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감축기술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s for the $CO_2$ separation and recovery technologies ($CO_2$ 분리회수 기술 동향 분석)

  • 우광제;황재동;정석용;문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3-154
    • /
    • 2001
  •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대량의 $CO_2$ 감축을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온실가스 저감기술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에너지 생산/사용에 대한 효율 향상 기술과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근본적으로 억제 혹은 발생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에너지에 대한 기술 중에는 에너지절약기술과 저탄소 에너지 사용(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천연가스)을 위한 대체에너지 및 청정에너지기술이 있으며, 발생된 온실가스 처리에 대한 분리회수 기술로는 흡착법, 흡수법, 막분리법, 막흡수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중략)

  • PDF

Special Column - 공공건물 에너지절감 노력으로 미래성장동력 키운다

  • Jo, Hang-M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2
    • /
    • pp.28-33
    • /
    • 2010
  • 국가에너지 총 사용량의 건물에 대한 에너지 부문은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는 약 58%가 건물 에너지 소비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서울시는 '친환경 건축기준'을 발표하고 조례 시행 중에 있다. 공공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은 어떤 효력을 가지고 있을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공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국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면서 미래성장동력인 녹색 성장을 활성화하는데 밑바탕 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내 공공건물 에너지 정책과 해외 공공건물의 에너지 정책 사례를 살펴보고, 나아가 에너지절감 기술의 적용 방안을 소개한다.

  • PDF

국제해사기구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연구

  • Ha, Sin-Yeong;Park, Han-Seo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39-140
    • /
    • 2019
  • 세계경제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2020년을 기점으로 저탄소 경제체제에서 무탄소(에미션 제로·Emission Zero) 경제체제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는 해운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해사기구에서 선박온실가스 규제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 규정이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6의 제4장(에너지 효율관리)으로 2011년 개정·채택된 것을 시작으로 최근 2030년까지 40%감축, 2050년까지 50% 감축이라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여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IMO는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기조치, 중·장기 조치를 2023년까지 완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장애요인 분석, 국가별 영향평가, 역량강화 및 기술지원과 연구개발에 관한 로드맵을 포함한 최종 전략 수립을 진행하고 있으나 문제는 국제해사기구(IMO)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박추진 연료로써 수소, 연료전지, 메탄올 등 대체에너지 개발을 대폭 지원하는 국가의 정책전환이 시급하며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시급하다.

  • PDF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Brief Review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Utilization Technology (CCU 기술 국내외 연구동향)

  • Kim, Hak Min;Nah, In Woo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7 no.5
    • /
    • pp.589-595
    • /
    • 2019
  • The policies and researche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s gases have been performed according to"Paris Agreement". Because South Korea is the $6^{th}$ biggest greenhouses gas emitter in the world, the Korea government has prepared th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The development of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technology is necessary to reduce greenhouse gases. Therefore, the CCUS has been studied by many contries in the world. In this work, the trends of CCUS technologies R&D has been shortly investigated.

Abatement Potentials of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for the Achievement of National INDC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발전기술별 온실가스저감 잠재량 평가)

  • Baek, Minho;Roh, Minyoung;Yurnaidi, Zulfikar;Kim, Sudu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5 no.4
    • /
    • pp.565-590
    • /
    • 2016
  •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n government submitted its 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of 25.7% for domestic reduction and the total of 37% reduction by 2030 including the purchase of emission reduction permit from abroad. In this study, 25.7% reduction target is being evaluated to see its impact on domestic energy system using the integrated assessment model, GCAM (Global Change Assessment Model). Results show that electricity generation from fossil fuel technologies using coal and gas decrease by 28.0%, 13.5% while that of biomass, wind power, solar energy increase by 47.6%, 22.0% and 45.4%, respectively. It is worth noting that so called new technology such as USC (ultra supercritical power generation) does not contribute to achieving the emission reduction target and careful and quantitative analysis is required for such categorization in the future.

기술현황분석 - 고효율 열펌프 건조기 기술

  • Lee, Gong-Hun
    • 기계와재료
    • /
    • v.23 no.3
    • /
    • pp.126-136
    • /
    • 2011
  • 지구 온난화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감축은 세계적인 관심사이며 모든 산업 분야의 1차 목표가 되고 있다. IEA는 시스템의 고효율화 기술이 2035년까지 목표 감축량의 50%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 판단하고 있다. 건조기는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수기계이고 에너지 다소비 기기이므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열펌프 건조기는 건조기 중에서도 가장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산업 분야에 활용된다면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판단된다. 특히 산업의 많은 분야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고온용 열펌프 건조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 국내외에서 고온용 열펌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개발이 일부 진행되었으나 많은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기술을 성숙시키려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Green Technology in Relation to the Energy Performance Improvement of Existing Architectural Structures (기존건축물 에너지성능 개선시 효과적인 녹색기술 연구)

  • Kim, Dae-Won;Kim, Young-Il;Chung, Kwang-Seop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3
    • /
    • pp.272-279
    • /
    • 2012
  • The emission quota of 26.9% was allocated to the architectural sector according to the greenhouse gas(GHG) emission reduction goal of the government. It has become inevitable to change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a low-energy consumption and sustainable manner for new and existing hous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legal systems and deregulation have been attempted to promote the low carbon emission and sustainable energy conversion. Although overall emission reduction goal has been set for 6.7 million units of existing houses, there has been a lack of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the emission reduction measur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most economic and effective green technology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conditions through direct visit to the selected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the repeated simulation of relevant technical elements.

Comparing the Impacts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on the Macroeconomy with Electricity Market Rigidities: A Bayesian DSGE Model (전력시장의 경직성에 따른 국가 재생에너지 정책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베이지언 DSGE 모형 접근)

  • Choi, Bongseok;Kim, Ki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1 no.3
    • /
    • pp.367-391
    • /
    • 2022
  • We develop an energy-economy Bayesian DSGE model with the two sectors of electricity generations-traditional (fossil,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Under imperfect substitutability between the two sectors, a technological shock on renewable energy sectors does not sufficient to facilitate energy conversion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echnology innovation on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is also required. More importantly, sufficient investment should be derived by a well-functioning electricity market where electricity price plays a signal role in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Indeed, market rigidities cause reduced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