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 배양

검색결과 1,654건 처리시간 0.027초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Micrococcus sp. HJ19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cterization of Micrococcus sp. HJ-19 Secreting Extracellular Protease)

  • 차인태;오용식;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2-226
    • /
    • 2007
  •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미노산간에 존재하는 peptide결합을 절단하는 효소로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새로운 공급원을 찾기 위하여 체외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둥해 심층수로부터 집식배양으로 분리하였다. 이들 중 빠른 성장과 skim milk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큰 투명환을 보여준 균주를 HJ19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Micrococcus sp.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Micrococcus sp. HJ19는 $10^{\circ}C$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20^{\circ}C$부터 생육과 효소활성을 보여주었다. 최적 생육 온도는 $37^{\circ}C$였으며, 효소 활성은 $30^{\circ}C$에서 약 480 unit/ml의 활성을 보여 주었다.

아교버섯 형질전환체가 생산한 리그닌분해 고정화효소에 의한 염료 탈색 (Decolorization of a Dye by Immobilized Lignin Degrading Enzymes Generated from Transformants of Merulius tremellosus Fr.)

  • 민동숙;유선화;김명길;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5-227
    • /
    • 2012
  • 백색부후균류가 가지는 리그닌 분해효소들은 기질특이성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난분해성 화합물들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3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laccase와 manganese peroxidase가 각각 도입된 아교버섯 형질전환체의 배양 상등액 효소를 고정화 효소로 만들어 대표적 염료의 하나인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의 탈색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알긴산을 효소 용액과 직접 반응하여 만든 고정화 효소에서 48시간 반응 후 약 75% 탈색을 보였다. 비록 한번 사용했던 고정화 효소를 재사용하였을 경우 탈색능이 10-15% 정도 감소되었으나 본 실험에서 제시한 방법이 리그닌 분해효소의 고정화 효소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richoplusia ni 세포의 apoptosis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the Apoptosis Mechanism of Trichoplusia ni Cell Line)

  • 이종민;양재명;이윤형;정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1-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Ttichoplusia ni 세포의 apoptosis 유도 및 억제 현상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Apoptosis 유도제로 알려진 hygromycin B에 의한 세포 성장 저해는 $200\;{\mu}/ml$의 수준에서부터 나타났고, $400\;{\mu}/ml$ hygromycin B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배양 후 2일부터 DNA가 분절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dexamethasone과 sodium butyrate를 첨가시 세포성장은 저해되었지만 DNA 분절현상이 보이지 않아 apoptosi의 유발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caspase 기능억제제의 apoptosis 지연효과를 보기 위해 $200\;{\mu}/ml$ hygromycin B로 apoptosis를 유발한 상태에서 Ac-DEVD-CHO를 첨가하여 세포성장을 비교해 본 결과 이 저해제에 의해 약 36%정도 apoptosis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N-acetylcysteine의 경우도 apoptosis지연 효과가 있었다. Bcl_계에 속하는 anti-apoptotic 유전자의 발현연구로서 apoptosis 저해 단백질인 bcl-2 유전자를 곤충세포에 형질전환시킨 후 이 단백질이 한시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western blot분석법으로 확인하였으며 apoptosis가 지연된 곤충세포주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보였다.

  • PDF

Sphingomonas sp. 224 균주에 의한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분해 (Bio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Sphingomonas sp. 224)

  • 곽윤영;신갑식;이상만;김장억;이인구;신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8-395
    • /
    • 2010
  • 미생물을 이용한 인삼 재배지 내 잔류 tolclofos-methyl의 효과적 분해를 목적으로,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보이는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Sphingomonas 속으로 동정되었다. 선발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는 1/10 농도의 LB 배지에 함유된 20 mg/L 농도의 tolclofos-methyl을 배양 72시간 이내에 95% 이상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이 tolclofos-methyl을 분해하여 얻어지는 산물로 2,6-dichloro-4-methyl phenol이 확인됨에 따라 미생물이 생산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분해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olclofos-methyl 분해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를 인삼경작지 토양에 처리하여 이들 토양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확인 한 결과, 20 mg/Kg 농도의 토양 잔류 tolclofos-methyl에 대하여 14일 이내에 약 50%의 분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일 미생물을 이용한 배지 및 토양 내 tolclofosmethyl의 생분해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이다.

해수 미세조류인 Chlorella capsulata의 열 수 추출물의 신경세포 분화촉진에 관한 연구 (Effect of Neuronal Differentiation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of Marine Alga, Chlorella capsulata)

  • 이현용;이현수;이서호;김대호;박진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5-170
    • /
    • 2003
  • 본 실험은 해수 미세 조류인 Chlorella capsuiata로부터 신경세포에 대한 활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성물질을 분리하여 해수자원의 생체 조절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선별된 해수 Chlorella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한 뒤, 그 물질의 신경활성을 탐색하였다. C. capsulata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분획물(CCE)의 분자량은 약 45KDa(data not shown)으로 기존에 연구된 60~100 KDa보다 더 낮은 범위에서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이는 현재 발표된 많은 연구결과에서 주장하는 물질들과는 다른 종류의 물질임을 제시하고 있어 이에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볼 때 활성을나타낸 주된 물질은 C. capsulata의 수용성 성분으로 생각되어지며, 26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물질로 C. capsulate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열 변성에 의해 탄수화물과 결합한 glycoprotein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부의 연구결과에서 280nm에 최대 흡광도를 보이는 활성물질이 glycoprotein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이 분획물(CCE)에 대한 좀더 심도 깊은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근에 발표된 Chiorella의 기능성과 관련한 논문들에서 언급한 내용들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대부분이 담수조류에 대한 활성 탐색의 결과임을 감안한다면 본 실험을 통해 해수 미세조류로부터 분리된 물질의 새로운 활성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다른 유기용매를 통해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것과 달리 순수한 물을 통해 Chlorella의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좀더 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 수용성 물질에 대찬 면역활성과 in vivo 실험을 통해 좀더 깊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나아가 대량배양기술, 분리정제 기술이 뒷받침된다면, 고비용의 동물세포를 이용한 신경활성물질을 대체할 새로운 신경 활성물질 개발은 물론 다방면에 걸친 생체 조절기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범위가 점차 확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수집재래종대두의 자주빛무늬병(Cercospora kikuchii)에 대한 저항성검정 (Evaluation of Native Soybean Collection for Resistance to Purple Blotch)

  • 오정행;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1-134
    • /
    • 1981
  • 대두 자주빛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인자원 선발을 위하여 한국에너지연구소, 방사선농학연색실이서 보존하고 있는 수집재내종을 자연감염율과 인공접종법에 의한 저항성검정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수집재래종 467 계통중 $28.9\%$$0.1\%$이하의 감염율을, 약 $13.4\% $$2\%$ 이상의 감염율을 보였으며 이 자연감염율은 결협초기의 기상조건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종자접종에 의한 자반의 형성은 자연감염율과 정의 상관을 보여 일차적인 저항성 검정방법으로서 효과적이었으며 만숙대두계통은 병해도피에 의한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갈색무늬병균의 병원성과 관계되는 종자의 자반정도는 배양기의 착색정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 PDF

Ferritin Light Heavy Chain 유전자가 도입된 인삼형질전환체의 단일배발생을 통한 식물체의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Transgenic Ginsengs Introduced with Ferritin Light Heavy Chain Gene through Single Embryo Culture)

  • 윤영상;김종학;김무성;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68
    • /
    • 2004
  • Ferritin light heavy chain (FLHC) gene는 일부 중금속과 결합, 저장 및 운반하여 무독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 관련 유전자인 FLHC유전자를 식물 발현용 promoter인 35S promoter와 Tnos를 사용하여 식물 형질전환용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식물세포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는 상기 cassette vector가 조립이 매우 양호하며 border sequence를 가지고 있는 pRD400 binary vector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나마이신 내성 유전자 (NPT II gene)와 tadpole ferritin heavy chain gene 및 human ferritin light chain gene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Binary vector의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은 triparental mating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여 AB배지 및 가나마이신 함유 배지에서 disarmed Ti-vector를 가지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MP90/FLHC을 선발하였다. FLHC 유전자 도입된 식물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방법을 변형하여 많은 embryo를 유도하였으며 유도된 embryo들은 GA 10mg/L가 첨가된 배지에 지상부를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체식물체의 정상적인 생장을 유도하기 위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던 바, 비교적 1/3 MS배지에서 뿌리의 생장과 지상부의 생장이 균일하게 생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뿌리와 줄기가 잘 발달된 약 7cm의 유식물체를 대량으로 증식하여, 모래와 흙이 1:1로 혼합된 토양에 옮겼다.

불로초(不老草)가 생산(生産)하는 Cellulas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 (Enzymatic Properties of a Cellulase from Ganoderma lucidum)

  • 도재호;김상달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4
    • /
    • 1986
  • Ganoderma lucidum의 개체배양물(個體培養物)로 부터 얻은 cellulase를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으로 조정제(組精製)한 후(後) 이 효소(酵素)의 기본적(基本的)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이 효소(酵素)의 최적작용(最摘作用) pH와 온도(溫度)는 각각 pH $4.0{\sim}7.0$사이와 $50^{\circ}C$ 이하(以下)의 온도(溫度)에서는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하였다. CMC-2Na분해(分解)에 대한 activation energy는 6.2 Kcal/mole이었다. $Mg^{++},\;Co^{++}$에 의해서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증가(增加)되었으나 $Hg^{++}$에 의해서는 저해(沮害)되었다. 한편 본(本) 효소활성(酵素活性)은 SDS에 의해서 약 27%저해(沮害)된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여러가지 chemical reagents에 의해서는 아무런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본(本) 효소(酵素)의 CMC-2Na에 대한 Km치(値)는 2.4 mg/ml였으며 CMC-2Na 이외(以外)에 천연(天然) cellulose에도 작용(作用)을 하였다.

  • PDF

Monascus anka albidus의 적색색소 생산 (Red Pigment Production from Monascus anka albidus)

  • 김명희;이태경;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1-455
    • /
    • 1992
  • Monascus anka albidus 균사를 쌀가루 7%, $NH_4NO_3$ 0.15%, $KH_2PO_4$ 0.05% 및 $MnSO_4$ 0.1%, 조성의 초기 pH 6.0으로 조절한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5일간 진탕 배양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색소 생산을 보였다. 특히 탄소원으로써 찹쌀가루가 제일 좋았으며 동시에 질소원으로써 $NH_4NO_3$, 인산염으로는 $KH_2PO_4$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최적 C : N율은 18 : 1로 나타났다. 상기 조건에서 색소 생산은 플라스크에서 2.6mg/ml을, 그러나 5l 발효조에서 약 70%인 1.8mg/ml을 생산하였다.

  • PDF

구기자(拘杞子) 탄저병(炭疽病) 방제 약제 선발(選拔) (Screening of Chemicals for Control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Lycium chinense MILLER)

  • 조임식;백승우;이봉춘;서관석;윤성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1
    • /
    • 1995
  • 최근(最近) 재배(栽培) 면적(面積)과 수요(需要)가 급증(急增)되고 있는 구기자(拘杞子) 재배시(栽培時) 치명적(致命的) 피해(被害)를 주는 구기자(拘杞子) 탄저병(炭疽病)에 대한 약제(藥劑) 시험(試驗) 결과(結果) 1. 탄저병(炭疽病) 발병(發病) 시간(時間)는 7월 중순(中旬)과 8월 중순이 가장 심(甚) 하였으며 평균온도(平均溫度) $25^{\circ}C$ 전후(前後)의 조건하(條件下)에서 발병율(發病率)이 가장 높았다. 2. 운곡면(雲谷面)과 대치면(大?面) 모두 프로피 수화제의 방제가(防除價)가 81.5%와 93.4%를 나타내어 약효(藥效)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디치돈 수화제와 프로피 수화제 모두 기준량(基準量)과 배양(倍量) 공히 약해(藥害)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 PDF