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modelling of Amenity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ural Territory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 Choi, Young-Wan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 Kim, Young-Joo (Dept. of Agricultural Eng.(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 최영완 (경상대학교 대학원) ;
  • 김영주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1.11.09
  • Accepted : 2012.03.13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Rural policies in Korea have been changed into amenity-oriented ones rece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villigian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amenity-oriented maintenance system for rural space or environment too. Although so many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had been carried out, few ones which classified them principally by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had been tried. From the viewpoint mentioned abov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focussed on their locational characteristics. By the literature review, its draft was prepared, and after 2-round expert checks, the final table determined, which composed of 3-subsystems; green, prod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works in two case villages, its practical applicability was ascertained, from which two regarding points were found; public usability of terms and seasonality of amenity resources, especially green ones.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희, 2006, 국토어메니티의 개념과 정책과제, 국토 298, 6-16.
  2. 김정섭, 2001, 농촌개발과 어메니티-국제적 논의 동향과 함의, 농촌과 환경 73, 21-32.
  3.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농촌어메니티 자원 활용 사례, 농촌진흥청, 9-10.
  4.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 조사 사업 보고서, 농촌진흥청.
  5. 농촌진흥청,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6. 농촌진흥청, 2005, 농촌의 다원적 기능 향상을 위한 어메니티 보전 및 자원관리시스템 개발.
  7. 박시현, 김정연, 이상문, 1995,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어촌 마을정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6-180.
  8. 배승종, 정하우, 2007, AHP 기법에 의한 농촌 어메니티 가치 평가 모델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5), 33-44. https://doi.org/10.5389/KSAE.2007.49.5.033
  9.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김한중, 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농촌계획 12(4), 43-51.
  10. 윤희정, 조순재, 김진선, 강방훈,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93-105.
  11.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11-17.
  12.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임창수, 최수명, 김영주, 2006,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항목체계 구축, 농촌계획 12(4), 89-97.
  14. 임형백, 2001,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2), 191-199.
  15. 정남수,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개발, 농촌계획 11(4), 9-15.
  16.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환경부, 2003, 함안.창원 지역의 자연생태조사보고서.
  18. 환경부, 2002, 합천.의령 지역의 자연생태조사보고서.
  19. 환경부 공간정보서비스(http://egis.me.go.kr) 생태자연도, 2010.
  20. 酒井憲一, 1998, 100億人のアメニティ ちくま新書, 筑摩書房.
  21. Cullingworth, J. B., 1964, Town and Country Planning in England and Wales, London : George Allen & Unwin Ltd., 10-11.
  22. OECD, 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Cited by

  1. Valuing Amenity attributes of Farm Village using Choice Experiment - Valuing Rurality- vol.20,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4.243
  2.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Rural Village and Amenity Resources vol.19, pp.1,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81
  3. Effectiveness Analysis of Rural On-site Forum Based on Rural Amenity Resources and the Types of Distinct Village vol.49, pp.5, 2015, https://doi.org/10.14397/jals.2015.49.5.311
  4. 도서 어메니티 개발을 위한 도서지역 산림자원 실태조사연구 - 제주도 5개 부속섬, 하추자도, 비양도, 새섬, 차귀도, 문섬을 중심으로 vol.16, pp.2, 2012, https://doi.org/10.34272/forest.2012.16.2.015
  5. 어메니티자원 분석을 통한 비안도 어촌 마을 특화계획 vol.19,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3.19.1.209
  6. 농촌다움의 담론 전개와 개념 체계 정립 vol.25, pp.4,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9.25.4.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