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머니의 상위정서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Effects of Maternal Meta-Emotion and Emotion Socialization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어머니의 상위정서와 정서사회화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Cho, Eunkkot;Shin, Nana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6 no.2
    • /
    • pp.145-166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ternal meta-emotion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others' emotion socialization. A total of 252 pre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nd Gyeonggi-do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meta-emotion, emotion socialization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maternal meta-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maternal meta-emotion did indeed have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motion socialization styles. That is, mothers who had desirable beliefs about emotions provided 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and showed positive emotions more frequently in the family. In addition, the preschoolers of mothers who showed positive emotion socialization styles were reported to be more emotionally intellig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meta-emotion and emotion socialization are important in predicting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dolesc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Depress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ime (어머니 상위정서양육방식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적응 및 우울감의 관계 : 모-자녀 대화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Nahm, Eun Young;Park, So Eu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5 no.6
    • /
    • pp.153-17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dolescent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mprised 181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a) maternal disapproving is negatively correlated to adolescents' positive world views, and that maternal laissez-faire is also negatively correlated to adolescents' emotional responsiveness. However, a positive correlation is revealed between maternal emotion-coaching and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b) It is evident that adolescents' emotional responsiveness is influenced by maternal laissez-faire, and that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is influenced by emotion-coaching. It also indicated tha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ime is influenced by dismissing as well as laissez-faire meta-emotion philosophy. (c) It revealed tha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ime, in part, has a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emotion philosophy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even if maternal disapproving, laissez-faire, or dismissing is practiced, adolescent depression levels decrease as mother-adolescent time lengthens.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 Choi, Ranyi;Nah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7 no.4
    • /
    • pp.57-6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among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54 children from 24 kindergartens were assesse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Their mothers reported on meta-emotion philosophy. Their teachers were assessed on child peer competence.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child peer compet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tterns. Second,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but not by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Conclusion: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at their emotion socializ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the mechanisms leading to child social cognitive ability and social adjustment. Furthermore, these results could lead to important basic studies in developing parent/teacher education programs.

Problems of Family Education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and Alternatives(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산업사회(産業社會)에 있어서 가정교육상(家庭敎育上)의 문제(問題)와 그 대책방안(對策方案) (현대(現代) 한국사회(韓國社會)를 중심(中心)으로))

  • Lee, Kyung-June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6 no.2
    • /
    • pp.183-189
    • /
    • 1994
  • 1970년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구조와 가정구조가 크게 변화 되었다. 도시집중화로 인한 각종 공해 발생, 교통난, 인구이동의 문제를 비롯하여 그리고 핵가족화로 인한 가부장적 권위상실 및 가정교육부재, 청소년 비행등 수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핵가족화로 발생된 심각한 사회문제는 전통윤리의 붕괴와 가정교육의 부재현상을 발생 시켰다. 이와같은 문제발생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첫째, 핵가족화로 인해 발생한 가족규모의 축소현상으로 자녀들의 다면적 인격형성에 결손을 초래하여 성장후 독립심과 의지가 약하고 고집이 세며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되어 사회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다면적 인간관계의 결여로 상호 협조하고 사랑을 교환한 경험 부족과 외동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자녀의 욕구에만 집중되어 자녀종속적인 태도가 크게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는 산업화 사회에서의 부부동시 사회참여가 자녀양육에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이 결여되어 모성실조를 겪게 된 문제를 들 수 있다. 어머니와 자녀간의 애착형성이 결여 됨으로 발생되는 문제는 지적 정체현상과 정서발달의 장애가 주 원인이 되어 감정 통제력이 약해서 공격적 행동이나 반 사회적 행동으로 확대되어 청소년문제 발생의 원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세째로 산업화사회와 경쟁력 조장을 들 수 있다. 산업사회를 개방사회, 경재력사회 혹은 능력사회라하여 고학력위주의 선발형태가 입시경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이 상위 지향적인 심리가 작용하여 자녀들의 입시경쟁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간교육 즉 가정교육을 외면하여 반도덕적, 반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하였다. 특히 전통적 가정윤리가 붕괴되어 부모에 대한 효관의 약화, 부부간의 애정약화 및 물질지향적인 사고가 이혼률을 증가시켜 가정붕괴를 가져왔다. 이상에서 논의된 자녀교육의 부재가 자녀들의 지적 정서적 문제로 확대되어 산업화사회의 모순점을 노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안은 훌륭한 가정교육을 위해서 우선되어야 하는것은 부모자신의 인격적 개인완성을 제안하였다. 인격의 완성은 양심과 행동이 일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다음은 서로 위하여 사는 삶을 영위하는 인격체가 되어 양심의 법에 따르는 삶, 타인을 위하여 사는 삶을 자녀들에게 보여줌으로서 반두라의 모델링 교육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과 같은 암기위주의 경쟁교육이 아니라 타고난 잠재성 개발에 주력하는 교육으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는 창조적 산 교육장을 마련하여 주고 또한 그것을 뒷바침하는 가정윤리교육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육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