1.21, M2y=1.22로 측정되었다.

무선계측기를 이용한 회전자팬 및 엔드링에서의 대류 열전달 (Convective heat transfer on the rotor fan and endring of the TEFC induction motor with telemetry system)

  • 윤명근;하경표;고상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4호
    • /
    • pp.510-519
    • /
    • 1998
  • Recently, computer modelling is increasingly used as a design tool, which requires more detailed data for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 various regions of the induction motor. But there are little information about those of rotor fan and endring because of difficulty in measuring signals in rotating bodies. In the present studies, the temperature signals were precisely measured with self-developed telemetry system, which had multi-channels and high rotational speed. After some losses were compensate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the rotor endring and fan surfaces were measured. Minimum heat transfer region was existed with endcap plate distance and maximum heat transfer was found at some rotor fan width. It was also studied that how the guide plate and endcap inside rib effected on the rotor heat transfer. The higher heat transfer were obtained with decreasing guide plate distance, increasing the number and height of endcap inside rib. The correlation equations of the results we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others. Above results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oling design of the various kind of motors.

풍차형 초음파 전동기의 고정자 슬롯이 토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tor`s Slot on the Torque in the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

  • 김영균;김진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326
    • /
    • 1999
  • In this paper, a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 operated by single-Phase AC electric field was fabricated, and then torqu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metal-ceramic composite component was used as the stator\`s vibrator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The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s has only three components; a stator element with two wind-mill shape slotted metal endcaps, a rotor and a bearing. In this parer we measured torque, when stator\`s slot was changed Iron 4, 6, 8. Brass metal was pressed with umbrella-type using metal molt then slot of 3 kind was manufactured. The maximum revolution speed was 388(rpm) in the case of a small ultrasonic motor of 11.35 mm diameter, 8 slot and 1.01 mm thickness. The maximum torque of 0.17 mNm was obtained at a speed of 131 rpm.

  • PDF

500W급 광섬유 레이저 출력 전송 모듈 End Cap의 구조 및 열전달 해석 (A Study on the Structural and Heat Transfer Analysis of the 500W-Class Optical Fiber Laser Output Transmission End Cap Module)

  • 고가진;김재열;허상휴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5-139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optical fiber laser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ial fields due to its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and its suitability for industrial applications. This usage has increased even further since the KW class Laser was developed. In this paper, structural analysis and heat transfer analysis of a 500W class optical fiber laser end cap module was performed. The stability of end cap housing with the efficient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a 500W-class end cap was evaluated. This research determined the optimal design that sh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future KW class laser output modules.

풍차형 초음파 전동기의 회전자에 인가된 힘이 회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sing Force Applied to a Rotor on Revolution Characteristics in the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

  • 김영균;김진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90-395
    • /
    • 2000
  • The ultrasonic motor have recently begun to be used for certain unique practical utilizations in the fields of industrial medical consumer and automotive applications. Ultrasonic motor stimulated to ultrasonic oscillations by piezoelectrics to drive a rotor via friction contact. The metal and ceramic composite component was used as the stator element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The ultrasonic motor used here was the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 operated by single-phase AC source. The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s has only three components; a stator element of two windmill shape slotted metal endcaps a rotor and a bearing. In this paper a prototype motor with 11.35 mm diameter was fabricated then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a rotor and the rotation characteristic of windmill type ultrasonic motor are investigated when stator’s slots was changed from 4, 6, 8 and thickness changed from 0.15, 0.20 mm, respectively. Optimum pressing force applied to a rotor in the six stators was 1.2 mN.

  • PDF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및 다중 빔 정렬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ulti-channel Fiber Laser and Beam Alignment Method)

  • 김영찬;류대건;노영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45-251
    • /
    • 2022
  • 타일형 결맞음 빔결합 연구를 위하여 시드 공유형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및 출력단, 다중 빔 정렬 기술을 개발하였다. 광섬유 레이저는 7개의 채널을 갖고, 각각의 채널당 출력 10 W 이상으로 시드, 전치 증폭기, 광 분배기, 주 증폭기로 구성된 master oscillator power amplifier 구조이다. 레이저 빔 시준 및 정렬을 위하여 틸팅 기능이 가능한 출력단을 개발하였다. 출력단은 채움값을 높이기 위하여 원통형 구조로 제작하였으며, 광섬유 엔드캡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였고, 출력단 내부에 PZT를 장착하여 틸팅 기능을 구현하였다. 다중 채널 레이저의 각 채널 빔을 표적의 한 점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stochastic parallel gradient decent (SPGD)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SPGD 알고리즘을 이용한 PZT 제어를 통해 다중 빔 정렬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다중 빔 정렬 기술을 이용한 결맞음 빔결합 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프링 데이터 JPA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Enterprise System Platform based on Spring Data JPA in Spring Framework Environment)

  • 유정상;이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9-46
    • /
    • 2019
  •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표준화 경쟁은 백엔드의 데이터 티어로 시작하여 대표적인 엔터프라이즈 미들 티어가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받아들여짐으로써 표준화로 안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점차 빠른 주기로 새로운 디바이스의 출현으로 웹과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호환성 확보가 웹 서비스 기업들의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정보화 시대의 격변한 환경 변화에 적절한 역량있는 기술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중심 대학들의 교육과정에서도 새로운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플랫폼 환경에서 필요한 역량중심의 기술을 습득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스프링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프링 데이터 JPA를 활용한 시스템을 분석 및 설계 단계별로 문서화 작성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향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풀 스택 역량중심의 교육과정 및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의 참조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