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억제-유도 치료

Search Result 56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Gomisin A Inhibit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through Suppression of Angiogenesis (Gomisin A의 신혈관형성 저해를 통한 종양 성장 및 전이 억제 효과)

  • Kim, Do-Yoon;Yu, Ho-Jin;Yoon, Mi-So;Park, Joo-Hoon;Jang, Sang-Hee;Lee, Hwan-My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9
    • /
    • pp.1224-1230
    • /
    • 2012
  • Cancer chemotherapy drugs command a large share of the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s with high efficacy and specificity is an active area of study. Recently, the development of cancer therapeutics from natural products targeting angiogenesis has drawn attention due to conventional chemotherapeutics showing serious side effects and resistance in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omisin A, an active ingredien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dministration of Gomisin A at 10 and 100 ${\mu}g/ml$ reduced tumor growth in vivo by $80.5{\pm}8.1%$ and $96.2{\pm}2%$, respectively, compared with positive tumor controls. Treatment of Gomisin A in normal and various tumor cell lines did not exert significant toxicity. Mice treated with Gomisin A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100 ${\mu}g$/hea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umor-induced angiogenesis of $151{\pm}16.9%$ and $98.5{\pm}29.5%$, respectively. Furthermore, tumor metastas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Gomisin A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100 ${\mu}g$/head inhibited tumor metastasis by $13.5{\pm}8.56%$ and $58.3{\pm}9.12%$, respectively. In addition, Gomisin 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adhesion of the B16BL6 cells to the extracellular matrix.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omisin A inhibits tumor growth via suppression of angiogenesis and tumor metastasis inhibition, without cellular toxicity.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omisin A suggests that it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drugs.

The protective effect of berberine on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monocytes (여드름균에 의해 염증 반응이 유도된 인간 단핵구 세포에서 알칼로이드 화합물 berberine의 항염증 효과)

  • Kim, Hyun Pyo;Yoon, Young Geo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1 no.2
    • /
    • pp.181-186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berberine using human monocytes. Infec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induc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8 and $IL-1{\beta}$ in THP-1 monocytic cells. However, when berberine was supplemented in these P. acnes-induced THP-1 cell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O was significantly reduced. We also analyzed signaling pathways of the antiinflammatory function of berberine and found that berberine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JNK and p38 and the express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 the P. acnes-induced cell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berberine can effectively exer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suppressing the $NF-{\kappa}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ignaling pathways in human monocytes. Moreover, these results suggest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natural therapeutics using berberine for the treatment of P. acnes-induced inflammatory diseases.

Snake Venom from Vipers Lebetina Turanica Inhibits Tumor in a PC-3 Cell Xenograft Model and PC-3 Cell Growth in Vitro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PC-3 세포성장 억제)

  • Kang, 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1-14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파(蛇毒藥鍼波)(Snake venom toxin, SVT)이 in vitro에서 $NF-{\kappa}B$의 활성억제와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Apoptosis evaluation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Apoptosis regulatory proteins의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시행하였으며,SVT의 핵내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전립선 암세포의 성장,Apoptosis의 유발,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NF-{\kappa}B$의 활성,SVT의 PC-3세포 핵내 이동여부 및 흉선제거 후 PC-3 세포를 이식한 쥐의 종양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세포성장이 억제되고,세포자멸사가 유도되며,조절인자인 p53, caspase-3, -9는 증가되었고,Bcl-2는 감소되었다. 2.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DAPI로 염색된 상태에서 SVT가 PC-3 세포의 핵내로 이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흉선제거 후 전립선 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SVT를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이를 재확인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SVT의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ee Venom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Bee Venom이 세포자멸사를 통해 DU-145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Hur, Keun-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8 no.3
    • /
    • pp.111-119
    • /
    • 2011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ro-apoptotic proteins인 PARP,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anti-apoptotic proteins인 Bcl-2, p-AKT, XIAP, cIAP2는 유의한 감소를, MMP2, MMP13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전립선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Studies on Natural Products that Improve Browning (Browning 촉진에 관여하는 최근 천연물의 동향)

  • Lee, Eunbi;Nam, Ju-Oc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11
    • /
    • pp.1037-1045
    • /
    • 2021
  •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increasing worldwide, and since obesity is associated with dietary factors and sedentary lifestyles, it is a disease that is readily developing in the modern population. Because obesity is accompanied by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are important. Currently, drugs such as liraglutide and phentermine are used to treat obesity by suppressing appetite and inducing gastrointestinal motility delay. However, various side effects may occur, including thyroid cancer, cardiovascular problems, and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Therefore, to explore an obesity treatment method with relatively few side effects, a method known as "fat browning" was introduced to change white adipose tissue into brown adipose tissue to increase energy consumption. Ongoing studies are attempting to find effective natural substances to safely induce browning. Many natural substances have been identified. The induction of browning by treatment with natural substances generally involves three mechanisms: positive control of browning-inducing factors,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to white adipose tissue, and the activation of mechanisms related to browning. In this study, we describe plant extracts with known browning-inducing effects, such as strawberry, black raspberry, cinnamomum cassia, and Ecklonia stolonifera extracts. We also summariz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ction identified thus far, including the signaling pathway mediated by these extracts to induce browning. Furthermore, the effects of brown adipose tissue generated through browning on heart disease as an endocrine organ disruptor are discussed.

Effects of Taeumin, Soeumin and Soyangin Prescriptions on the Adipocyt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in the Rat (태(太)·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처방(處方)이 Gold thioglucose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비만병(肥滿病)에 미치는 효과(效果))

  • Kim, Kyung-Yo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295-317
    • /
    • 1996
  • It is research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aeumjowuitang(TE,太陰調胃湯), Sibimikwanjungtang(SE, 十二味寬中湯) and Yangkeogsanwhatang(SY,凉膈散火湯) on the obesity induced by gold thioglucose and the differentiation and growth of preadipocyte 3T3-L1 in the mou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E,SE and SY extracts improved the blood level of transaminase in the obese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2. TE,SE and SY extracts inhibited the increase of liver fat and body fat in the obese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3. TE,SE and SY extracts inhibite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in the obese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4. TE,SE and SY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undifferentiate preadipocyte 3T3-L1. 5. TE,SE and SY extract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TE,SE and SY extracts may be used on the obesity induced by the over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and the accumulation of fat in liver and body.

  • PDF

Anti-arthritic Effects of Buthus martensi Karsch Herbal Acupuncture, Inhibiting Interleukin-1-induced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Human Chondrocytes (전갈 약침액의 인체연골세포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interleukin-1 유도 유전형질 발현과 nitric oxide의 생산의 억제에 관한 연구)

  • Cho, Hyun-se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0 no.1
    • /
    • pp.104-119
    • /
    • 2003
  • 목적 : 면역억제 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전갈약침(BMK)의 IL-1으로 야기된 1차성 골관절염 인체 연골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골 기능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 골관절염 연골에서 채취된 인체 연골세포는 ID-1(2ng/ml)에 의해 처리되어졌으며, IL-1과 BMK($10{\mu}g/ml$)를 함께 처리한 연골세포와 비교하였다. 결과 : IL-1 단독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해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연골세포의 손실과 퇴화의 중요한 요소인 NO의 생산량이 의미있게 저하되었다. IL-1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보다 IL-1과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iNOS mRNA의 단백질 합성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사인자로서의 NF-B의 활성화가 IL-1 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하여 BMK가 함께 처리된 군에서 상대적으로 의미있게 억제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BMK가 인제 골관절염 연골에 있어서 NF-B 활성화에 의존한 IL-1 유도염증의 치료상에 효과적인 반응억제제임을 시사하며, 골 세포의 골 재흡수 활동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Inhibition of the Jun Aminoterminal Kinase by SP600125 Blocks PMA-Induced 92kDa Type IV Collagenase Secretion (PMA 유도 제4형 단백분해효소 분비를 차단하는 SP600125에 의한 Jun Aminoterminal Kinase의 억제)

  • Shin, Mi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2
    • /
    • pp.95-105
    • /
    • 2001
  • 제 4형 콜라젠을 분해하는 MMP-9은 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목받아 왔는데, 이전의 문헌들에서 PMA에 의해 이 유전자 발현이 강하게 상승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MMP-9 발현을 조절하는 PMA의 기전이 잘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유전자발현에서의 이 phorbol ester의 효과는 c-raf-1-ERK 신호전달통로의 활성에 관해 연구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저자는 MMP-9 발현에서 PMA의 상승효과에는 대개는 스트레스성 자극과 관련된 JNK1 의존성 신호전달과정이 또한 필요하다는 다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JNK 억제재중 하나인 SP 600125가 UM-SCC-1세포주에서 PMA에 의해 유도된 MMP-9 상승발현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2시간동안 전처치를 한 경우에 그의 억제효과가 최대이었다. phorbol ester로 처리한 세포에 GAL4 luciferase reporter와 vector를 주입해서 조사한 결과 PMA가 c-Jun transacting 활성을 상승시켰다. 그뿐 아니라 PMA에 의한 MMP-9 촉진자 활성에는 AP-1 motif가 필요하며 이 motif에 c-Jun이 결합하는 것을 EMSA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UM-SCC-1 세포주에서 PMA에 의한 MMP9의 증가된 발현은 이미 밝혀진 ERK 경로뿐 아니라 JNK 경로를 통한 결과임이 밝혀져 이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또하나의 암치료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VELVET ANTLER (녹용의 약리학적 성분)

  • 전길자
    • Korean Deer Journal
    • /
    • v.7 no.10 s.48
    • /
    • pp.60-64
    • /
    • 2002
  • 알려진 녹용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신의약품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녹용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인 조혈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하여 MADG임을 밝히었다. MADG는 조혈촉진기능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증식기능 그리고 비장세포성장을 촉진하는 등 면역활성 조절제로써의 기능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용에 존재하는 인지질 중에서 포화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phophatidylcholine도 면역활성을 촉진시키었다. 항진균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한 결과 lysophophatidylcholine임을 밝히었으며 그 유도체인 CHJ-ester가 숙주세포에는 해를 주지 않으면서 항진균작용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골다공증치료효과를 검색하기 위해 녹용 정제성분으로 연구한 결과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100$\%$ 저해함을 밝히므로 녹용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증면하였다. 녹용성분의 유도체인 SCOH가 파골세포분화를 억제함을 밝혀 현재 골다공증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1999년부터 녹용연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10여 개의 활성성분을 분석한 바 있다. 현재 조혈세포촉진작용, 면역증진작용, 골다공증치료작용, 대식세포 증식작용, 항진균작용, 항간질작용에 대한 성분 분석 및 그 약리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 PDF

Regulatory Effect of Ginsenosides Rh1 on Monocytic U937 Cell Adhesion (홍삼유래 ginsenosides Rh1의 단핵구 U937 세포 유착조절 효과)

  • Kim, Byung-Hun;Cho, Jae-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3 no.4
    • /
    • pp.324-329
    • /
    • 2009
  • Cell-cell adhesion managed by various adhesion molecules is known to be one of pathophysiological phenomena found in numerous immunological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nd allergic disea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gulatory role of ginsenosides (G)- Rh1, reported to display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n CD29-mediated cell adhesion. G-Rh1 significantly suppressed U937 cell-cell adhesion mediated by CD29 but not CD43. It also blocked U937 cell-fibronectin adhesion, mediated by activated CD29, up to 30%. In agreement, this compou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urface level of CD29 but not CD43 as well as other costimulatory molecules such as CD69, CD80, and CD86.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h1 may have inhibitory function on CD29-mediated cell adhesion events, probably contributing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