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식 어장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44초

해태양식어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배치기술

  • 김홍진;류청로;이인철;김헌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2-163
    • /
    • 2003
  • 우리나라 연안역 해태양식어장은 어업기술의 발달, 자연환경조건의 변화 등 여러 가지 변화 요인으로 인해 기존의 양식어장의 위치 및 형식을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연안 양식어장의 무분별한 설치 및 어장집중을 초래하여 생산성 감소 및 어장관리기능의 약화 그리고 어민간의 이해관계 대립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중략)

  • PDF

양식어장 보호를 위한 원격감시시스템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rotecting Aquaculture Farms)

  • 김철승;정중식;박성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5-60
    • /
    • 2004
  •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고급해산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어패류 및 해조류를 포함하는 양식어업은 국내어업에 대한 총수입중 $50.6\%$를 차지하고 있는 어가의 주 소득원 중의 하나이다. 최근 국내어장에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어패류 도난사건의 피해액은 매년 건당 수십만에서 수천만원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세어가에 적용할 수 있는 양식어장 보호를 위한 레이더 감시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외에서 양식어장보호 감시시스템이 개발된 바가 있지만 구축비용이 고가이므로 국내 영세어가에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 PDF

양식어장보호를 위한 어장탐지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shery detection system for protection of an aquaculture farm)

  • 남택근;임정빈;정대득;양원재;안영섭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10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양식어장을 보호하기 위한 어장 탐지 시스템의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어장탐지시스템(FDS)은 어장에 침입하는 도적 선박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어장의 위치변동 등을 파악한다. 어장으로의 접근 물체탐지 및 적아식별을 행하기 위해 저가이면서 대역의 레이더 응답기능을 갖는 어장작업선용 AIS(F-AIS)를 개발하여 소형어선 등의 식별기능에 이용하고자 한다.

  • PDF

양식어장보호를 위한 어장탐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shery Detection System for Protection of an Aquaculture Farm)

  • 남택근;임정빈;안영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9-5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양식어장을 보호하기 위한 어장 탐지 시스템의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어장탐지시스템(FDS)은 어장에 침입하는 도적선박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어장의 위치변동 둥을 파악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어장에 접근하는 물체탐지 및 적아식별을 위해 저가이면서 대역의 레이더 응답기능을 갖는 어장작업선용 AIS(F-AIS)를 개발하여 소형어선 등의 식별기능에 이용하고자 한다.

  • PDF

산지별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양성 해역별 성장에 관한 연구

  • 김성연;박미선;양문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08-509
    • /
    • 2000
  • 우리나라의 굴 양식업은 1970년대 수하식 굴 양식기술 개발보급으로 계속 증대 발전하였으나, 연안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수질환경 악화 그리고 장기간의 집약적 양식에 의한 어장 노화와 양식 굴의 품종 열화 등에 원인하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식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굴 양식의 지속적 생산 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환경 적응력이 강한 굴 품종을 선발하고 변화된 어장환경을 이해하고자, 산지별 굴의 양성 해역별 양성시험을 실시하여 굴의 성장도, 비만도 및 생존율의 비교 조사와 그리고 환경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패류양식해역 환경용량 산정 II 고성만 환경용량 산정

  • 이원찬;최우정;이필용;김형철;구준호;박청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10-211
    • /
    • 2001
  • 연안 해역은 어장환경 악화와 가용 먹이량을 초과한 시설량 증대로 양식 생물의 생존 및 성장률이 저하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Keng et ai.,2000; Sugawara & Okoshi, 1991), 부영양화가 진행적지 않은 일부 해역에서도 양식 생물의 미성숙으로 인해 양식 기간이 연장되고 있다 (Choi et al., 1997). 이와 같은 이유로 양식 어장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해서는 해역의 환경용량 (Carrying capacity)에 적합하도록 양식 생물 시설량을 재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Heral et al., 1990; Kang et al., 2000) (중략)

  • PDF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양식어장 보호용 원격감시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Telemonitoring System for Protecting Aquaculture Farm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 정중식;박성현;정재용;안영섭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51-156
    • /
    • 2004
  • 어패류 및 해조류를 포함하는 양식어업은 국내어업에 대한 총수입중 $50.6\%$를 차지하고 있는 어가의 주 소득원 중의 하나이다. 최근 국내어장에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어패류 도난사건의 피해액은 매년 건당 수십만에서 수천만원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에서 어장보호를 위한 원격감시 시스템이 개발된 바가 있지만 구축비용이 고가이므로 국내의 영세어가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련 연구에서는 국내 영세어가에 적용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양식어장 보호용 원격감시 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하고, 기술개발의 요소 분류하고 개발방향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 PDF

미역(Undaria pinnatifida) 6품종간의 형질상관분석

  • 서태호;전영호;최성제;진판동;이금열;신종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16-116
    • /
    • 2003
  • 명천산, 카마이시산, 나루산, 풍남산, 기장산, 울산산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성숙 포자체는 각각 2001년 5월에 명천 배양장에서 채묘하였다. 인공 채묘와 채묘의 주요방법은 손(1993)에 따랐다. 재배미역의 번식생태학과 생산량이 우수한 형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1년 12월부터 2002 4월까지 명천산, 카마이시산, 나루산, 풍남산, 기장산, 울산산 미역(Undaria pinnatifida)에 대해서 고흥군 명천 어장과 계도 어장에서 양식실험을 실시하였다. 형태적 형질에 있어서 명천, 계도 어장에서 전장은 3월까지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나 4월 이후 성장이 점점 완만해 지면서 감소하였다. 품종간에도 전장의 성장도가 달리 나타났으며 그중 가장 큰 것은 가마이시산이었고 가장 작은 것은 울산산이었다. 경장은 3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6품종중 1품종은 증감하였다. 품종별로 경장의 변화는 달리 나타났다. 각 어장별 품종별로 줄기길이는 대부분이 월별로 증가하다 4월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명천산은 4월까지 증가 하였다. 성실엽장은 6품종 모두 4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풍남산과 가마이시산이 두 어장에서 크게 나왔으며, 울산산이 두 어장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명천 어장에서 6품종의 전장과 경장의 상관계수는 카마이시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울산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계도 어장에서도 카마이시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울산산이 가장 작에 나타났다. 전장과 줄기길이의 상관계수는 명천어장에서는 풍남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울산산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계도 어장에서는 카마이시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울산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명천 어장에서 전장과 성실엽장의 상관관계를 보면 명천산의 상관 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나루토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계도 어장에서는 카마이시산이 가장 크게 나루토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명천, 계도 어장에서 전장과 각 형질간 ANOVA 분석은 1%~5% 수준에서 품종별로 모두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