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 아세테이트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7초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침윤 억제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invasive of PM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Saururus Chinensis)

  • 김준호;김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4-591
    • /
    • 2016
  • 삼백초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들은 삼백초 물 추출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및 물(water)과 같은 용매로 분획화하여 사용하였고, 물 분획물의 수득율이 9.25%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S assay, 항염증 활성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NO 생성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 억제는 인간구강편평세포암종 YD-10B 세포에서 RT-PCR과 zymography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MMP-2/-9 활성은 PMA에 의해 YD-10B세포에서 증가하였다. PMA 처리된 YD-10B 세포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증가된 MMP-2/-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도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73.38%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Raw 264.7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의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구강암의 암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TMT 유도성 인지 기능 상실에 대한 대보(밤 품종) 내피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Daebo (Castanea crenata) Inner Skin Extract on TMT-induced Learning and Memory Injury)

  • 김현주;정지희;조유나;진동은;진수일;김만조;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61-6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 밤 품종인 대보(Daebo)의 내피를 활용하여 TMT 유도성 인지 기능 상실에 대한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에서 각 농도별(5, 10, 20 mg/kg of body weight)로 대보 내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섭취한 mouse를 TMT로 인지기능 손상을 유발하여 Y-maze test와 passive avoidance test한 결과, Y-maze test에서 분획물을 섭취한 group이 TMT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였을 때 공간 인지기능을 개선시켰고, passive avoidance test 또한 latency time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TMT에 의해 유발되는 뇌 신경독성 동물 모델로부터 기억 및 학습능력 개선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n vivo 동물 실험 후 mouse로부터 적출된 whole brain tissue를 대상으로 ex vivo AChE 활성 및 MDA 함량측정 실험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MT효과 대비 AChE의 활성을 일부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보 내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신경전달물질인 AChE의 활성을 저해하고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통하여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두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K1과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배양물질의 Bt 병원성 제고 효과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K1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Secrete Factors Enhancing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서삼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85-392
    • /
    • 2009
  • Xenorhabdus nematophila (Xn)와 Photorhabdus tempeerata subsp. temperata (Ptt)의 곤충병원세균을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혈강에 주입할 경우 높은 병원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들 세균 배양액의 섭식 처리에 따른 배추좀나방에 대한 병원성 유기를 조사하였다. 세균 배양액만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 3령충에 섭식 처리한 결과 뚜렷한 병원성을 유발하지 못하였으나, Bacillus thurigiensis(Bt) 와 혼합 처리하였을 때 높은 Bt 병원성 제고 효과를 나타냈다. 물질 추적을 위해서 이 세균 배양액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액 추출 분획구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이 Bt 상승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구에서 나타났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 결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구가 대사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이 헥산 또는 수용액 추출 분획구에 포함된 물질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곤충병원세균이 Bt 병원성을 제고시키는 물질을 생산하고 배양액으로 분비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유래 항산화 활성 성분의 동정 및 효능 확인 (Iso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Ficus erecta var. sieboldii King Leaves)

  • 박성환;김정은;염현숙;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1-3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및 극성별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VLC),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은 1H 및 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치 비교를 통하여 총 5개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monoolein (1), oleic acid (2), lutein (3), afzelechin (4), catechin (5)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좁은잎천선과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 afzelechin (4) 및 catechin (5)에서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catechin (5)의 경우 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좁은잎천선과 잎에서 분리된 catechin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추출물에서 3.8 mg/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0.8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좁은잎천선과 잎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부위별 새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향균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

  • 김현정;안명수;김금희;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9-804
    • /
    • 2006
  • 새송이버섯의 전체, 갓, 대 3부분으로 구분하여 일반성분과 총 폴리페놀함량을 측정하고 분획별 추출물의 수율 측정,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갓, 전체, 대의 순이었고 용매별로는 전체와 갓에서는 부탄올,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높았다. 반면 대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0.02% tocopherol, 0.02% BHT와 비교하여 전체와 갓의 물 추출물과 갓의 에탄올 추출물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부탄올, 물 추출물에서 활성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갓의 부탄올, 물,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0.02% tocopherol 및 BHT 보다 낮았다. 전반적으로 대보다는 갓 부위의 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 측정에서 그램 양성균에서는 미비하였지만 그램 음성균 특히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추출물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내어 새송이버섯이 높은 항산화 및 항균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공 식품에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 보존제 같은 첨가제로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천연 첨가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높은 생리활성을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개발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영여자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 안선미;장한수;권인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6-272
    • /
    • 2009
  • 영여자는 마의 주아를 말하며, 년간 생마 생산량 5,000 톤의 절반인 2,500 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영여자는 다음해 마의 종자로 일부 이용될 뿐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가능성을 검토하고 생마에서 보고된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영여자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영여자 메탄올 추출물은 마의 그것과 유사하게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총 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2배, 3.4배 높았다. 항균 활성의 경우,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마와 유사하였으나, 부가적으로 S. aureus에 강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어 마와 차별되었다. 항혈전 활성의 경우, 헥센 분획물이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어 4.8 mg/mL 농도에서 300초 이상, 2.4 mg/mL 농도에서 67초의 트롬빈 타임을 나타내어 마의 경우와 비교할 때 4배 이상의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매우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38.1{\mu}g/mL$), SOD 유사활성(vitamin C의 36%) 및 환원력(BHT의 59.4%)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영여자가 마의 지하괴근이 가진 항세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과 거의 동등한, 또는 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소사나무 잎 추출물 유래 멜라닌합성 저해 활성 성분 (Anti-melanogenesis Ac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Carpinus turczaninowii Leaves)

  • 강지미;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17
  •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C. turczaninowii) 잎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100{\mu}g/mL$)에서 72.2%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동일 농도에서 MTT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분획물(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제조한 후 실험을 진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이 관찰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크로마토그라피를 진행하였으며, 4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ethyl gallate (1), quercetin rhamnose (2), kaempferol rhamnose (3), quercetin galloylrhamnose (4). 화합물의 구조규명은 핵자기공명분광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4개의 화합물 모두 소사나무 잎에서는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화합물 4에서 세포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인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 4는 세포 내에서 티로시나제 발현양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ELISA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사나무 잎 추출물이 화장품에서 미백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수박 덩굴 추출물 유래 미백 및 항염 활성 성분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Vines)

  • 전아림;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박 덩굴(잎 및 줄기)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 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수박 덩굴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활성측정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치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alpha}-linolenic$ acid (1), sigmast-7-en-O-${\beta}$-D-glucopyranoside (2), 1-feruloyl-${\beta}$-D-glucopyranoside (3).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미백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과 3에서 멜라닌 생성 및 세포 내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과 3이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박 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미백 및 항염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삼지구엽초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면역관련 활성 (Immunologic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 박명수;김서진;왕준;김광희;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식품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를 극성에 따라 용매별 분획 추출물들의 면역관련 활성을 검토하였다. 삼지구엽초 분획물별 생육촉진 활성은 B와 T cell 모두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분획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도 증가하였다.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각 용매별 분획물들도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변이원 B(${\alpha}$)P에서는 TA98 균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98%,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직접변이원 4NQO에서는 TA98 균주와 TA100 균주에서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가 7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A98 균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80%,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9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llium hookeri)

  • 이용범;함영민;윤선아;오대주;송상목;홍인철;이시택;현호봉;김창숙;윤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5
    • /
    • 2017
  • 본 연구는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가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 검색 결과 디클로로메탄($CH_2Cl_2$)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는 DPPH 활성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제일 뛰어났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uperoxide 소거 활성은 헥산(n-hexane) 분획물에서 활성이 나타났다. RAW 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로 자극을 주고 삼채 주정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조추출물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염증유발 인자(NO, $PGE_2$, iNOS, COX-2, IL-6 및 $IL-1{\beta}$)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삼채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염증 유발 인자의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삼채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산화,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