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이온

검색결과 2,903건 처리시간 0.028초

Folate-PEG-DPPE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지질 에멀젼 시스템의 표적화 유전자 전달 (Targeted Gene Delivery of the Cationic Lipid Emulsion System Containing Folate-PEG-DPPE)

  • 권상규;정관호;김영진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13-218
    • /
    • 2009
  • 1,2-Dioleoyl-3-trimethylammonium-propane(DOTAP)와 Tween80, squalene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지질 에멀젼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를 개발하였다. 유전자 전달체의 발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암세포에 표적지향성을 가지는 folate를 수식한 PEG-DPPE를 사용하였다. Folate-PEG-DPPE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지질 에멀젼으로 HeLa 세포주와 293 세포주에 유전자 형질발현 실험을 하였다. HeLa 세포는 folate에 민감한 세포주이다. 양이온성 지질 에멀젼의 입자필기와 DNA/lipid 복합체의 크기는 각각 205.6 nm와 150.5 nm로 측정되었다. 양이온성 지질 시스템/DNA(4:1(w:w)) 복합체의 유전자 발현효율은 folate의 표적화 영향으로 인해 DOTAP만 있는 에멀젼에 비하여 100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반체로 $NtnOenH_4$$NdienOenH_4$를 포함한 액체막을 통한 전이금속 양이온의 운반속도 (Transport Rate of Transition Metal Cations through a Bulk Liquid Membrane Containing $NtnOenH_4$ and $NdienOenH_4$ as Carriers)

  • 김해중;장정호;신영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7-81
    • /
    • 1997
  • 거대고리 리간드인 1,12-diaza-3,4;9,10-dibenzo-5,8-dioxacyclopentadecane$(NtnOenH_4)$와 1,12,15-triaza-3,4;9,10-dibenzo-5,8-dioxacyclo-heptadecane$(NdienOenH_4)$를 운반체로 포함한 클로로포름 액체막을 통한 운반속도는 Ni(II)$({\Delta}Gp)$값을 구하여 본 결과, 운반속도의 순위는 전이금속 양이온들이 갖는 분배수화 자유에너지의 음의 값의 크기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이용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Using a Mono-Crown Ether and Bis-(Crown Ether)s)

  • 신영국;김해중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60-65
    • /
    • 1997
  • mono-crown ether(benzo-15-crown-5)와 benzo-15-crown-5를 포함한 bis-(crown ether)s(ethylenediamine bis(4'-formylbenzo-15-crown-5))에 의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을 $25^{\circ}C$, 물-클로로포름계에서 조사하였다.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평형상수($K_e$)와 착물형성상수($K_c$)의 크기 순위는 각각 Ca(II)>Na(I)>Sr(II)>K(I)>Mg(II)>Rb(I)와 Sr(II)>Ca(II)>K(I)>Rb(I)>Mg(II)>Na(I)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들 크기 순위는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전자밀도효과로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mono-crown ether에 비해서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금속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효율이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알칼리/알칼리토금속 양이온을 치환한 Y형 및 ZSM-5 제올라이트의 NO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Monoxide on Y-type and ZSM-5 Zeolites Exchanged with Alkali/Alkaline-earth Metal Cation)

  • 김철현;이창섭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857-864
    • /
    • 2005
  • 탈알루미늄 및 알칼리/알칼리토금속 양이온으로 치환한 Y형 및 ZSM-5 제올라이트 촉매를 제조하였다. 전처리 후 Y형 및 ZSM-5 제올라이트의 Si/Al비는 증가하였고, bulk보다는 표면에서의 Si/Al비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에 의해 제조된 Y형 및 ZSM-5 제올라이트의 골격구조 파괴는 주로 탈알루미늄 처리과정에서 Al 이온의 탈리에 의한 것이며, framework이 감소하고 non-framework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스팀처리 시간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양이온으로 치환함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NO-TPD 실험결과, 전처리된 Y형 및 ZSM-5 제올라이트는 탈착봉우리가 저온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스팀처리 시간이 많은 촉매물질일수록 탈착온도가 더 낮은 온도로 이동하였다. 촉매의 활성은 치환된 양이온, Si/Al 함량비 및 탈알루미늄으로 변화된 골격구조에서 framework과 non-framework의 비율에 의존하였다.

3가 양이온 산화물이 첨가된 2Y-TZP의 저온 상안정성 (The Effect of Trivalent Cation Doping on the Low Temperature Phase Stability of 2Y-TZP)

  • 장주웅;김학관;이득용;김대준;박선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055-1062
    • /
    • 2002
  • 정방정 지르코니아의 상안정성 및 저온열화기구를 고찰하기 위해 Y2O3 안정화 지르코니아에 3가 양이온 산화물을 첨가한 후 그 소결체의 기계적 물성, 라만 스펙트럼 및 격자상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2Y-TZP에 $Zr^{4+}$ 보다 이온크기가 큰 3가 양이온($Sc^{3+},\;Yb^{3+},\;Y^{3+},\;Sm^{3+},\;Nd^{3+},\;La^{3+}$)들을 2 mol%까지 첨가하여 $1500{\circ}C$에서 1시간 소결후, X-ray 상분석 결과 $La^{3+}$의 경우에는 0.5 mol% 이상 첨가시 pyrochlore 상$(La_2Zr_2O_7)$의 형성으로 정방정상의 상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Zr6{4+}$과 이온크기가 거의 비슷한 $Sc^{3+}$를 첨가한 경우에는 정방정상만 관찰되었으나 $Yb^{3+},\;Y^{3+},\;Sm^{3+},\;Nd^{3+}$를 첨가한 경우에는 입방정상이 형성되었다. 양이온 크기가 커질수록 c/a비는 증가하였으나 $220{\circ}C$에서 500시간까지 열처리후 상분석 결과 단사정량은 감소하였다.

제초제 paraquat의 토양중 흡.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desorption of herbicide paraquat in soils)

  • 이석준;김병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0-78
    • /
    • 1998
  • 토양에 살포된 양이온성 농약인 paraquat가 점토광물,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서의 흡착량, 흡착 특성, 흡착 형태 및 탈착간의 상호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점토광물에 의한 paraquat의 흡착 시간은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팽창형 점토광물인 montmorillonite에 의한 흡착은 총흡착량 뿐만 아니라 CEC에 대한 흡착 비율에서도 다른 흡착제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Humic acid와 fulvic acid는 점토광물인 kaolinite와 토양 시료보다도 많은 양의 paraquat을 흡착하였다. 토양 시료에 의한 흡착은 CEC의 약 21% 정도로 점토광물에 비하여 25-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Paraquat의 흡착 형태별 분포 시험에서 점토광물 및 토양 시료에서는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humic acid및 fulvic acid에서는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 시료의 paraquat 흡착량은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은 토양의 85.1-95.5% 정도이며, unbound 및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용액중에 경쟁 양이온이 공존하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약 35%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쟁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흡착제가 양이온으로 포화되어 있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75% 정도, 토양 시료에서 65% 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약 30% 정도만이 감소하였다. 흡착 형태에 따른 paraquat의 탈착 시험에서 tightly bound type은 흡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pH 조절, 초음파처리, 양이온의 첨가에 의하여서는 탈착되지 않았다. Loosely bound type의 paraquat는 흡착제의 종류 및 탈착방법에 따라 탈착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양이온 첨가나 pH조절과 같은 화학적 변화 또는 초음파처리와 같은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융액인상법에 의한 $Cr^{4+}$:YAG 단결정 성장 연구 (Study on Growth of $Cr^{4+}$:YAG Single Crystals by Czochralski Method)

  • 송도원;정석종;조성일;유영문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6-82
    • /
    • 1999
  • 융액인상법에 의하여 Garnet 구조내 결정학적 8면체 및 4면체의 양이온 자리에 전하 보상이온 Mg2+, 구조 수식이온 Sc3+ 및 laser 활성이온 Cr4+을 다양한 농도로 주입한 융액으로부터 Cr4+:YAG 단결정을 성장하고, 주입된 불순이온이 흡수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양질의 단결정을 성장하기 위한 인상속도와 회전속도는 각각 1.5 mm/h와 10 rmp이었으며, Cr4+:YAG 단결정은 <111> 방위로 성장하였다. 성장된 결정의 결정구조 동정 및 결정격자 상수를 측정하고, 1.064 ㎛에서의 결정화분율에 따른 흡수계수, 형광방출 스펙트럼, 유효편석계수(keff)를 보고하였다.

  • PDF

p-Carboxystyrol계 양이온 교환 수지 (Kationenaustauscher auf Basis von p-carboxystyrolhaltigen Copolymeren)

  • 김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27
    • /
    • 1970
  • 가교되고 p-요드스티롤을 함유한 공중합체를 부틸리티움 벤젠용액과 반응시키고 이어 이산화탄소와 반응시키면 p-카복시티롤을 갖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수지로 얻을 수 있는 이온 교환능력은 2.5∼2.8mval/g이다. 그리고 중화곡선으로부터 얻은 $pK_a$치는 보통 수지의 경우 8.07, 톨루엔으로 변성한 수지는 7.75이다. 이 수지는 알칼리성에서 칼리움 이온을 받아들이고, 칼시움 이온과는 $pH^{-6}$에서 85%, 구리 이온과는 pH4-5에서 100% 각각 교환 반응을 일으킨다.

  • PDF

염수의 탈염을 위한 전기투석 농축실에서의 스케일 형성 (Scale Formation in the Concentrate Compartment of an Electrodialysis Stack During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 문승현;양정훈;연경호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75-186
    • /
    • 2005
  • 전기투석 공정에서 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간 동안 운전되었다. 탈염공정 동안, $Ca^{2+}$$SO_4^{2-}$ 이온의 농도는 농축실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양이온교환막(Neosepta CMX)표면에 침전이 발생하였다. 초기 스케일 형성동안, 공정성능과 막 특성의 변화는 농축실 염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양이온교환막의 하계전류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곤 미미하였다. 공정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양이온교환막의 한계전류밀도는 물의 해리 현상이 진행되어 $300\;A/m^2$까지 감소하였다. 막 오염은 농축실에서 양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과 물의 해리현상에 의해 유발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러한 스케일 형성은 $CaSO_4$의 용해도에 의해 예측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BDMI+ 양이온을 함유한 이온성 액체로부터 흑연으로의 전기화학적 리튬 삽입 (Electrochemical Lithium Intercalation within Graphite from Ionic Liquids containing BDMI+ Cation)

  • 이유신;정순기;이헌영;김지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6-192
    • /
    • 2010
  • 흑연과 1-buthyl-2,3-dimethylimidazolium(BDMI)계 이온성 액체의 계면 반응을 이해하기 위하여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LiTFSI)가 용해된 BDMI-TFSI 용액 중에서 전기화학 원자간력 현미경(electrochemical atomic force microscopy, ECAFM)을 이용하여 순환 전압전류법 전후에 있어서의 고배향성 열분해 흑연(highly oriented pyrolytic graphite, HOPG)의 표면을 in-situ로 관찰하였다. HOPG 전극에서 리튬의 가역적인 삽입과 탈리반응은 진행되지 않았으며, $BDMI^+$ 양이온의 삽입에 의한 blister의 형성 및 그라펜 층의 파괴만이 관찰되었다. 한편, $BDMI^+$ 양이온의 삽입 반응은 농도가 4.90 mol/kg인 LiTFSI-propylene carbonate(PC)를 15 wt% 함유하고 있는 BDMI-TFSI계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 경우에는 가역적인 리튬의 삽입과 탈리반응이 진행 되었다. ECAFM 결과는 고농도의 PC계 용액이 solid electrolyte interface(SEI)를 형성함으로 인해 $BDMI^+$ 양이온의 삽입을 막는 매우 효과적인 첨가제임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