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스트로젠 수용체 $\alph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17 $\alpha$-ethinylestradiol 과 nonylphenol에 노출된 송사리에서 vitellogenin 및 estrogen receptor의 발현

  • 이철우;박응로;류지성;남규찬;남성숙;구자민;전성환;나진균;최덕일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2-132
    • /
    • 2001
  • Vitellogenin은 난황단백질의 전구체로서 생체내 발현은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가 반응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의 경우 간에서의 vitellogenin의 합성 및 분비는 성숙된 암컷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나, 과거 여러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컷이나 미성숙한 암컷에서도 에스트로젠성 물질에 의해 합성이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컷 또는 치어 plasma에서 vitellogenin의 측정은 외인성에스트로젠에 대한 노출을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중략)

  • PDF

생후 발달과정동안 남성 생식기의 Efferent Ductules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Basigin의 발현 양상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 발현 조절 연구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Basigin and Estrogen Receptor α(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이기호;최인호;정정수;장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09-3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인 efferent ductules(ED)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isoform과 Basigin(Bsg)의 mRNA 발현을 탐구하고, MCT1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생후 여러 연령대의 백서 ED에서 MCT isoform과 Bsg의 mRNA 발현 여부는 real-time PCR에 의해 조사 되었고, 정상 생쥐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knockout 생쥐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의 발현 조절 여부는 immunohistochemistry 방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아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백서의 ED에서 MCT1, 2, 3, 4와 8 그리고 Bsg 유전자의 발현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MCT1의 발현이 ED의 ciliated 세포의 basolateral 지역에서 발현되고 어떤 측면에서 ERα에 의해 조절되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MCT가 monocarboxylate의 세포 내, 외부로 운반을 조절함으로써 남성 생식기의 일부인 ED의 역할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을 시사한다.

한국인 본태성 고혈압군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alpha$(유전자에 존재하는 다형성의 분포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s of Three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Estrogen $Receptor-\alpha$ Gene in Korean Essential Hypertensives)

  • 김지영;강병용;이강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3호
    • /
    • pp.249-258
    • /
    • 2005
  • Blood pressure,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are multifactorial traits influenced by genetic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ree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estrogen receptor-$\alpha$ (ER -$\alpha$) gene and essential hypertension in korean population. One hundred and seventy-one people including 90 normotensives and 81 essential hypertentives were recruited. Among genetic polymorphisms studied, the Xba I RFLP in the intron 1 of this gene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ssential hypertension in women, suggesting the sexual dimorphism in genetic effect (P (<) 0.05). Further studied suggest that a larger sample size of this study are needed.

에스트로젠 수용체알파에 의한 Hypoxia Inducible Factor-1의 전사 활성조절 (Activation of Hypoxia Inducible Factor-1 Alpha by Estrogen Receptor Alpha)

  • 유광희;이영주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2-105
    • /
    • 2010
  • Our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hypoxia inducible factor-1 (HIF-1) activated estrogen receptor (ER) in the absence of ligand. In this study, we have studied the effect ER overexpression on the activation of HIF-1. ER overexpression induced transcription activation of hypoxia response element driven luciferase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s a negative control, the effect of ER on androgen receptor response element was used. Our result indicate that the two ER$\alpha$ and HIF-1 signaling pathways shares part of the activation pathway.

MCF-7 유방암세포에 있어서 growth factor에 의해 유도된 막 단백질의 인산화에 대한 폴리아민의 조절 (Polyamines Modulate Growth factor-Induced Membrane Protein Phosphorylation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 이지영;김지현;이경희;김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4-172
    • /
    • 2002
  • 유방암세포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수용체를 가지며, 이를 통해 성장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용체들의 신호전달 경로에 있는 공통적인 2차전달자들의 조절기작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MCF-7 cell에 있어서, 에스트로젠과 TGF-$\alpha$ , EGF와 같은 성장인자의 mitogenic signal을 전달하는 second messenger에 폴리아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에 폴리아민이 어떤 조절기작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폴리아민 생합성 억제제인 DFMO는 154, 134, 116, 104 kDa의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DFMO에 의해 억제된 단백질 인산화는 폴리아민 첨가로 다시 회복 되었다. $E_2$, TGF-$\alpha$, EGF, DFMO는 모두 단백질의 타이로신 인산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처리해준 폴리아민에 의해 154, 134, 116 kDa의 단백질의 타이로신 인산화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E_2$, TGF-$\alpha$, EGF는 모두 같은 단백질에서 유사하게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E_2$와 TGF-$\alpha$, EGF와 같은 성장촉진인자의 signaling pathway는 154, 134, 116, 104 kDa 단백질을 기질로 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protein kinase를 통해서 서로 cross-talk하고 있으며, 폴리아민은 154, 134, 116, 104 kDa와 같은 여러 가지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를 조절함으로서 이러한 cross-talk pathway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