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박물관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설계를 위한 관람특성 연구 - 삼성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for the Inspectors for the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 권정란;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81
    • /
    • 2002
  • Today, local museums as well as international museums are varied with scale, foundation purpose and function. Children's museum is particularly designed for special viewers. Therefore, the expression design factors such as plane, cubic side, illuminator, line of flow, color,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ewer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A couple of sample museum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ewers.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sign of children's museum.

  • PDF

지역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체험전시 (Hands-On Exhibitions of Regional Science-Museum)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2-405
    • /
    • 2009
  • 지역 박물관은 대도시의 대규모 박물관에 비하여 전시물의 양과 질 그리고 관람객의 접근성에 있어서 열세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과학기술 문화사업 시행계획에 의한 중점 추진 전략으로써 지방 테마과학관 지원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지역 박물관중 특히 과학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는 전시를 특징으로 하며 현재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주제로 관람객의 방문을 유도하고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 과학관은 주제의 편협성과 규모의 열세 등의 약점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방안으로써 체험전시를 통한 어린이와 청소년 계층의 이용 활성화를 유도하여 지역 문화 발전과 관광객 유치에도 도움이 되리라 보는 바이다.

  • PDF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 콘텐츠 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 (Development of interactive children's museum contents for online-offline experience and research on satisfaction level)

  • 이지은;이상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59-65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온라인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를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형태로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오프라인 박물관 콘텐츠는 기존 온라인 박물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기존 전시물 유형과 직접 체험 요소가 보완된 콘텐츠를 결합하였으며, 혼합 매체 사용을 통해 학습을 증진시킨다는 Blended learning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온라인 박물관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온·오프라인 박물관이 기존 온라인 박물관에 비해 학습 효과가 있는지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직접 체험이 혼합된 콘텐츠가 높은 만족도 및 빈도 지수로 집계되었으며 [놀이형]과 [경험형] 유형의 직접 체험 콘텐츠가 간접 체험 유형의 콘텐츠보다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박물관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시사점과 발전 가능성을 제공하고 어린이 교육에 다양한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Play Behaviour and Environment Using User Research (Focused on Air-bounce Space in Theme Museum))

  • 송미;윤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74-284
    • /
    • 2016
  • 본 연구는 테마형 박물관 중 하나인 춘천 애니메이션 박물관의 어린이 놀이공간(에어바운스)을 대상으로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놀이행태와 놀이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조사법 중 사용자 관찰법과 사용자 행동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사용자 관찰법을 통해 연구 대상지의 어린이 놀이행태를 분석한 결과, 신체 운동, 정서, 인지,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놀이행태가 모두 관찰되었으나, 매달리거나 역할놀이와 같은 일부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용자 관찰법과 인터뷰 조사 등을 종합하여 이용밀도(수용력) 제한, 연령별 공간구분, 동반자 대기공간 조성, 아동과 동반자간 친밀감형성을 위한 공간 조성, 안전요원의 배치 등의 다양한 계획적 함의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유사한 어린이 놀이공간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전시참여형태와 아동과 어머니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xhibi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Child and Mother in the Children's Museum)

  • 이경희;최정윤
    • 아동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92
    • /
    • 2004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 the Children's Museum investigated patterns of participation by type of exhibit and interaction with 150 5-to 12-year-old children and 50 mothers. A timing and tracking observation checklist was used to document time spent at each type of exhibit and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ll children chose and spent more time interacting with participatory than non-participatory exhibits and they chose more participatory exhibits than mothers. Mothers chose more non-participatory than participatory exhibits and spent more time with non-participatory exhibits than the preschool group. The preschool age group interacted with mothethan other interactions.

  • PDF

기부네트워크 구축 거점으로서 어린이박물관의 잠재성 분석 연구 - 시카고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Potential of Children's Museum as a Base for Donation Network - Focused on Chicago Children's Museum -)

  • 이연숙;임예지;김광미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1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planning approach for children's museum within Korean context that promotes community participation. A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a field survey method were used. Literature reviews on community participation paradigm,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onation networks in community regeneration processes, and finally on case studies on children's museum in Korea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field survey on Chicago Children's Museum(CCM) located in downtown Chicago, its role was identified as networking system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donation and was verified as a socio-physical base for vitalizing donation culture that is an active and a leading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 As a result, CCM has engaged many partnerships with city organizations and local schools to provide diverse and unique programs that are not only targeted to children but also parents, teachers and visitors. Also, an evolution of CCM through various types of donation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as delineated. CCM was found successfully in restoring community spirit and vitalizing economical growth where it once was a decayed city area. Rather than focusing on descriptive technique of typical children's museum, this study explored how community fabric is made and acted out, through rethinking community participation's value, and how it can influence a physical space. CCM, as a good example of community participatory museum,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planning and directing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children's museums in Korea. It is significant to shed light on children's museum as an opportunity of social space which can empower community.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lement of Regional Museum Space-Marketing)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47-549
    • /
    • 2011
  • 지역 박물관은 대도시의 대규모 박물관에 비하여 전시물의 양과 질 그리고 관람객의 접근성에 있어서 열세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과학기술 문화사업 시행계획에 의한 중점 추진 전략으로써 지방테마 과학관 지원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지역 박물관중 특히 과학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는 전시를 특징으로 하며 현재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주제로 관람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다 잘 보존하고 지역 문화 발전과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시설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마케팅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