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허체질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서울지역 주민의 중의(中醫) 체질(體質)별 오색(五色)선호도와의 연관성 (Relations of Five Color Preference with Chinese Body Constitution of Residents in Seoul Area)

  • 안지혜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21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민 594명을 대상으로 중의체질표 설문지로 검사하여 체질유형 분포를 탐색하고, 체질별로 오색(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흰색 그리고 검정색)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서울 시민들에게 적합한 검사인지 그리고 체질에 따른 오색의 선호도가 타당성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연구방법은 중의체질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일반오색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체질유형 분포에서는 양허체질(31.4%), 음허체질(23.8%), 담습열(11.8%), 화평(10.4%), 기허체질(9.8%), 기울체질(7.4%), 특이체질(6.2%), 어혈체질(3.2%)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중의체질 검사가 서울 시민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이기도 하다. 오색선호도 순서는 파랑색이 184명(31%), 노랑색이 150명(25.3%), 흰색이 107명(18%), 빨강색이 105명(17.7%), 그리고 검정색이 48명(8%)의 순이었다. 파랑색을 제일 선호하였고, 검정색을 제일 낮게 선호하였다. 오색의 분포는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안했다. 이는 체질별 오색선호 사이에는 유연성이 적다는 결과이다. 양허체질 대상자의 오장질환 중에 위장 질환자의 분포(50.3%)가 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색은 전체적으로는 파랑색(30.9%)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1). 오장질환 별로 오색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라 평가한다. 결론: 중의체질 분포조사표로 조사한 서울 시민의 체질을 분포는 9개로 분류되었으며, 양허체질 대상자가 수가 가장 높았고, 습열체질이 낮았다. 또한 체질별로 오색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중의체질표가 서울시민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체질별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판단한다.

"상한론(傷寒論)"의 "중풍(中風)"과 "상한(傷寒)"에 대한 고찰(考察);대우(對于) "상한론(傷寒論)" 지(之)"중풍(中風)"화(和) "상한(傷寒)"적고찰(的考察)

  • 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6-146
    • /
    • 2006
  • 파(把) "상한론(傷寒論)" 지중풍여상한적발병원인(之中風與傷寒的發病原因), 인위구분성풍사여한사(認爲區分成風邪與寒邪), 시불태적당(時不太適當). 우시(于是), 논자이사기적경중여체질(論者以邪氣的輕重與體質)(양기(陽氣))적성쇠(的盛衰), 진행중풍여상한적분석(進行中風與傷寒的分析),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基一是), 중풍시양기허적인감수료경적풍한사(中風是陽氣虛的人感受了輕的風寒邪), 소이사기침입우기육(所以邪氣侵入于肌肉). 상한시양기성적인감수료중적풍한사(傷寒是陽氣盛的人感受了重的風寒邪), 소이사기유우부표(所以邪氣留于膚表). 기이시(其二是), 중풍인정사적대치상태소완(中風因正邪的代置狀態疎緩), 소이기맥위부완(所以其脈爲浮緩). 상한시정사대치우부표이집중우피모(傷寒是正邪代置于膚表而集中于皮毛), 소이기맥위부긴(所以其脈爲浮緊). 기삼시(其三是), 중풍지사기직접거영향우인체(中風之邪氣直接去影響于人體), 소이위(所以爲)“즉발열(卽發熱)”. 상한적(傷寒的) “혹미발열(或未發熱)”시(是), 성적양기가이억제사기적상태(盛的陽氣可以抑制邪氣的狀態). “혹기발열(或己發熱)” 시양기수성이부가이억제중사적상태(是陽氣雖盛而不可以抑制重邪的狀態). 기사시(其四是), 중풍시인양기허이불가이고섭(中風是因陽氣虛而不可以固攝), 소이위자한(所以爲自汗). 상한시강성적정사도취우부표이울폐(傷寒是强盛的正邪都聚于膚表而鬱閉), 소이위무한(所以爲無汗). 기오시(其五是), 중풍감수료경적사기(中風感受了輕的邪氣), 소이견풍이재손양기(所以見風而再損陽氣), 재회유악풍한적증상(才會有惡風寒的症狀). 상한시감수료중적사기(傷寒是感受了重的邪氣), 소이수거밀실이유악풍한적증(所以雖居密室而有惡風寒的症). 기육시(其六是), 계지탕유해기적효능(桂枝湯有解肌的效能), 소이능치중풍증(所以能治中風證). 마황탕유축부표지사기적효능(麻黃湯有逐膚表之邪氣的效能), 소이치상한증(所以治傷寒證). 기칠시(其七是), “발어양(發於陽)”시당우상한(是當于傷寒), “양(陽)”적의사상당시최표층부적부표(的意思相當是最表層部的膚表). “발어음(發於陰)”시당우중풍(是當于中風), “음(陰)”적의사상당우비부표교심부적기육(的意思相當于比膚表較深部的肌肉). 기팔시(其八是), “풍가(風家)”시인양허이역환중풍적인(是因陽虛而易患中風的人).

  • PDF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과 후세방(後世方)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 양허병증(陽虛病證)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xperimental study of Soŭm-In Bojungikit'ang and Dong-Won Bojungikit'ang on Yang-Insufficient Syndrome Induced by Hydrocortisone acetate)

  • 안광무;송일병;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5
    • /
    • 1995
  • In order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Dong-Won Bojungikit'ang on Yang-Insufficient syndrome(陽虛證) induced by Hydrocortisone acetate(HA) in experimental animals(Mice and Rats), the author experimented with various activities. Body temperature(BT), Body weight(BW), Exercise time, Cyclic-AMP, the Ra's Hair condi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In body temperature, the Dong-Won Bojungiki'ang treated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treated group showed no significance. 2. In body weight,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treated group had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Dong-Won Bojungikit'ang treated group showed no significa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the Dong-Won Bojungikit'ang. 3. In exercise time.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the Dong-Won Bojungikit'ang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4. In cyclic AMP,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in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5. In the Rat' s hair condition.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showed significance. 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the Dong-Won Bojungikitang except the body weight. from the above findings. (1) it has been demonstrated thet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Dong-Won Bojungikit'ang groups seem to produce the effecticeness on the recovery from depression of metabolism induced by Bydrocortisone acetate. (2) In body temperature response the Dong-Won Bojungikit'ang had effectiveness during recovery. (3) In body weight response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had the effecticeness during recovery. (4) In exercise time. Both experimental group had the effectiveness during recovery. (5) In cyclic AMP response. both experimental group had no effectiveness during recovery. (6) In the Rat's hair condition response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group had the effectiveness during recovery. Therefore in is suggested theat the $So{\breve{u}}m$-In Bojungikit'ang and Dong-Won Bojungikit'ang groups had effecticeness during recovery from Yang-Insufficient syndrome more of less.

  • PDF

소음인(少陰人) 승양익기부자탕(升陽益氣附子湯)과 관계부자리중탕(官桂附子理中湯)이 양허증(陽虛證)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Sungyangikgibuja'ang and Kwangyebujalijungt' and of Soŭm-In on Yang-Insufficient Syndrome)

  • 전진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7-112
    • /
    • 1989
  • In order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Sung-yangikgibujat'ang (SIT) and Kwangyebujalijungt'ang (KBT) on Yang-insufficient syndrome (陽虛證) induced by Hydrocortisone acetate (H.A.) in experimental animals (Mice and Rat), the author experimented various activities.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DTH), Rosette forming cells (RFC), hemagglutinin (HA) titers, Hemolysin (HL) titers, Body weight, Whole blood viscosity, Plasma Viscosity, Hematocrit, RBC, Albumin, Total protein,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measured. The results summerized as follows; 1. In DTH and RFC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H.A.-treated group. 2. In HA titers SIT_treated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KBT-treated group showed in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3. In HL titers all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n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4. In body weight all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n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5. In whole blood viscosity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H.A.-treated group. 5. In whole blood viscosity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H.A.-treated group. 6. In plasma viscosity KBT-treated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SIT-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7. In Hematocrit SIT-treated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KBT-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8. In RBC, albumin and cholesterol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H.A.-treated group. 9. In total protein and triglyceride KBT-treated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SIT-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10. In Glucose SIT-treated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KBT-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tendancy, but showed no significance. From above finding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ngyangikgibujat'ang and Kwangyebujalijungt'ang seem to produce the effectiveness on the recovery from depression of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blood circulation and energy metabolic rate, induced by Hydrocortisone acetate, and i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Sungyangikgibujat'ang have the effectiveness on the recovery, and in cellular component of blood Sungyangikgibujat'ang was more effective than Kwangyebujalijungt' ang, and in plasma of blood Kwangyebujalijungt'ang was more effective than Sungyangikgibujat'a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ungyangikgibujat'ang and Kwangyebujalijungt'ang have the effectiveness on the recovery from Yang-insufficient syndrome more or less.

  • PDF

소음인(少陰人)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과 국방(局方)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이 양허병증(陽虛病證)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xperimental Study of Soŭm-Im sipjŏndaebot'ang and Gukbang Sipjondaebot'ang on Yang Insufficient Syndrome)

  • 장영근;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81-293
    • /
    • 199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o{\breve{u}}m$-In $Sipj{\breve{o}}ndaebot^{\prime}ang$ and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on Yang-insufficient syndrome(陽虛)induced by hydrocortisone acetate and cold condition in experiemental animals(Rats), the author experimented with Body temperature, Body weight, Exercise time, cyclic-AMP and Hair condition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Changes of body Temperature, the soum-In $Sipj{\breve{o}}ndaebot^{\prime}ang$ group ros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Soum-In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rose with statistical singificance in comparison to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2. In changes of Body weight, the Soum-In Sipjondaebot'ang treated group and the Gukbang Sipjondabot'ang treatd group had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So{\breve{u}}m$-In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in comparison to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treated group. 3. In changes of Exercise time, the $So{\breve{u}}m$-In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and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had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So{\breve{u}}m$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in comparison to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4. In changes of plasma cyclic-AMP concentration,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and the $So{\breve{u}}m$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showed an increased tendenc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5. In changes hair condition, the $So{\breve{u}}m$ $Sipj{\breve{o}}ndaebot^{\prime}ang$ terated group and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treated group showed a betterment tendenc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led group. From the above findings, thd $So{\breve{u}}m$ $Sipj{\breve{o}}ndaebot^{\prime}ang$ and the Gukbang $Sipj{\breve{o}}ndaebot^{\prime}ang$ groups also had an effect of Yang-insuffient syndrome, moreover, on Body thmperature, Body weight and Exercise time, both showed a singnificant effect.

  • PDF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치료효천적경험(固本治療哮喘的經驗)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固本)의 방법에 따른 천식에 관한 치험-

  • 황금성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5
    • /
    • 2001
  • 본 논문은 척담(滌痰) 축어(逐瘀) 고본(固本)의 방법으로 천식을 완화시킨 치험에 관한 내용이다. 천식의 병인병기는 폐(肺) 비(脾) 신(腎) 삼장(三臟)의 본허(本虛)로 인한 알레르기성 체질이 내적인 근본요인으로 간주된다. 담어복폐(談瘀伏肺)는 천식의 병리적인 결과로서 증상유발의 요인이기도 하다. 즉 담어(痰瘀)는 천식의 병리적인 부산물이며, 동시에 천식을 일으키는 치병요인이 된다. 담어(痰瘀)가 내복(內伏)하여 철저히 제거되지 않으면 천식은 결코 완치될 수 없다. 이와 같은 한의학적인 관점은 현대의학에서 천식을 기도의 만성 염증에 의하여 유발된 증상으로 파악하고 있는 기전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담(痰) 어(瘀) 허(虛)는 천식의 병리변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이는 천식치료를 위한 처방구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 천식은 발작기와 완화기로 분류하여 치료하며, 발작기는 냉효(冷哮)와 열효(熱哮)로 구분된다. 냉효(冷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온폐산한(溫肺散寒),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기본으로 한다. 처방은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세신(細辛) 계지(桂枝)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울김(鬱金) 목단피(牧丹皮) 지룡(地龍)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열효(熱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청열사폐(淸熱瀉肺)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근본으로 삼고, 처방으로는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목단피(牧丹皮)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지룡(地龍) 어성초(魚腥草) 포공영(蒲公英)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완화단계도 역시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폐신음허형(肺腎陰虛型)은 익기양음(益氣養陰) 척담행어(滌痰行瘀)를 치료원칙으로 하고, 처방에는 남북사삼(南北沙蔘) 구자울(灸紫?) 및 관동화(款冬花) 당귀(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비(脾)의 기능을 강화하여 근본을 채우는 부비배본(扶脾培本)도 중요하다. 후천의 수곡정미(水穀精微)로 선천을 충족시키고 자양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고 재발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역시 천식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 PDF

태(太)·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처방(處方)이 Gold thioglucose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비만병(肥滿病)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Taeumin, Soeumin and Soyangin Prescriptions on the Adipocyt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in the Rat)

  • 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5-317
    • /
    • 1996
  • 비만(肥滿)은 일반적으로 칼로리 섭취가 신체 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초과하여 지방질이 지방조직에 과잉 축척된 열량 불균형 상태로 표현하며, 표준체중의 10% 이상율 과체중이라 하고 20%이상 초과된 경우를 비만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과잉 체지방은 지방세포의 크기가 변함으로써 과잉으로 체내에 축척되게 되고, 극히 심한 경우에는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되기도 한다. 아울러 비만은 서구화된 사회에서 가장 혼한 영양 불량 문제이고 빠른 속도로 중가하고 있다. 비만의 원인을 나누어 보면 일반적으로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외적 원인으로는 음식의 과잉 섭취와 운동 부족 등이 있으며 내적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병적인 요인(시상하부병변, 갑상선 이상, 뇌하수체전엽 이상, 다른 질환의 2차적 합병증)등이 있다. 이 밖에 심리적 요인 등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비만자의 사망율을 살펴보면, 보통 사람보다 분명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비만자의 심장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질환 유병율이 높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미국 및 선진 여러 나라에서 비만에 대한 대책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비만을 비(肥), 비인(肥人), 비귀인(肥貴人), 비부성(肥膚盛), 비반 등으로 표현하였고 그 형상에 대하서는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연질장대(年質壯大) 혈기충잉(血氣充孕) 부혁견고(膚革堅固)${\cdots}$ 비인지(肥人地)", "괵육견 피수자비(皮綬者肥)"라고 쓰여져 있다. 동양의학에서 비만의 현인에 대하여 고찰해 보연 "황채내경"에 "수식감미(數食甘味)", "고취지질(高聚之疾)", "탐어취여(貪於取與)"라고 쓰여져 있으며, 주로 고량후미(膏梁厚味)한 음식(飮食)의 탐식(貪食), 습담(濕痰), 기허(氣虛)및 간신양허(肝腎陽虛), 비토처약(脾土處弱), 비위적열(脾胃積熱), 비신양허(脾腎陽虛)와 같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능 조화가 상실돼 비습(肥濕), 즉 지방과 수분이 과잉 축적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비만의 치법으로는 약물요법 이외에도 한방적 치료 방법으로는 청구요법, 이침요법, 기공과 수기, 운동요법, 절식요법등이 있다. 이중 절식요법, 운동요법은 양한방에서 가장 바람직한 치료법이나 지속적인 치료를 할 수 없다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는 식욕 억제와 함께 식사량을 줄이는 데서 오는 심한 공복감, 무기력, 어지러움, 구역감, 변비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무기력, 두통, 위장장애등 부작용을 줄여 주는 일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오장육부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인체를 보강하여 식사 및 체중 감량에 따르는 만성질환의 발생이나 저항력 감퇴 등을 막아 준다. 최근 들어 비만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들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사상처방을 이용한 연구 및 실험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에, 사상처방이 비만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하고 본 실험에 착수하게 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사상처방은 모두 이제마의 신정방(新定方)으로서 "동의수세보원"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태음인(太陰人)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소양인(少陽人)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을 선택하였다. 태음인 태음조위탕은 태음인 표병증에서 식후비만, 퇴각무력(腿脚無力) 등에 사용되며 여러 문헌에서 중풍허증(中風虛證), 식후도포(食後倒飽), 부사음식(不思飮食), 허노(虛勞), 건망(健忘), 자한(自汗), 도한(盜汗) 등에 사용된다고 한 처방으로, 태음인 표병중에서 폐장(肺陽)을 승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처방중 하나이다. 소음인 십이미관중탕은 소음인 이병중에서 태음병증(太陰病證), 소편부쾌(小便不快), 양도부흥(陽道不興), 장유부종지점자(將有浮腫之漸者)에 사용하는 적백하오관중양(赤白何烏寬中陽)에 후박(厚朴), 지실(枳實), 목향(木香), 대복피(大腹皮) 등을 가하여 통기맥(通氣脈)하는 공력(功力)을 배가시킨 처방으로 여러 문헌에서 중풍(中風), 토사(吐瀉), 곽난(藿亂), 기울(氣鬱), 습울(濕鬱), 담울(痰鬱), 열울(熱鬱), 주적(酒積), 수적(水積), 부종(浮腫), 창만(脹滿), 담음류주(痰飮流注), 소편부리(小便不利), 편폐(便閉), 요통(腰痛), 견비통(肩臂痛) 등에 사용된다고 한 처방으로 소음인 이병증에서 이음강기(裏陰降氣)작용을 하는 대표척인 처방 중 하나이다. 소양인 양격산화탕온 소양인 이병중에서 실열(實熱)이 었고 심화(心火)가 상성(上盛)하거나 중초(中焦)에 조실(燥實)하여, 다갈(多渴), 두혼(頭昏), 목적(目赤), 두발이열(頭發裏熱), 설종(舌腫), 후폐(喉閉), 토혈(吐血), 육혈, 대소편비(大小便秘), 조어(調語), 발광(發狂)등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이열병인 흉격열증(胸格熱症)을 다스라는 소양인 이열병중에 넓게 웅용될 수 있는 처방이다. 각 처방이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食餌)로 유발한 비만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 처방 추출물을 제조하여 ICR계 마우스에 7주간 투여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며보면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로만 사육한 대조군에서는 체중의 중가가 뚜렷하였으며, 각 처방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적은 투여량으로 체중 증가의 감소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청 중의 transaminase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transaminase가 분명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실험군에서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로 인한 transaminase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혈청지질에 대한 효과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고 생리적 변화의 범위 안에서의 변동이었다. 간조직내의 지질변화는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는데 비해 각 처방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는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각 처방은 간의 지질함량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궁 주위 지방조직에 대해서는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확실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각 처방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각 처방의 효과는 간장 등의 기관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물(動物)을 이용한 이러한 in vivo 실험에서 각 처방은 혈청 transamianse의 개선, 체지방의 증가 억제, 간의 지방 축적 억제작용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처방이 임상적으로 비만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더 확실한 규명을 할 수 있도록 태음조위탕, 십이미관중탕, 양격산화탕을 선택하여 각 처방의 추출물이 전지방세포의 미분화 상태인 3T3-L1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세포내 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3T3-L1세포주는 비만의 중요한 유도 과정의 하나인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탐색하고 그 작용 과정을 밝히는 데에 많이 이용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로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은 retinol, retinoic, acid, vitamin D group, vitamin E, nicotinamide, phobol ester, dihydroteleocidin B, lithium등이며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은 ascorbate, hemin, cadium, corticosterone, cAMP 등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insulin과 glucocorticoid steroid 호르몬이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생성(脂肪生成) 및 세포내 지질 축적을 유발하며 이러한 지방세포가 결함조직의 세포로부터 분화되어 나오며 분화된 지방세포 내에 존재하는 지방은 지방세포에서 스스로 합성된다고 보고되었다. 각 처방 추출액이 전지방세포의 미분화 상태인 3T3-L1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비만시에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비만증을 형성하는 기전의 일부인 세포증식을 각 처방 추출액이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지방세포의 증식을 직접 억제하는데 본 처방이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배양초기 2일간, 배양 후기 6일간, 전배양기간 8일 동안 각각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때 초기 배양 2일간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분화를 감소시키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유도분화시에는 분화유도 8일째 배양 상태에서 각 처방 $10{\mu}g/ml$투여 실험군에서 유의성있는 분화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100{\mu}g/ml$ 투여군에서는 6일(日)과 8일(日)에 각각 유의성있는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후기배양 6일간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초기 2일간의 배양에 각 처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과 약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즉 세포분화를 약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유의성 있는 결과는 아니었다. 유도분화시에는 각 처방 $100{\mu}g/ml$ 투여군에서 8일에 유의성있는 지방세포분화의 결과를 보였다. 전 실험기간인 8일 동안 각 처방 추출액을 계속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각 처방을 투여한 각 실험군에서 지방세포분화의 억제를 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뚜렷한 결과는 아니며 통계적으로도 의의가 없었다. 유도분화시에는 각 처방 $10{\mu}g/ml$ 투여군에서 8일에 유의성있는 지방세포 분화억제를 보였으며, $100{\mu}g/ml$투여군에서는 6일과 8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방세포분화억제의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각 처방 추출액이 분화유도물질에 의하여 분화되는 지방세포의 분화는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정상적인 전지방세포의 지방분화는 억제하고 시험관내의 자연분화유도시에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자세한 기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전지방세포의 변화과정에 각 처방 추출물을 직접 투여함으로서 전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고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며 세포내 지질 축적을 유도하는 효소와 중성지질의 세포내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유추하여, 각 처방의 비만치료에의 이용은 유효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사상처방이 마우스의 정상 생리에서는 어느정도 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으나, 인체의 체질에 따른 장부의 강약에 의한 차이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