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억제-유도 치료

Search Result 56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ot-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Suppresses VEGF-induced Angiogenesis (복분자 온수추출물의 VEGF-유도성 혈관신생 억제효과)

  • Kim, Eok-Cheon;Kim, Hye Jin;Kim, Tack-Jo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4 no.12
    • /
    • pp.1345-1355
    • /
    • 2014
  • The interruption of angiogenesis using herbal extracts is now recognized as a useful approach for treating many solid tumors. To date, the best-validated antitumor approach is to target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induced angiogenic pathway.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identified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a hot-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RCMHE) in vitro and ex vivo. This extract suppressed VEGF-induced angiogenesis, the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 (ERK), p38 and the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RCMHE also inhibited the VEGF-responsive phosphorylation of VEGFR2.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at RCMHE may have potential therapeutic value for angiogenesis-associated human diseases through the suppression of angiogenesis and the interruption of the phosphorylation of VEGFR2.

Effect of Snake Venom on Cancer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Down Regulation of NF-${\kappa}B$ and STAT3 in the PA-1, Ovarian Cancer Cells (사독(蛇毒)이 난소암세포에 있어서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와 관련된 세포자멸사유도를 통한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 Lee, Byung-Ch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9 no.1
    • /
    • pp.37-45
    • /
    • 2012
  • 목적 : 최근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와 관련된 항암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본 연구는 사독(蛇毒)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를 유도하여 난소암 PA-1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의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 및 NF-${\kappa}B$, STAT3의 활성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에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암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사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인 cleaved caspase-3, Bax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세포자멸사 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3.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의 NF-${\kappa}B$와 STAT3 발현은 감소되었고, 각각의 길항제인 salicylic acid와 stattic 처리 후 NF-${\kappa}B$와 STAT3 발현은 더욱 감소되었다. 결론 : 사독은 난소암 세포의 세포자멸사 유발과,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를 통해 치료 효율이 높고, 내성이 적은 난소암 치료제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Ulmus Davidiana Planch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Inhibition of Experimental Bone Resorption in Mouse Calvarial Bone Cells (유근피 약침액이 생쥐의 두개골 파골세포에서 골재흡수의 저해에 미치는 영향)

  • Kang, Mi-Suk;Back, Song-O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119-127
    • /
    • 2008
  • 목적 : 골관절염치료에 빈용되는 유근피 약침액의 처치가 생쥐의 파골세포에 있어서 골재흡수의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생쥐에게 유근피 약침액을 두개골 세포에 전, 후 처치하여 골재흡수에 대한 유근피 약침액의 억제 활성능을 검토하였다. 결론 : 염증성 cytokine 중 $IL-1{\beta}$ 유도인자인 PGE와 LPS처리로 $IL-1{\beta}$생성이 증가되었으나, 유근피 약침액 처치군은 이를 억제하였다. 유근피 약침액 전처리군에서도 $IL-1{\beta}$ 생성이 억제되었다. 유근피 약침액 처치군은 PGE2유발 $IL-1{\beta}$ 전사를 억제하였으며, PGE2 유발 $IL-1{\beta}$ 유도는 cAMP antagonist인 Rp-cAMP와 protein kinase A(PKA)저해제에 의해서도 억제되어 $IL-1{\beta}$ 발현에 cAMP, PKA 신호전달경로가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근피 약침액은 강한 항 관절염효과와 골재흡수 저해 활성이 있으며, 관절염 치료, 예방에 유의함을 밝힌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Review of the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 Lee, Jong-Mi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2 no.2
    • /
    • pp.5-20
    • /
    • 2013
  •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CIMT) is intense in that patient's unaffected arm is restrained for 90% of waking hours during a two-week period while they also participate in activity sessions using the affected arm for 6 hours/day. However CIMT showed that an issue for applying it to clinics of patients with stroke, and then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was designed to minimize the issue. Application on mCIMT for the patient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s a result, it has proved the effect on functional improvement of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methods such as MAL, FMA, WMFT, ARAT, FIM, SIS and so forth. It's considered that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can be useful applied on clinical experiments of occupational therapy, as it is a way of treat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Phenethyl Isothiocyanate Inhibits Ovalbumin-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Ovalbumin에 의해서 유도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대한 phenethyl isothiocyanate의 억제효과)

  • Shin, Hwa-Jeong;Youn, Hyung-S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6
    • /
    • pp.759-762
    • /
    • 2012
  • Egg allergies have been reported as one of the most prevalent food hypersensitivitie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One of the major egg allergens is ovalbumin (OVA), which is the major protein in the egg whites. Phenethyl isothiocyanate (PEIC) from cruciferous vegetables has an effect on anti-inflammatory therapy. In the present report, we show that PEIC inhibits the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ctivation induced by OVA. PEIC also inhibits the OVA-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and nitrite production. However, PEIC did not suppress the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duced by OV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IC has the specific mechanism for anti-inflammatory responses and efficient anti-allergic activities.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 Yoon, Seong-Woo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
    • v.15 no.1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중서의결합치료소아백혈병사로(中西醫結合治療小兒白血病思路) -중서의 결합으로 소아백혈병 치료에 대한 접근-

  • Seok Hyo-Pyeo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71-75
    • /
    • 2001
  • 백혈병은 조혈계통의 악성 증식성 질환으로서 현재까지 주로 화학약물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약물요법은 백혈병 세포를 소멸시킬 수 있지만 또한 인체에 여러 가지 독성 반응 및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중서의결합으로 백혈병 치료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의학에서 소아 백혈병을 치료하는 경우 청열해독법(淸熱解毒法),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을 주로 사용한다. 청열해독법은 백혈병의 조기치료에 주로 활용되는데,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안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염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은 주로 화학약물요법의 유도 완화기 및 치료효과의 유지를 위하여 활용되는데, 이는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화학약물요법이 인체에 미치는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은 미세순환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며 골수의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또한 일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는 백혈병 세포에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보인다. 소아백혈병에 대하여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동안 중약을 같이 병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1. 유도완화치료(화학요법)단계: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대개 화학약물요법으로 인한 극심한 독성반응이나 주작용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약치료를 병행하면 신속하게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만약 구토나 설사와 같은 소화계 부작용이 나타나면 화위강역법(和胃降逆法)을 활용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할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한 후 신체가 극도로 허약해지고 골수의 기능이 심하게 억제되는 경우는 주로 부정(扶正)시키는 중약을 사용하면서 익기양혈제(益氣養血劑)를 곁들이고 보조적으로 단삼(丹蔘),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혈등(鷄血藤) 등과 같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사용하여 골수의 조혈기능을 회복시킨다. 2. 치료효과의 유지단계: 본 과정에서는 중약치료에 있어서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한다.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거사제(祛邪劑)를 중용(重用)함으로써 화학약물요법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화학약물요법이 끝난 뒤 부정(扶正)시키는 약물을 중용(重用)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백혈병세포를 억제시킨다. 3. 치료효과의 유지 및 강화단계: 치료효과의 유지단계에서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에 입각하여 항암효과가 있는 중약을 활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산자고(山慈?), 청대(靑黛), 용규(龍葵)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육신환(六神丸)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여도 된다. 소아백혈병 치료에 있어서 중서의결합의 치료법을 활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둘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약을 병행하여 투여하는 경우 사진합삼(四診合參)을 근간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병인(病因)을 살피어 치료에 임하도록 한다. 약물의 선택과 처방의 구성은 반드시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화학약물요법과 중약치료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이 서로 결합되고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하여 활용한다. 정체관(整體觀)에서 출발하여 환자를 관찰하는 동시에 특징적인 증후(證候)에 대한 변증논치(辨證論治)도 중요하며, 또한 백혈병 환자의 유형(類型)이나 임상 혈액검사 소견, 골수의 양상, 화학요법의 진행단계 및 환자의 연령과 체질 등을 충분히 가만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치료법을 선택하여야 중약요법과 화학약물요법의 협동적인 효과를 증폭시키고 백혈병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rtemisia capillaries Herbal Acupuncture Improves Metabolic Abnormal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ICR Mice (인진약침이 고지방식이유도 비만 ICR Mice에서 항비만 및 대사이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 Youh, Eun-Joo;Seo, Byung-Kwan;Huang, Bo;Kim, Jong-In;Kang, Sung-Keel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8 no.1
    • /
    • pp.1-14
    • /
    • 2011
  • 목적 : 인진약침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ICR mice에서 비만 및 동반 대사이상에 미치는 효과와 그 기전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인진약침의 비만 예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4주간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150mg/kg 또는 300mg/kg의 인진약침을 양측 비수($BL_{20}$)에 교대로 매일 피하에 시술하였다. 또한 인진약침의 비만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4주간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비만 ICR mice에 추가 4주간 고지방식이를 유지하면서 300 mg/kg 인진약침액과 vehicle control로써 등량의 distilled water를 양측 비수($BL_{20}$)에 교대로 매일 피하에 약침시술하였다. 인진약침의 항비만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 blood glucose, insul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AST, ALT levels 등 대사지표를 측정하고 부고환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AMPK activation과 adipocyte differentiation, fatty acid ${\beta}$-oxidation 및 thermogenesis와 관련된 gene expressions을 평가하였다. 결과 : 인진약침의 치료를 통하여 고지방식이 급여로 인한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만 ICR mice의 체중을 감소시켰으며, glucose 및 lipid homeostasis를 개선시켰으며 지방조직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AMPK의 phosphorylation과 CPT-1 및 UCP2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PAR-${\gamma}$, C/EBP${\alpha}$, aP2, LPL,FAS, SCD-1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인진약침은 고지방식이 유도 동물모델에서 비만 및 동반 대사이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식이억제에 의한 2차적 효과라기 보다는 energy expenditure를 증가시키고,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및 proliferation을 억제하며, lipogenesis를 억제하고 lipolysis를 증가시키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Extrac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duces the Apoptosis on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HL-60 Cells (Listeria monocytogenes에 의해 HL-60 cell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규명)

  • Yang, Eun-Ju;Kim, Dong-Hyun;Chang, Je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2
    • /
    • pp.339-348
    • /
    • 2012
  •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 is a cancer of the blood and bone marrow. Although all-trans retionic acid (ATRA) is the agents for ALP therapy, there are various side effects. For overcome this problem, we nee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agents for APL. A number of bacteria produce various virulence factors with cytotoxic effects on human cancer cells. To understand the anti-cancer effect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APL, we examined alteration of the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of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 HL-60 cells. The cell supernatant (LmSup) and the extract of L. monocytogenes (LmE)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of HL-60 cells. These cytotoxic effect of LmSup and LmE mediated by modulation of cell cycle and ROS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leased or included bacterial molecules from L. monocytogenes have a cytotoxicity in HL-60 cells. Therefore, LmSup and LmE may be used as the potential targe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induced by HL-60 cells.

Inhibitory effects of artemether on thrombus formation via regulation of cyclic nucleotides in collagen-induced platelets (콜라겐-유도의 혈소판에서 사이클릭 뉴클레오티드의 조절을 통한 Artemether의 항혈전 효과)

  • Chang-Eun Park;Dong-Ha Le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5 no.4
    • /
    • pp.239-245
    • /
    • 2022
  • Although normal activation of platelets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hemostasis, excessive or abnormal activation of platelets can lead to cardiovascular diseases. Therefore, the discovery of novel substances capable of regulating or inhibiting platelet activation may be help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Artemether is a derivative of artemisinin, known as an active ingredient of Artemisia annua, which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malaria, and is known to function through antioxidant and metabolic enzyme inhibition. However, the role of artemether in platelet activation and aggregation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artemether in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s are not known until no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temether on platelet activation and thrombus formation induced by collagen. As a result, cAMP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rtemether, and VASP and IP3R, substrates of cAMP-dependent kinase, were phosphorylated. IP3R phosphorylation by Artemether inhibited Ca2+ recruitment into the cytoplasm, and phosphorylated VASP inhibited fibrinogen binding by inactivating αIIb/β3 located on the platelet membrane. Consequently, artemether inhibited thrombin-induced fibrin clot formation. Therefore, we propose that artemether can act as an effective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s caused by excessive platelet activation and thrombus 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