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적

Search Result 3,1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Literature Review on the Hwayangjeok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화양적(花陽炙)의 문헌적 고찰)

  • Oh, Soond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3
    • /
    • pp.1-21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assorted vegetables with beef on skewers called Hwayangjeok recorded in 16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Hwayangjeo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35.2% Hwangjeok(黃炙) & Jabjeok(雜炙), 16.7% Hwangjeokhwayangjeok(黃炙花陽炙), each 11.1% Saengboghwayangjeok(生鰒花陽炙) & Lagjehwayangjeok(絡蹄花陽炙), 9.3% Eohwayangjeok(魚花陽炙), 5.6% Donggwahwayangjeok(冬苽花陽炙), each 3.7% Cheonyeobhwayangjeok((千葉花陽炙) & Yanghwayangjeok1, each 1.8% Gyelan-eoeumjeok (鷄卵於音炙) & Ablanhwayangjeok(鴨卵花陽炙).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yangjeok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민감한 양적 정보를 얻기 위한 확률화응답시스템의 구현

  • Park, Hui-Chang;Nam, Gi-Seong;Lee, Gi-S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0a
    • /
    • pp.79-8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민감한 양적 정보를 얻기 위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정직하게 응답하기를 꺼리는 질문들에 대하여 응답자의 비밀을 노출시키기 않고서 양적 정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양적 확률화응답기법을 인터넷 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에 DB 환경에 바탕을 두어 기존의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 및 질적 확률화응답기법과 연계하여 자료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된 스팟 서베이(spot survey)가 가능하도록 구현하고자 한다.

  • PDF

개선된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

  • 이기성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2
    • /
    • pp.403-410
    • /
    • 1998
  • Mangat(1994)는 Mangat-Singh(1990)이 제안한 2단계 관련질문모형의 사용 절차를 좀 더 단순화시킨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제안하여 민감한 질적 속성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angat의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한 모형이 Greenberg et al.의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이나 최경호(1996)가 제안한 2단계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보다 효율적이 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A Research on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f Information Literacy (정보활용능력 분야 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 Seo, Man-Deok;Nam, Yo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4
    • /
    • pp.309-328
    • /
    • 2010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rend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domestic dissertations on information literacy that were published since 2000. The procedures, regulations, and descriptive elements of the quantitative study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e study used 5 variables and criterions to measure these items. Based on the calculations, the study ha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research method, sampling method and sampling population of the dissertations. The study has also analyzed the trend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by published year and majors. Furthermore, the study has also presented the trend of the usage of statistic analysis method on research purpose by classifying the method into each purpose.

A multiplicative unrelated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model (승법 무관양적속성 확률화응답모형)

  • Lee, Gi-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5
    • /
    • pp.897-906
    • /
    • 2016
  • We augment an unrelated quantitative attribute to Bar-Lev et al.'s model (2004) which is composed of sensitive quantitative variable and scrambled one to present a multiplicative unrelated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model(MUQ RRM). We also establish theoretical grounds to estimate the sensitive quantitative attribute according to circumstances irrespective of known or unknown unrelated quantitative attribute. Finall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ggested model, Eichhorn-Hayre model, Bar-Lev et al.'s model and Gjestvang-Singh's model,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our model with Bar-Lev et al.'s model.

Statistical Analysis o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Miscanthus sinensis Cultivars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재배품종의 양적형질에 대한 통계적 분석)

  • An, Mi-Yun;Ryu, Sung-Ryul;Kwon, Yong-Rak;Jang,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5-85
    • /
    • 2018
  • 식물의 특성조사요령에서 조사항목을 정하는 것은 특정한 식물의 고유특성을 표현하고 새로운 품종에 대한 DUS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참억새(Miscanthus sienesis) 품종들의 양적형질에 대한 조사결과를 각각의 특성조사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각 특성조사 항목의 측정값이 여러 품종에서 균일하게 나타날 경우 식물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사항목으로 채택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조사항목이 품종의 특성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채택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참억새(M. sienesis) 재배종을 대상으로 양적형질의 측정값에 대해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여 균일한 정도를 확인하고 조사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해보았다. 조사대상은 참억새 15개 재배종으로 양적특성 16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식물체 높이, 줄기 길이, 마디의 수, 까락 길이는 변이계수가 5%이하로 작아 양적형질을 표현하는데 있어 문제가 없으나, 마디길이와 엽초길이는 변이계수 22%에서 68% 사이로 높아 형질의 특성이라고 설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변이계수가 다른 특성들에 비해 높은 경우 변이의 범위가 넓어 품종의 형질이라고 판정하기 모호하기 때문에 조사항목으로의 채택은 고려해야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특성조사요령의 양적형질에 대한 특성조사항목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양적속성 추정을 위한 2단계 확률화응답기법

  • 최경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1
    • /
    • pp.161-165
    • /
    • 1997
  • 양적속성의 추정을 위한 확률화응답기법은 Greenberg et al.(1971)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새로운 방법에 대한 제시(Dalenius와 Vitale(1974)) 및 분포함수에 대한 추정(Duffy와 Waterton(1984))등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확률화응답기법을 이용하여 양적속성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의 효율성 비교를 행해 보고자 한다.

  • PDF

Quantitative Text Mining for Social Science: Analysis of Immigrant in the Articles (사회과학을 위한 양적 텍스트 마이닝: 이주, 이민 키워드 논문 및 언론기사 분석)

  • Yi, Soo-Jeong;Choi, Do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118-127
    • /
    • 2020
  • The paper introduces trends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of quantitative Korean text analysis by using the case studies of academic and news media articles on "migration" and "immigration" within the periods of 2017-2019. The quantitative text analysis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LP) and this became an essential tool for social science. It is a part of data science that converts documents into structured data and performs hypothesis discovery and verification as the data and visualize data. Furthermore, we examed the commonly applied social scientific statistical models of quantitative text analysis by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with R programming and Quanteda.

Case Study of the Sixth Grade Students' Quantitative Reasoning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적 추론 사례 연구)

  • Jeong, Hyung-Og;Lee, Kyung-Hwa;Pang, Jeong-Su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9 no.1
    • /
    • pp.81-98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quantitative reaso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reasoning of the sixth graders. Three students who used quantitative reasoning in solving problems were interviewed in depth.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students used two types of quantitative reasoning, that is difference reasoning and multiplicative reasoning. They used qualitatively different quantitative reasoning, which had a great impact on their problem-solving strategy. Students used symbolic, linguistic and visual representations. Particularly, they used visual representations to represent quantities and relations between quantities included in the problem situation, and to deduce a new relation between quant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visual representation plays a prominent role in quantitative reasoning. This paper included several implications on quantitative reasoning and quantitative approach related to early algebra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