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메니티특성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Revetment through Field Survey (현장조사를 통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Kim, Yoon-Hwan;Kim, Chul;Kim, Dae-Young;Park, N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05-2110
    • /
    • 2008
  • 최근 환경적 기능을 중요시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에서 호안은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활영역을 가지는 생물에게 육역과 수역의 연결부로서 추이대(ecotone)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에서 조차 호안공법의 선정은 객관적인 자료와 평가기법의 부재로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고 획일적인 공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자연친화적 하천공사 시 시공하천의 특성을 고려한 호안공법의 선정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존의 호안평가지표 및 기법을 수정 제안하였다.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의 평가항목은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이다. 금번 연구에서 제안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전국의 하천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호안평가의 적용이 용이한 91개 하천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를 통해 확보한 호안 자료는 호안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호안의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은 호안 및 하천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향후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하천정비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호안공법 선정을 위한 호안평가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Characteristics of Youth Attraction Types by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유형별 특성 분석: 청년유인력 종합지수를 중심으로)

  • Sa, Hoseok;Woo, Hanso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81-200
    • /
    • 2021
  • The phenomenon that young people avoid employment in industrial complexes, which is one of the biggest issues at social and economic dimens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ttraction types by industrial complexes by making Youth Attraction Index. First, as the correlation between youth distribution of each industrial complex and youth attraction index of each industrial complex is analyzed, it show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is als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th distribu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specific sectors except for accessibility. In addition, industrial complexes with superior working environment, innovation environment and amenities of surrounded areas are included in type I(type with superior youth attracti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shown by each type. In consideration of these, policy priorities of each type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customized package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for each type of youth attraction.

An Analysis of the Discovering and Survey Techniques for Rural Amenity Resources - A Case Study of Seochen County - (농촌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의 특성분석 - 서천군을 사례로 -)

  • Heo,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3 no.2
    • /
    • pp.75-84
    • /
    • 2007
  • Rural amenity resources show a particular rural community's identity. They also provide recreational, aesthetic and economic value. This research aimed at systematizing finding surveying techniqu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for planning rural community. For conducting the study, existing finding and surveying techniqu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in the case of comprehensive Amenity Planning of Seochen County in Choongcheongnam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ings; (1) 190 amenity resources were found in Seochen County, (2) archival research an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finding resources, (3) the present status and maintenance conditions were examined through on-the-spot survey, (4) resources were photographed and recorded by making descriptive notes verbally and diagrammatically.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Rurality Characteristics in Rural Amenity Resources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eung-Won;Jeong, Yoon-Hee;Im, Seung-B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2 no.2 s.31
    • /
    • pp.1-9
    • /
    • 2006
  •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f rural area are connected to loss of rural functions which is food security as well as conservation of environment,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ry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 projects are focusing on social changes in rural area and conservation of rurality creating valu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At this point, full implications of rurality which is the various aspects of rurality should be defined to be applied in direct plans to conserve the rurality. In this study, nine attributes of rurality are found as various meanings with adjectives included in image of rurality. For practical use of these adjectives of rurality attributes, we evaluate the list of rural amenity resources and suggested plans for conservation of rural amenity. These attribut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village plan which brings one of the attributes into relief.

A Study on Design Concepts of Emotional Amenity Furniture for Work Smart (워크스마트를 위한 감성적 '어메니티 퍼니쳐' 특성에 관한 연구)

  • Shin, Eungsun;Song, Eunchung;Na, Heajeong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24 no.4
    • /
    • pp.309-317
    • /
    • 2013
  • In the recent society of knowledge industry, a changed phenomenon of domestic corporate culture, Work Smart working in creative and various ways beyond time and space is emerged from Work Hard working just hard. Thus, many corporations are trying to configure the emotional space beside the work space to make effective and creative achievements in free work environment out of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ast. This space is called Amenity space which enables to implem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s simultaneously and this is not a place for rest like in the past industry society. This research sugges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other amenity furniture unlike general furniture by analyzing the variously suggested change of forms of amenity furniture for Work Smart and the changes of configuring key factors such as forms, structures and functions of amenity furniture.

  • PDF

Remodelling of Amenity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ural Territory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 Choi, Young-Wan;Kim, You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8 no.1
    • /
    • pp.1-8
    • /
    • 2012
  • Rural policies in Korea have been changed into amenity-oriented ones rece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villigian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amenity-oriented maintenance system for rural space or environment too. Although so many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had been carried out, few ones which classified them principally by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had been tried. From the viewpoint mentioned abov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focussed on their locational characteristics. By the literature review, its draft was prepared, and after 2-round expert checks, the final table determined, which composed of 3-subsystems; green, prod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works in two case villages, its practical applicability was ascertained, from which two regarding points were found; public usability of terms and seasonality of amenity resources, especially green ones.

A Basic Study on the Estimating the Value of Sand Beach using amenities (어메니티요소를 활용한 백사장 가치평가의 기초적 연구)

  • Shin, Bum-Shick;Kim, Kyu-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6
    • /
    • pp.373-380
    • /
    • 2012
  • The sandy beach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offers beautiful scenery with high-quality sand for leisure, and is also famous for the white-sand and pine-tree which is an important scenic resource. Furthermore, the sandy beach helps to maintain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stal area and functionates as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against high waves. There are two major value evaluation methods, Travel Cost Method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assess the value of coastal sandy beac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be more appropriate for simultaneous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and the uselessness of the beach. But in order to appl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coastal sandy beach evaluation, close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on the potential bias, such as on questionnaires, surveys and repli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primary amenity of sandy beach users is investigated, in prior to evaluating the usefulness and the uselessness of the beach measured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 of amenity on major sandy beaches on the east coast of Korea is studied and compared by diverse value evaluation methods.

Study for improvement of water cycle in waterfront (수변지역의 물순환 개선 방안 연구)

  • Baek, Jong Seok;Lee, Sang Jin;Kim, Hyeong San;Kim, Baek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7-337
    • /
    • 2018
  • 시민들은 삶의 질 향상 및 친환경적 어메니티의 수요 증가로 수변지역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변지역은 물에 인접한 지역이라 친수 공간으로서의 긍정적 기능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나, 방재 측면에서는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수변지역에 적합한 물순환 기준을 정립하여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시민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지역을 물수지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여 강우, 침투, 증발산, 유출 등의 변수들이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술 적용에 의해 빗물의 저장과 침투가 유출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도록 물순환 기준을 산정해보았다. 물순환은 강우를 기준으로 처리할 목표량을 계획한 후, 침투량을 우선 산정하고 나머지 유량은 저장으로 처리하도록 프로세스화 하였다. 먼저, 물순환 목표량은 대상지의 강우와 유출 특성을 분석하여 기준을 수립한다. 이후 대상지의 토지이용과 토양 등의 지형학적 상태를 고려하여 각각의 세분화된 소유역의 침투량 규모를 산정한다. 목표량에서 침투량을 제한 나머지 유출량은 빗물통과 같은 LID 저장 기술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저장 규모를 산정한다. 이상의 프로세스로 수변지역의 물순환 목표량을 LID 기술의 저장과 침투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국 각지의 수변지역 특성에 맞는 적합한 물순환 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친수 공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