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플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Way Communicatable Application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여행 어플의 설계 및 구현)

  • Yoo, Woo-Jong;Lee, Se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22-4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여행지 소개 어플을 개발하여 여행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효율적인 여행정보를 알려줌과 동시에, 테마별(연인, 가족, 캠핑, 휴양지 등)로 국내 여행지에 관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해주기 위해 이를 요약 정리해주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유사한 어플은 개발자가 서버에 저장해 놓은 내용만 볼 수 있고, 어플 이용자가 저장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플은 이용자가 여행지 및 여행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저장하여 볼 수 있고, 게시판을 통해 이용자 상호간에 정보교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어플을 설치하여 활용한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여행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습득하여 효율적으로 여행을 즐기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o Am I ? (자아성찰 프로젝트 "Who?")

  • Kim, Dae-Yong;Park, Ji-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29-331
    • /
    • 2013
  • 본 어플은 사회적 문제를 기술적 패러다임에 맞춰 해결하고자 기획되었다. 일반적으로 자기 자신의 문제점보다 다른 사람의 문제점이 더 쉽게 보이고 인식하게 된다. 작은 문제로 볼 수 있지만 최근 사회적 문제로 발생하고 있는 "따돌림"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마저 잃어버리게 하고 있다. 친구들의 문제뿐 아니라 부모와 자식, 형제, 자매 등 가족들과의 의사 단절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실제 치료의 시간도 오래 걸리고 많은 금전도 필요하게 된다. 이렇기에 최근 트랜드의 축이 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수익성을 고려하여 "WHO"의 어플을 기획하게 되었다. 특히, 사후문제 처리가 아닌 "예방"의 목적으로 상대방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과 자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내가 아닌 지인이 나에 대한 평가를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자신의 스마트폰 주소록에 한정하였으며, 악위적인 댓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지어, 입력글자 개수제한 등을 추가하였다. 평점을 줄 수 있게 하여 상대적이고 객관적인 점수로 자신의 평점을 알 수 있게 하였고 보다 빠른 인지를 위하여 별모양의 그래픽을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특히, 본 어플은 설치자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소록에 있는 명단에서 "초대하기"기능으로 설치를 유도하였다. 본 어플을 개발 후 2주간의 테스트를 통하여 어플의 기대효과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가로 개발될 어플에는 분야별 항목을 추가하여 보다 섬세한 자아평가를 가능하도록 기획하고 있다.

  • PDF

Study of Application for Aircraft Maintenance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Mobile Device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을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용 어플 연구)

  • Kim, S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89-390
    • /
    • 2022
  •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기 정비훈련 장치의 어플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 및 실행되는 항공기 정비훈련 장치는 훈련 대상 항공기의 정비 매뉴얼에 기반하여 저장부, 식별부, 입력부, 제공부로 구성하였다. 저장부는 작성된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 및 관리하는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한다. 식별부는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카메라 영상을 수신 및 분석하여, 카메라 영상 내에 존재하는 부품 각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력부는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과 버튼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하며, 객체 식별 결과 및 사용자 터치 값을 기 저장된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훈련 대상 부품을 확인하고 훈련 컨텐츠를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하는 훈련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어플이다. 본 어플의 평가항목으로는 저장, 식별, 입력, 제공부 항목에 대하여 신뢰성을 평가하였으며, 인식 및 출력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time-of-use application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사용 시간 측정 어플 개발)

  • Cho, We-Duke;Jeong, Ho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65-666
    • /
    • 2022
  • 스마트폰은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물품이 되었다. 하지만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중독 증세를 보이며 일상 생활에서까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폰 사용 제한을 권고하는 어플을 개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Docent App for Chosun University Museum (조선대학교 박물관 모바일 도슨트 어플 설계 및 구현)

  • Chung, Hyun-Sook;Lee, Gi-Kil;Lee, Dae-Kyoung;Kim, Jeong-M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121-129
    • /
    • 2018
  • The university museum is working to discover, research, and exhibit cultural artifacts as well as use them as resources of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es as one of the important organizations of the university. Current, however, university museums have the low-level usability caused by the reduction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of the university. One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may be the design of mobile docent app for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museum. The app enables users get artifacts and education programs without the restriction and learn artifact-related knowledge easil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new mobile docent app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ntent of the Chosun university museum as a real case study. In addition, we evaluate th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he proposed app by affordance-based questionnaire.

An Exam Prep App for the Secondary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 with Brain-based Memory and Learning Principles (뇌 기억-학습 원리를 적용한 중등영어교사 임용시험 준비용 어플)

  • Lee, Hye-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311-320
    • /
    • 2021
  • At present,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SSTEE) is the only gateway to become a national and public secondary teacher in Korea, and after the revision from the 2014 academic year, all the questions of the exam have been converted to supply-type test items, requiring more definitive, accurate, and solid answers. Compared to the selection-type test items that measure recognition memory, the supply-type questions, testing recall memory, require constant memorization and retrieval practices to furnish answers; however, there is not enough learning tools available to support the practices. At this juncture, this study invented a mobile app, called ONE PASS, for the SSTEE. By unpacking the functional mechanisms of the brain, the basis of cognitive processing, this ONE PASS app offers a set of tools that feature brain-based learning principles, such as a personalized study planner, motivation measurement scales, mind mapping, brainstorming, and sample questions from previous te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s for applications, and at the same time, it hopes to be of some help for candidates in their exam preparation process.

Design of Noise Complaint Issues analysis System (층간 소음 분석 시스템 설계)

  • Lee, sueng-hwan;Kim, JD;Park, TH;Kim, tae-min;An, do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9-4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실내 소음 측정하고 가시화하여 이 소음이 어느 곳에서 나오는 소음인지 와 심할 경우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설명할 내용을 요악하면 기존의 등록되어 있는 지도를 불러와 소음을 측정한다. 소음 측정은 스마트 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기존에도 스마트폰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음 측정 어플이 있지만 소음을 측정 후 사용자에게 소음을 시각화로 보여주는 것은 없다. 그래서 실내에 비콘을 설치하여 지도내에 위치를 표시하게끔 한다. 실내에서는 좌표가 잘 잡히지 않기 때문에 gps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콘을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좌표를 잡는다. 비콘은 공간좌표를 DataBase에 저장한다. 저장된 공간좌표를 어플 내에 등록된 지도에 표시해주고 스마트폰을 통한 어플로 측정한 소음을 지도에 찍힌 공간 좌표에 점으로 연결하여 선형보관볍을 이용하여 소리를 맵핑화 시켜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어느 곳이 소음이 심한지 확인할 수 있다. 추후 개선할 사항으로 지도를 미리 등록하지 않고 측정을 시작하는 동시에 움직이는 거리에 따라 지도가 그려지면서 측정하는 방식을 계획중이다.

  • PDF

Suggestion of a Navigation application warning of Black-Ice (블랙아이스 경고 네비게이션 제안)

  • Park, Ji-Seong;Jang, Minseok;Bae, Seok-chan;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608-611
    • /
    • 2022
  • The existing navigation applications mainly have a function that informs speed control, and it does not warn the location of black ice. If the navigation application performs this function,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reducing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black ice and a navigation application that warns it.

  • PDF

Design of mobile health care application using smart contact lenses (스마트 콘택트 렌즈를 이용한 모바일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설계)

  • Lee, SeungHwan;Song, EunSu;Ryu,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37-33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콘택트 렌즈를 이용한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기존에 연구되고 있던 스마트 콘택트 렌즈에 있는 센서들을 통해서 렌즈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수치화 하여 당뇨병, 녹내장, 간략한 스트레스 지수 까지 시각화 하여 보다 편하게 자가 진단하고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렌즈의 구성으로는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는 포도당 농도 측정 센서, 안압 측정 센서, 코르티솔 호르몬 측정 센서가 있고, 어플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센서가 포함 된다. 이후 수집된 데이터를 수치화 한 후 어플 화면에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각 항목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편리 할 수 있다. 많은 사용자들의 데이터가 모이면 이를 빅데이터로 구성한 뒤 건강관련 부서와 연동하여 기존에 의사들이 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어플을 사용하면서 예방하는데 큰 목적을 둔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Camera Module for Measuring a Shooting Object (피사체 계측을 위한 스마트 폰 카메라 모듈 특성 연구)

  • Oh, Sun-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5
    • /
    • pp.99-105
    • /
    • 2012
  • With the rapid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s, mobile users are able to use various useful mobile services in humdrum life. Especially, interesting applications like QR code using camera module in a smart phone are developed continuously nowadays. We realized that the size and shape of shooting objects taken by a smart phone camera module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versions of the android-based smart phon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pplications for measuring the shooting object using camera module of a smart phon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major differences among smart phone types and system versions when we take specific object with camera module of smart phones, analyz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mera modules that influencing the real size of the shooting object taken by a smart phone, and apply them to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camruler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