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류양식해역 환경용량 산정 II 고성만 환경용량 산정

  • 이원찬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
  • 최우정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 ;
  • 이필용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 ;
  • 김형철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 ;
  • 구준호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 ;
  • 박청길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연안 해역은 어장환경 악화와 가용 먹이량을 초과한 시설량 증대로 양식 생물의 생존 및 성장률이 저하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Keng et ai.,2000; Sugawara & Okoshi, 1991), 부영양화가 진행적지 않은 일부 해역에서도 양식 생물의 미성숙으로 인해 양식 기간이 연장되고 있다 (Choi et al., 1997). 이와 같은 이유로 양식 어장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해서는 해역의 환경용량 (Carrying capacity)에 적합하도록 양식 생물 시설량을 재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Heral et al., 1990; Kang et al., 2000)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